[더구루=홍성환 기자] SK에코플랜트 리사이클링 전문 자회사 SK테스가 지난해 1억3600만㎏ 규모의 소재를 재활용했다. SK테스는 18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연례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발간했다. 조재연 SK테스 최고경영자(CEO)는 "미래 지속가능성은 회사의 단순한 약속이 아니라 활동의 기반"이라며 "자원 보존을 넘어 운영 및 공급망의 탈탄소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SK테스는 지난해 1억3600만㎏ 규모의 소재를 재활용하고, 320만개 IT 자산을 재사용했다. 이를 통해 약 13만톤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였다. 재사용 및 재활용량은 각각 21%, 41% 증가했고, 에너지 집약도는 17% 감소했다. 서버 처리량은 120% 급증했다. SK테스는 올해 운영 전반에 걸쳐 측정 가능한 탈탄소화를 추진하고, 글로벌 커뮤니티 파트너십을 통해 사회적 영향을 창출할 계획이다. 아울러 책임 있는 기술 수명주기 관리를 통해 고객이 공급망에서 탈탄소화를 실현하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SK테스는 ITAD(IT Asset Disposition, IT 자산 처리 서비스)·전자폐기물 리사이클링 전문 기업이다. 북미, 유럽, 아시아 등 총 23개국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 현지 생산 전기차(EV) 모델 ‘일렉시오(Elexio)’를 호주 시장에 투입한다. 호주 정부로 부터 형식 승인 절차를 완료, 현지 판매 초읽기에 들어갔다. 기아가 중국산 EV5를 통해 호주 전기차 시장에서 성과를 거둔 만큼 현대차 역시 일렉시오를 내세워 현지 전기차 시장 확대를 노리고 있다. 18일 호주 인프라·교통부에 따르면 베이징현대 일렉시오는 연방정부 자동차 형식승인 제도(RVS)를 통과, 판매 승인을 받았다. 현지 출시 시점은 내년 2분기로 예상된다. 일렉시오는 현대차 중국 합작 파트너사 베이징자동차(BAIC)그룹과 공동 개발한 '현지 생산 1호' 전기 SUV다. 투싼과 유사한 차체 크기를 갖췄으며, 현대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 전륜구동 모델로 800V 아키텍처를 탑재했다. 중국 내수용은 BYD 계열사 핀드림스(FinDreams)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적용하고 있으며, 수출용의 경우 삼원계(NCM) 배터리가 적용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일렉시오 호주 투입은 현지 전기차 시장 확대하기 위한 승부수로 풀이된다. 기아는 지난 상반기 EV5 판매 호조(2765대)에 힘입어 호주 전기차 시장 점유율 9.3%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의 자체 운영체제(OS) '타이젠(Tizen)’이 인도 TV 제조자개발생산(ODM) 업체에서 생산하는 스마트 TV에 탑재된다. 삼성전자는 하드웨어 중심 사업을 넘어 플랫폼·소프트웨어 경쟁력을 강화, 고성장이 예상되는 인도를 포함한 글로벌 TV 시장에서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다. 18일 인도 '비디오텍스 인터내셔널(Videotex International, 이하 비디오텍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비디오텍스가 생산하는 스마트 TV에 타이젠 OS를 제공한다. 비디오텍스는 인도에서 여러 현지 브랜드를 대상으로 TV를 제조하는 주요 ODM 회사다. 비디오텍스가 생산하는 TV는 32~75인치 화면과 HD, 풀HD, UHD/4K, QLED, 미니LE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옵션을 갖추고 있다. 타이젠OS를 장착해 삼성 TV 플러스, 빅스비, 스마트싱스 등 타이젠 기반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비디오텍스는 그레이터노이다에 위치한 2개 제조공장에서 TV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번 파트너십은 비디오텍스의 제조 역량과 삼성전자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결합, 인도 보급형·중저가 시장까지 타이젠 OS를 확대하고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제공하려는 전략으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폴더블 아이폰 시제품 생산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애플은 내년 하반기 출시될 아이폰18 시리즈를 통해 첫 폴더블 아이폰을 선보이며, 판매량 반등을 만들어낸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일본 니혼자이게이(닛케이)에 따르면 애플은 폴더블 아이폰 시제품의 대만 생산을 위해 공급업체들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폴더블 아이폰은 내년 하반기 아이폰18 폴드라는 이름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애플은 대만에서 아이폰18 폴드 시제품 생산 및 막바지 개발 작업을 진행하고, 중국이 아닌 인도에서 폴더블 아이폰을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애플이 대만에서 아이폰18 폴드의 시제품을 생산하려는 배경에는 아이폰 생산 협력사인 폭스콘이 있다. 