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머리카락처럼 생긴 뇌전도(EEG) 전극이 개발됐다. 연구팀은 해당 전극을 활용하면 장시간 뇌 활동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팀은 24시 이상 연속 착용이 가능한 EEG 전극을 개발했다. 연구 내용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생체공학 분야 저널 'npj 바이오메디컬 이노베이션(npj Biomedical Innovations)'에 소개됐다. EEG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로 간질은 물론 수면 장애, 뇌 손상과 같은 질환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보통 EEG는 여러 개의 전극을 두피에 붙여 뇌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장기간 뇌파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 젤로 두피에 붙도록 만들어진 금속 전극을 활용한다. 문제는 젤이 마르거나 하는 경우 제대로 측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3D 프린팅이 가능한 생체 접착 잉크로 EEG 전극을 만들었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이 개발한 EEG 전극은 머리카락 굵기의 안테나 부분에 조그마한 점처럼 생긴 부분이 붙어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영화와 TV 시리즈 제작사를 신설했다. 구글은 영화와 TV시리즈를 앞세워 자사 제품의 이미지를 변화시킨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콘텐츠 제작사인 레인지 미디어 파트너스(Range Media Partners)와 다년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100제로스(100 Zeros)라는 새로운 영화·TV 제작사를 출범시켰다. 100제로스는 향후 구글이 투자하거나 자체 제작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굴하는 일을 담당한다. 구글의 100제로스 설립은 애플의 마케팅 전략을 벤치마킹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수년간 자체 OTT인 '애플 TV 플러스'를 통해 아이폰과 맥, 에어팟 등을 꾸준히 노출해왔다. 이를 통해 애플 제품에 대한 호감도와 가치를 높여왔다. 향후 구글도 100제로스가 제작하는 콘텐츠를 통해 자사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노출시켜 브랜드 가치와 호감도를 높일 것으로 분석된다. 구글과 애플의 차이점도 존재한다. 애플이 자체 OTT를 활용한 것과 다르게 구글은 넷플릭스와 디즈니 플러스 등 OTT업체와 파트너십을 맺고 콘텐츠를 배포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구글은 유튜브에서도 영화 등을 배포하지 않는다. 업계는
◇SK텔레콤 SK텔레콤(SKT)이 전사적 역량을 총동원해 유심(USIM) 정보 해킹 사고를 수습하고 있다. 다음주에는 유심이 대거 공급되는 등 이번 사고 해결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SKT는 내주부터 유심 카드를 대거 공급한다. SKT는 이달 말까지 유심 500만개, 내달까지는 총 1000만 개를 확보할 계획이다. 이렇게되면 하루 최대 30만 명이 유심을 교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8일까지 유심을 교체한 SKT 가입자는 총 122만명으로, 현재까지는 하루 평균 7만명 정도가 유심을 교체할 수 있었다. SKT는 해킹 피해를 차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도 단행한다. SKT는 우선 12일 유심포맷을 적용한다. 유심포맷은 유심 소프트웨어를 변경으로, 초기화에 준하는 효과를 내는 소프트웨어 개선 업데이트다. 15일에는 유심보호 서비스를 로밍 상품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한다. 그동안 로밍 서비스 이용자는 유심보호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SKT는 로밍 서비스 이용자의 경우 업데이트와 동시에 자동가입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유심보호서비스는 현재 로밍 서비스 이용자 등을 제외한 모든 이용자가 가입한 상황이다.
◇넥슨 넥슨이 온라인게임 '메이플스토리' 이용자를 위한 인공지능(AI) 코디 추천 서비스 'AI 스타일 파인더(AI Style Finder)'를 정식 론칭했다. AI 스타일 파인더는 자연어 처리 기반의 메이플스토리 코디 검색 서비스로, 이용자가 문장 또는 키워드로 원하는 스타일을 입력하면 이에 적합한 코디 아이템을 추천해주는 플랫폼이다. 이용자는 AI 스타일 파인더 홈페이지와 '메이플핸즈+' 앱을 통해 다양한 코디 아이템을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탐색하고, 자신의 캐릭터에 적용해 완성된 코디 이미지를 생성해 볼 수 있다. 메이플스토리를 플레이하지 않더라도 제공되는 기본 캐릭터를 활용해 원하는 외형의 캐릭터를 제작할 수 있다. 해당 서비스는 지난해 12월 메이플스토리 이용자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진행한 바 있으며, 시범 운영 기간 높은 이용 만족도와 긍정적 반응을 얻어 이번에 정식 서비스로 출시하게 됐다. 지난달 17일부터 진행되고 있는 메이플스토리 22주년 기념 전국 순회 대규모 오프라인 이벤트 '핑크빈의 전국 캠퍼스 투어' 현장에서도 AI 스타일 파인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넥슨은 AI 스타일 파인더를 단순한 코디 아이템 검색 기능을 넘어 이용자의 창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의 검색엔진 방문자 수가 성장세를 이어나가며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이 일상화되며 챗GPT 등의 방문자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은 검색엔진과 상당한 격차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9일 검색엔진최적화(SEO) 분석 기업 원리틀웹(OneLittleWeb)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네이버는 전년 동기 대비 34.3%가 증가한 241억명의 방문자를 유치하며, 글로벌 검색 엔진 방문자 수 순위 6위를 기록했다. 증가율 기준으로는 브레이브 서치(64.2%)에 이은 2위였다. 네이버 검색엔진 방문자 수 증가는 실적으로 이어졌다. 네이버는 이날 실적발표를 통해 올해 1분기 매출 2조7868억원, 영업이익 5053억원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0.3%, 영업이익은 15.0% 증가했다. 