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영국 경쟁시장청(CMA)이 구글(Google)과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의 파트너십 계약을 승인했다. CMA는 정식 조사 개시 한달 여만에 파트너십에 문제가 없다는 결정을 내렸다. [유료기사코드] CMA는 19일(현지시간) 구글-앤트로픽간 파트너십 계약 관련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CMA는 지난달 24일 1단계 조사를 개시한 바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 구글이 앤트로픽에 20억 달러(약 2조7850억원) 투자를 단행하며 맺은 파트너십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해당 파트너십에는 대규모 투자와 함께 비독점 클라우드 공급 계약이 포함됐다. CMA는 해당 파트너십으로 AI모델 구동 핵심인 클라우드 부문에서 구글의 영향력이 확대, 앤트로픽에 대한 지배력이 늘어날 것을 우려했다. CMA는 성명을 통해 "조사결과 구글이 앤트로픽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또한 앤트로픽이 합병 조사 대상 기준조차 되지 않는다는 점도 확인됐다. CMA의 합병 조사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인수 대상 기업이 영국 내 연간 매출액이 7000만 파운드(약 1235억원)를 넘거나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Nvidia)가 새로운 데이터센터용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출시했다. 엔비디아는 새로운 제품을 앞세워 인공지능(AI), 고성능 컴퓨팅(HPC) 시장을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세계 최대 규모 슈퍼컴퓨팅 기술 전시회 '슈퍼컴퓨팅(SuperComputing, 이하 SC)24'서 'H200 NVL PCle GPU'를 공개했다. SC24는 미국 컴퓨터 학회(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와 전기전자공학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산하 컴퓨터 학회(Computer Society, CS)가 1988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연례 슈퍼컴퓨터 전시회로 고성능컴퓨터(HPC) 관련 최신 기술이 전시된다. 이번에 공개된 H200 NVL PCle GPU는 호퍼(Hopper)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개발된 GPU다. 엔비디아는 H200 NVL PCle GPU가 AI, HPC용 저전력 공랭식 기업용 랙 디자인을 찾는 조직들에 이상적인 제품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H200 NVL PCle GPU는 기존
[더구루=홍성일 기자] 싱가포르 디지털 자산 투자사 QCP 캐피탈이 비트코인 추가 상승과 알트코인 불장을 전망해 눈길을 끌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QCP 캐피탈은 일일 시장 분석 업데이트를 통해 "미국 대선 이후 비트코인의 인상적인 랠리를 감안할 때 10만~12만 달러가 멀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비트코인 랠리에 대해서 친(親)암호화폐 성향인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때문"이라고 밝혔다. QCP 캐피탈은 향후 비트코인 시장의 추가 상승은 물론 안정성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QCP 캐피탈은 "나스닥이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옵션 상장을 시작할 예정"이라며 "이번 상장으로 새로운 기관 투자자들이 유입될 수 있다. 이들은 장기간 현물 ETF를 보유해 수익을 창출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되면 변동성도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골드만삭스가 디지털 자산 전문 투자기관 설립을 추진하고 글로벌 헤지펀드들이 비트코인 현물 ETF 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추가 상승 동력이 충분하다고 봤다. QCP 캐피탈은 수개월 안에 알트코인 불장이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QCP 캐피탈은 "역사적으로 메이저 코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독일 항공사 루프트한자가 대규모 인력 감축에 나선다. 인공지능(AI), 자동화 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가 현실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루프트한자는 2028년까지 관리직의 20%를 감축할 계획이다. 감축 규모는 400명 가량이다. 루프트한자는 인력 감축 명목으로 해고는 진행하지 않는다. 대신 퇴직, 이직 등 자연감소를 통해 인력 감축을 진행할 예정이다. 