밍치궈(Ming-Chi Kuo) TF인터내셔널증권 연구원은 지난 6월 공개한 보고서에서 "폭스콘이 3분기 말이나 4분기 초에 폴더블 아이폰 프로젝트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힌 바 있다. 폴더블 아이폰 생산지로 인도를 선택한 것도 눈길을 끈다. 애플은 미·중 갈등 속 인도에서의 아이폰 생산능력을 꾸준히 확대해왔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애플은 내년부터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 전량을 인도에서 생산하기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에너지 안보 문제에 직면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원자력 발전 건설에 주목하고 있다. 동남아 각국에서 경제적·기술적·사회적 타당성 조사를 거쳐 원전 도입 시기를 결정하는 등 '친원전' 바람이 확산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동남아시아는 2050년까지 25기가와트(GW) 용량의 원자력 발전에 최대 2080억 달러(약 287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가동 중인 원자로가 없는 동남아 국가들은 2050년 예상 발전 비용이 MWh당 220달러로 기존 원자력 발전소의 MWh당 101달러의 두 배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를 선호하고 있다. SMR은 기존 대형 원자로보다 안전성이 높고, 경제성과 유연성이 뛰어나며, 환경 친화적이다. 크기가 작고 설계가 단순해 사고 발생 가능성이 낮으며, 자연 순환 냉각 등 피동적 안전 기능이 내장되어 비상시에도 자동으로 냉각이 가능해 안전하다. 또 기존 원자력 발전소의 10~30년 소요 기간과 비교해 2~3년 안에 구축을 가속화해 경제적으로도 운영상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기업 전력구매계약(CPPA)을 통해 안정적이고 탄
[더구루=진유진 기자] KT&G가 세계 최대 규모 담배 무역 박람회 '인터타박(InterTabac) 2025'에 참가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고삐를 바짝 죈다. 단독 부스를 마련해 혁신 기술과 주요 브랜드를 선보이며, 초슬림 담배 '에쎄(ESSE)'를 내세워 KT&G만의 차별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알리는 데 주력한다는 전략이다. KT&G는 18일(현지시간)부터 20일까지 독일 도르트문트에서 열리는 '인터타박 2025' 행사에 참여한다. 인터타박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무역 박람회로 매년 약 70개국, 800개 기업이 참가하고 1만4000명 이상 업계 전문가와 바이어가 찾는다. KT&G는 상시 미팅룸을 운영하며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대표 제품을 공개한다. 해외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둔 초슬림 담배 브랜드 '에쎄'를 전면에 내세워 브랜드 인지도와 시장 지배력을 강조할 계획이다. 에쎄는 현재 90여 개국에 수출되는 KT&G의 핵심 브랜드로, 세계 초슬림 담배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아울러 보헴(BOHEM) 등 30여 개에 달하는 주요 수출 브랜드를 전시, 제품 포트폴리오의 다양성과 혁신성을 선보일 예정이다. KT
[더구루=진유진 기자] 롯데쇼핑이 내년 싱가포르에 국제 본사를 설립하며 동남아시아 시장 공략 '출사표'를 던졌다. 동시에 싱가포르 증권거래소(SGX) 기업공개(IPO)를 검토해 해외 자금 조달에 나선다. 동남아에서 확산하는 K-컬처 열풍에 힘입어 싱가포르를 글로벌 유통 허브로 삼고 성장 궤도를 가속하겠다는 전략이다. 김상현 롯데쇼핑 대표이사 부회장 겸 롯데그룹 유통군 총괄대표는 18일 "롯데를 동남아 최고의 쇼핑 명소로 만들겠다"며 "싱가포르는 인프라와 인재, 네트워킹 환경을 두루 갖춘 자연스러운 중심지"라고 밝혔다. 김 부회장은 현지 매체 '스트레이츠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싱가포르를 해외 본부이자 '컨트롤 타워'로 삼아 기존 베트남·인도네시아 법인을 총괄하고, 급성장하는 동남아 유통시장을 적극 공략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싱가포르 IPO 검토가 주목된다. 롯데가 해외 자본시장에서 직접 자금을 확보해 인수·합병(M&A)이나 신규 투자에 활용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낸 셈이다. 김 부회장은 "재무적 안정성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우선시하면서도 공격적인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새롭게 설립될 싱가포르 본부는 초기 소규모 조직으로 출발해 점차 확대될 예정
[더구루=오소영 기자] 이차전지 조립장비 업체인 우원기술이 현대자동차와 SK온 합작공장 건설 현장에 투입된 직원들에게 유급휴가를 지원하고 미국 출장 자제령을 내렸다.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공장에서 벌어진 대규모 구금 사태 여파다. 미국에 진출한 배터리 기업들의 부담이 커지면서 공장 건설 지연이 불가피한 것은 물론 미국 정부의 배터리 공급망 구축 플로우도 시험대에 올랐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8일 파이내셜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우원기술은 최근 현대차와 SK온의 조지아 합작공장에 장비 설치를 위해 투입된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유급휴가를 제공했다. 켄 심(Ken Shim) 우원기술 미국법인장은 "그들(직원)은 호텔이나 집에 머물고 있다"며 "걱정하지 말고 일주일 휴가라고 생각하라고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4일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한국인 근로자 300여 명이 구금됐던 사태의 여파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은 전자여행허가 이스타(ESTA)와 단기 상용비자인 B1 비자로 미국을 오간 점을 문제 삼아 직원들을 체포했다. 이후 현지에 파견된 한국 직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심 법인
[더구루=김예지 기자] LG전자가 대만 현지 교육 스타트업과 손잡고 인공지능(AI) 게임 기반 교과서 '레진노트(LG Notebook)'를 개발했다. 농촌 아동을 대상으로 AI 윤리·활용 교육을 진행해 사회적 가치 실현에 나섰다는 평가다. 18일 LG전자에 따르면 LG전자 대만법인은 현지 사회 혁신 교육기업 '플레이스쿨(Pleyschool)'과 협력해 게임형 AI 교육 콘텐츠 레진노트를 공동 개발하고, 신주 주둥 지역 '작은 도서관'에 시범 도입했다. 레진노트는 인공지능을 가상의 마법 노트북처럼 설정하는 형태다. 아동들이 시나리오 기반의 게임과 역할극을 통해 AI의 작동 원리와 사회적 영향력을 체험하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기술 편의성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AI 의존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인간관계 소외나 사고의 획일화 등 윤리적 문제에 대한 토론과 판단력 강화도 포함됐다. 이번 프로젝트는 LG전자가 지난해부터 참여하고 있는 '펑지아건축 작은 도서관' 사회공헌 사업의 연장선이다. 해당 사업은 건축 전공자들의 재능기부로 시작된 소규모 교육 공간 개선 프로젝트다. LG는 스마트 가전 기부와 자원봉사 인력을 투입하며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LG전자는
[더구루=김나윤 기자] 독일 투자은행 도이체은행이 내년 금 가격 전망치를 온스당 4000달러(약 550만원)로 상향 조정했다. 기존 전망치였던 3700달러(약 510만원)에서 300달러(약 40만원) 높인 수치로 중앙은행의 공격적인 금 매입, 달러 약세, 연준(Fed) 독립성 약화 우려 등이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 도이체은행은 지난 17일(현지시간) “금의 상승 랠리에는 여전히 여유가 있다”며 중앙은행이 현재 2011~2021년 평균의 거의 두 배 속도로 금을 매입하고 있고 특히 중국이 가장 큰 기여자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정치적 변수도 금값 전망 상향의 근거로 지목됐다. 도이체은행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구성 변화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Fed 정책 개입 시도로 인해 Fed의 독립성이 훼손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이러한 불확실성이 내년 통화정책 조정 방식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금 가격은 올들어 약 40% 넘게 상승하며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3700달러를 돌파했다. 달러는 7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며 금값 상승세를 가속화했고 금은 S&P500 등 주요 자산군을 웃도는 성장률을 보여주며 198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우건설이 투르크메니스탄과 주요 경제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대우건설은 최근 투르크메니스탄에서 미네랄 비료플랜트 계약을 체결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조승일 대우건설 플랜트사업본부장은 17일(현지시간) 투르크메니스탄을 방문해 라시드 메레도프 투르크메니스탄 외무부 장관을 만나 양국 관계 강화와 주요 경제 분야 협력 확대에 관한 방안을 논의했다. 두 사람은 회담에서 한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의 장기적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한국 기업들이 투르크메니스탄 석유·가스·화학 산업 분야에서 성공적인 활동을 이어가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또한 대우건설이 짓기로 한 투르크메나밧 미네랄 비료플랜트 계약을 언급하며, 상호 이익이 되는 협력을 더욱 발전시키고 공동 프로젝트를 계속 추진해 나가는 데 뜻을 같이 했다. 