루프트한자는 인력 감축 발표와 함께 관리직 부문 채용을 중단했다. 루프트한자가 대규모 인력 감축에 나선 것은 실적 악화 때문이다. 루프트한자의 올 3분기 영업이익은 9% 감소했으며, 2026년에는 8억 유로(약 1조1744억원)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루프트한자의 실적 악화는 높아진 비용, 중국 저가 항공사들의 공세 등이 원인으로 뽑힌다. 루프트한자는 인력을 감축하는 부문에 대해서는 AI·자동화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특히 프랑크푸르트·뮌헨 공항 관제 업무에도 AI를 도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폭스바겐에 이어 루프트한자까지 인력감축에 나서자 AI와 자동화의 확산이 기업들의 일자리 축소 결정에 기여하고 있다며 우려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애플페이 출시 10주년을 기념해 온라인 간편 결제 기능에 힘을 싣고 있다. 관련 업계에서는 애플이 애플페이 생태계 확대를 통한 수익화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플레이트(Plates)'라는 제목의 새로운 광고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영상에는 접시 컬렉션을 수집하는 여성이 빈자리에 들어갈 접시를 인터넷에서 발견, 결제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특히 영상에서는 애플 페이의 간편 결제 기능을 이용해 접시를 1초 만에 결제하는 모습이 강조됐다. 새로운 애플의 영상은 광고 제작업체 핀치(FINCH)와 협업을 통해 제작됐다. 감독은 핀치 소속의 영상 감독 닉 볼(Nick Ball)이 맡았다. 업계에서는 이번 광고가 애플페이 간편 결제 편리성을 강조, 신규 이용자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특히 시장조사기관 PYMNTS 인텔리전스(PYMNTS Intelligence)는 애플페이 10주년 분석 보고서를 통해 애플이 애플페이를 통한 추가 수익 확보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PYMNTS 인텔리전스는 애플이 향후 5~10년 내에 애플페이를 통한 수익화에 나설 가능성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텐센트가 서비스하는 모바일 채팅 플랫폼 '위챗(WeChat)'이 글로벌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패스키(Passkey)' 지원을 시작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위챗 글로벌 iOS 서비스에서 패스키 기능을 업데이트 했다. 이용자들은 위챗 계정 및 보안 설정 카테고리에서 해당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패스키는 2022년 iOS 16 출시와 함께 공개된 기능이다. 애플에 따르면 패스키는 암호 대신 아이폰 등 애플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보안기능인 페이스ID, 터치ID 등을 사용해 웹사이트, 앱에 로그인 할 수 있는 기능이다. 페이스ID는 안면인식, 터치ID는 지문인식 기술을 활용한 보안 기능이다. 패스키는 생체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디바이스에서 직접 인증이 이뤄지는 만큼 유출될 비밀번호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만큼 피싱, 자격 증명 도난과 같은 기존 비밀번호 관련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현재까지 패스키 기능을 도입한 주요 플랫폼에는 구글, 페이팔, 마이크로소프트, 틱톡 등이 있다. 텐센트는 패스키 사용을 위해서는 iOS 16 또는 iPadOS 16 이상 버전으로 실행되는 애플 디바이스가 필요하며,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가 엔비디아(Nvidia)의 양자처리장치(QPU) 플랫폼 '쿠다-Q(CUDA-Q)'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 기술을 선보였다. 아이온큐는 하이브리드 기술을 토대로 양자컴퓨팅 기술의 상업적 이용에 박차를 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아이온큐는 18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규모 슈퍼컴퓨팅 기술 전시회 '슈퍼컴퓨팅(SuperComputing, 이하 SC)24'에서 업계 최초로 종단 간 애플리케이션 워크플로를 시연했다. SC24는 미국 컴퓨터 학회(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와 전기전자공학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산하 컴퓨터 학회(Computer Society, CS)가 1988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연례 슈퍼컴퓨터 전시회로 고성능컴퓨터(HPC) 관련 최신 기술이 전시된다. 이번 시연은 아이온큐 포르테(IonQ Forte) 양자컴퓨터와 아이온큐 하이브리드 서비스 제품군, 엔비디아 쿠다-Q 및 A100 텐서코어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결합해 진행됐다. 아이온큐는 이번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AI 모델에서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는 핵 관련 정보 제공을 차단했다. 앤트로픽은 미국 안보기관과 협력해 내년까지 해당 시스템의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앤트로픽은 지난 4월부터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국가핵안보국(NNSA)과 협력해 거대언어모델(LLM) '클로드'에서 이용자들이 위험한 핵 관련 정보를 검색하지 못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위험한 핵 관련 정보에는 핵무기 제조를 비롯한 핵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NNSA는 레드팀을 구성했다. 레드팀은 앤트로픽이 서비스 하는 모든 LLM에서 핵 에너지 사용 방법을 검색해 악용할 수 있는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앤트로픽은 NNSA 레드팀이 클로드에 접근 할 수 있도록 아마존웹서비스(AWS)를 활용했으며 레드팀은 내년 2월까지 테스트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앤트로픽은 테스트의 성격을 고려, 결과는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앤트로픽은 테스트 이후 관련 기관과 결과를 공유하고 자체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앤트로픽 관계자는 "이번 테스트는 프런티어 A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2위 그래픽카드 제조사 'PC 파트너(PC Partner)'가 미국 제재로 인해 결국 중국에서 탈출(?) 한다. 도널드 트럼프 2기 시대 개막을 앞두고 ICT 기업들의 탈중국 움직임이 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PC 파트너는 본사를 싱가포르로 이전했다. 또한 싱가포르증권거래소(Singapore Exchange Securities Trading Limited) 상장도 마무리했다. PC 파트너는 중국 내 생산시설의 인도네시아 이전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PC 파트너는 조탁(ZOTAC), 이노3D(INNO3D), 만리(Manli) 등 비래퍼런스 그래픽카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세계 2위 규모 생산업체다. 엔비디아와 AMD는 신형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출시, 기준이 되는 래퍼런스 그래픽카드를 제외하면 그래픽카드 완제품을 제작하지 않는다. 이에 대부분의 그래픽카드 완제품 생산은 애드 인 보드(add-in board, AIB) 파트너사에서 담당한다. AIB 파트너사들은 엔비디아, AMD에서 그래픽카드의 두뇌가 되는 GPU 칩셋을 공급받으며, 각 사가 보유한 냉각 기술, 소프트웨어 기술 등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베트남 최대 ICT 기업 FPT(FPT Corporation)가 엔비디아(Nvidia)와 손잡고 일본서 인공지능(AI) 인프라 사업을 전개한다. FPT는 엔비디아와 함께 일본 디지털 전환을 주도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FPT는 엔비디아의 가속 컴퓨팅 플랫폼을 활용한 'FPT AI 팩토리'를 일본에서 공식 출시했다. FPT의 발표는 지난 12일부터 13일까지 도쿄 더 프린스 파크 타워에서 개최된 엔비디아 AI 서밋 재팬에서 이뤄졌다. FPT AI 팩토리는 엔비디아의 컴퓨팅 기술과 FPT 소프트웨어 개발력이 결합돼 개발됐다. FPT에 따르면 AI 팩토리는 수천개의 호퍼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차세대 GPU로 구동된다. 엔비디아 AI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강력한 AI 학습과 추론 능력을 제공한다. FPT는 AI 팩토리가 20개 이상의 AI 제품과 통합돼 고객 경험 향상, 운영 우수성 달성, 인력 혁신, 운영 비용 최적화를 제공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FPT는 지난 4월 엔비디아와 포괄적인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FPT는 엔비디아와 손잡고 베트남을 비롯한 모든 서비스 지역에 AI 제품, GP