이 사업은 투르크메니스탄 수도 아슈하바트에서 동쪽으로 450㎞ 떨어진 투르크메나밧에 연산 35만 톤의 인산비료와 연산 10만 톤의 황산암모늄 생산설비 및 부대시설을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대우건설이 지난해 10월 낙찰자로 선정된 이후 올해 4월 마련된 기본합의서를 바탕으로 발주사인 투르크메니스탄 국영화학공사와 본계약을 맺었다. 총 계약 규모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이더리움 축적기업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놀로지스(BitMine Immersion Technologies)'의 창업자가 4분기 이더리움 가격이 폭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통화 정책 완화가 암호화폐 시장을 견인할 것이란 이유다. 18일 암호화폐 전문매체 포크로그(Forklog)에 따르면 톰 리 비트마인 창업자는 15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CNBC에 출연해 "미국이 통화 정책을 완화함으로써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올해 4분기 괴물 같은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며 "화폐 유동성 민감도와 글로벌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 완화, 강력한 계절성 등이 두 암호화폐를 견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근 상황은 연준의 시장 친화적인 결정으로 유동성과 투자자 신뢰를 높인 1998년 9월과 2024년 9월과 비교된다"고 덧붙였다. 두 기간은 연준이 장기간 금리를 동결한 이후 금리 인하를 단행했던 시기다. 톰 리는 다음날인 16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를 통해 "이더리움 가격이 오는 10월 5500달러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18일 오전 7시 30분 기준 시세(4550달러) 대비 20% 높
[더구루=홍성일 기자]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IonQ)가 미국 에너지부(DOE)와 손잡고 우주 양자 기술 개발에 나선다. 연이은 아이온큐의 인수합병(M&A)이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내기 시작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아이온큐는 17일(현지시간) DOE와 우주 공간에서의 양자 기술 개발과 배포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MOU는 DOE가 주도하는 '우주 양자(Quantum in Space, QIS)'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체결됐다. 아이온큐는 계약 내용에 따라 우선 자체 위성 플랫폼을 활용한 우주 양자 보안 통신 시연에 집중한다. 이후 위치 측정, 항법, 시각(PNT) 기술, 시간 동기화, 양자 네트워킹과 센싱 등으로 협력 범위를 확대한다. 이번 파트너십은 아이온큐가 지난해부터 공격적으로 추진해 온 양자 통신 분야 M&A 전략의 성과라는 분석이다. 아이온큐는 지난해 11월 양자 네트워킹 전문 기업 큐비텍(Qubitekk) 인수했으며, 올해 초 SK텔레콤으로부터 양자암호 분야 세계 1위 기업 아이디퀀티크(IDQ)를 인수했다. 또한 양자 메모리 스타트업 라이트싱크(Lightsynq)를 사들이며 양자 통신에 필요한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스라엘 컨테이너선사인 짐 인티그레이티드 쉬핑 서비스(ZIM Integrated Shipping Services, 이하 ZIM)가 전략적 인수자와 투자회사들과 접촉하며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경영진이 ZIM을 비공개(프라이빗) 기업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를 한 가운데 잠재적 인수 제안도 모색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ZIM 이사회는 월가의 투자 자문사 에버코어(Evercore)를 통해 덴마크 해운사 머스크 등 여러 해운사에 접촉해 ZIM 인수 의향을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에버코어를 고용해 대체 매수자를 물색하고 있는 것이다. ZIM이 제시한 인수 제안가는 주당 20달러 정도로, 회사의 현금 보유액인 29억 달러(주당 약 24달러)보다 낮은 수준으로 전해진다. 엘리 글릭만(Eli Glickman) 최고경영자(CEO)는 "아직 공식적인 가격이 명시된 인수 제안서를 제출하지 않았다"며 인수 제안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다. 업계는 ZIM이 인수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투자은행(IB) 제프리스는 "29억 달러의 유동성과 긴급한 부채 만기가 없는 ZIM은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다"며 "인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