[더구루=홍성일 기자] 이스라엘 세무 당국이 가상자산 매매 수익 과세 허점을 막기 위한 법안을 마련했다. 이스라엘 세무 당국은 법안 시행으로 '조'단위 세금을 걷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이스라엘 세무 당국은 암호화폐 등 가상자산 매매로 발생하는 자본 이득의 세금 부과 범위를 정의하는 법안 초안을 공개했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해당 법안은 암호화폐, 디지털 토큰, 대체불가토큰(NFT) 등을 과세가 되는 자산으로 정의한다. 또한 이스라엘 거주하고 있는 사람이 가상자산 판매로 수익을 얻을 경우 과세 대상이 된다고 명시했다. 신규 이민자가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었을 때 기준도 마련했다. 법안 내용에 따르면 신규 이민자가 이민 전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가 판매할 경우 과세대상이 된다. 하지만 보유하고 있던 가상자산으로 이스라엘 내에서 다른 자산을 구매하거나 하지 않는다면 수익을 얻더라도 세금이 면제된다. 이스라엘 세무 당국이 가상자산 과세 법안을 내놓은 것은 그동안 가상자산 판매 수익에 대한 과세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 때문이다. 이스라엘 세무 당국은 이미 2018년 가상자산을 과세 대상으로 간주하고 수익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지난달 24일 중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펄어비스의 대표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검은사막(黑色沙漠, 현지명 흑색사막)이 출시 3주차를 맞아 순항을 이어가고 있다. 17일 텐센트 게임플랫폼 위게임(Wegame)에 따르면 검은사막은 70% 후반대의 추천율을 유지하고 있다. 검은사막의 추천율은 이번주 초 79.1%가 올라가기도 했다. 검은사막의 추천율은 출시 직후 74.9%였으며 상승세를 유지하며 70% 후반대에 안착했다. 이는 텐센트 위게임에서 제공되는 게임 중 20위권에 해당하는 평가로 검은사막 위에는 검은신화: 오공, 파이널판타지14 등 싱글플레이 패키지 게임이 다수 차지하고 있어 멀티플레이 게임으로서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신작 부문에서는 10위권 안을 유지하고 있다. 이용자들은 검은사막의 그래픽에 대해서 높은 평가를 하고 있다. 또한 출시한지 10년이 된 게임인 만큼 콘텐츠가 많아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고 긍정하게 평가하고 있다. 실제로 펄어비스는 검은사막 중국을 출시하면서부터 20여개에 달하는 클래스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했다. 반면 일부 이용자들은 게임 내에 콘텐츠가 너무 많아 복잡하다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정부가 TSMC 성공모델을 이식해 인공지능(AI) 로봇 산업 육성에 나선다. 대만 정부는 반도체 분야와 같이 제조역량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채택, 로봇 산업계에서 제2의 TSMC 모델을 만들어내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대만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는 스마트 로봇 산업 육성 계획을 발표했다. 해당 계획에는 스마트 로봇 개발과 스타트업 육성, 생산 역량 확대, 보급 확대 등 3대 목표와 4대 육성 전략이 포함됐다. NSTC는 스마트 로봇 산업 육성 계획을 통해 5년 내 산업용 스마트 로봇 산업 규모를 40억 대만 달러(약 1850억원)에서 500억 대만달러(약 2조3150억원)로 10배 이상 성장시킨다는 목표다. 4대 육성 전략에 따라 대만 경제부와 NSTC는 각각 국책 연구소를 설립한다. NSTC가 설립하는 연구소는 기초 연구를, 경제부 산하 연구소는 응용 연구를 담당한다. 국가발전기금에서는 100억 대만달러(약 4630억원)를 투입, 스마트 로봇 스타트업을 설립한다. 첫 스타트업은 내년 초 설립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타트업이 설립되면 NSTC 주도로 타이난시 등에 로봇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스마
[더구루=오소영 기자] SK머티리얼즈가 투자한 미국 그룹14테크놀로지(Group14 Technologies, 이하 그룹14)가 글로벌 화학사 바스프와 실리콘 음극재 솔루션을 출시했다. 배터리 소재 기술을 결합해 고온에서도 실온과 유사한 성능을 구현하며 내구성이 뛰어난 솔루션을 선보였다. [유료기사코드] 19일 그룹14에 따르면 이 회사는 바스프와 실리콘 음극재 솔루션 '드롭인레디(drop-in-ready)'를 개발했다. 드롭인레디는 그룹14의 실리콘 음극재 'SCC55®'와 실리콘 음극재를 위해 특별히 개발된 바스프의 바인더(활물질과 도전재가 집전체에 잘 붙을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접착 물질) '리시티(Licity®) 2698 X F'를 결합해 만들어졌다. 이 기술이 적용되면 혹독한 조건에서도 빠른 충전과 높은 에너지밀도, 우수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게 그룹14의 설명이다. 실온 테스트 결과, 드롭인레디 솔루션이 적용된 배터리셀은 충방전 사이클 1000회를 초과했으며, 80% 용량을 유지했다. 45°C의 고온에서도 흑연 음극재 대비 4배 높은 용량과 500회 이상의 사이클을 달성했다. 릭 루에베(Rick Luebbe) 그룹14 공동 설립자겸 최고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