네이버는 서치플랫폼(검색·광고 부문)이 커머스 부문과 연동되며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원리틀웹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상위 10대 검색엔진은 총 1조8630억명의 방문자를 유치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0.51% 감소한 수치다. 세계 1위 검색엔진은 구글이었다. 구글은 전년동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연구진이 인공지능(AI)을 적용한 장거리 광섬유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새로운 광통신 기술이 AI 기반 데이터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상하이 교통대학교 연구팀은 1200km 길이 광섬유에서 초당 1테라바이트(TB)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성공했다. 해당 연구 내용은 국제학술지 내셔널 사이언스 리뷰(National Science Review, NSR)에 게재됐다. NSR 등에 따르면 상하이 교통대 연구팀은 광섬유 통신에 새로운 통합 암호화 통신(Integrated Encryption and Communication, IEAC) 기술을 적용했다. 기존의 TLS(Transport Layer Security), IPsec(Internet Protocol Security) 등은 소프트웨어에 의존하다보니 전송 속도를 희생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상하이 교통대 연구팀이 개발한 IEAC는 딥러닝을 기반으로 개발된 GCS(geometric constellation shaping)라는 AI 기술을 사용해 초고속으로 난수를 생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빛에 물리적으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IonQ)가 세계 최초 우주 기반 '양자 보안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아이온큐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우주 양자 네트워크와 양자 컴퓨터를 모두 보유한 최초의 기업이 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아이온큐는 글로벌 우주 위성 양자키분배(QKD) 네트워크 구축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아이온큐는 우주 위성 QKD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항공우주 기업 카펠라 스페이스(Capella Space Corporation)를 인수한다. 인수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규제 당국 승인을 거쳐 올해 하반기 중 인수를 완료할 예정이다. 2016년 설립된 카펠라 스페이스는 미국 정부 등에 자체 개발·생산한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공급하고 있다. 아이온큐는 지난해 말부터 우주와 지구를 아우르는 양자 보안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한 준비해왔다. 지난해 11월 양자 네트워킹 기업 큐비텍(Qubitekk) 인수 발표가 시작이었다. 큐비텍은 양자네트워크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설계하며 양자 기반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한다. 올해 2월에는 SK텔레콤(SKT)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SK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미국 방위산업 스타트업 '안두릴(Anduril)'이 아일랜드 통신시스템 기업 '클라스(Klas)'를 인수한다. 안두릴은 클라스 인수로 유럽 방산 시장 공략 속도를 높인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안두릴은 클라스를 인수하는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 구체적인 인수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규제 당국의 승인절차에 따라 인수작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안두릴이 인수한 클라스는 아일랜드 더블린에 본사를 두고 있는 통신시스템 개발 기업으로,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개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클라스의 대표 제품군인 보이저(Voyager)의 경우 극한의 온도와 방해 전파, 먼지 등 외부 환경 제약 속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됐다. 이에 보이저 제품군은 안두릴 메너스(Menace) 시스템에 통합돼 다양한 군사 작전에 사용되고 있다. 안두릴은 인수작업이 마무리되면 자사 드론·데이터 수집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래티스(Lattice)와 클라스의 통신 장치 기술을 통합한다. 이에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신규 통신 장치 생산공장 건설도 검토한다. 또한 더블린에 첫 사무실을 개설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의 무인 자율주행차 모델명 선정 작업이 난관에 봉착했다. 무인 자율주행차 모델명 확정이 지연되면서 내달 출시를 앞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8일 미국 특허청(USPTO)에 따르면 테슬라가 지난해 10월 출원한 '로보택시(Robotaxi)' 상표에 대해 '예비 거부 통지(nonfinal office action)' 결정을 내렸다. 예비 거부 통지는 상표 등록을 완전히 거절하기 전 출원자에게 반론 시간을 부여하는 단계다. 테슬라는 3개월 혹은 6개월(비용 지불시) 내 반박자료를 제출할 수 있다. 만약 반박자료가 제출되지 않을 경우 등록 거부가 확정된다. USPTO의 성명에 따르면 로보택시 상표 자체와 충돌하는 상표는 없었다. 문제는 USPTO가 로보택시를 무인 자율주행차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보통명사로 판단했다는 점이다. USPTO는 "로보택시는 '차량 공유 서비스에 이용되는 자율주행차'를 설명하는데 사용하는 용어"라며 "더버지와 죽스 등에 따르면 이 용어는 다른 회사에서 유사한 상품과 서비스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으로 테슬라 무인 자율주행차 모델명 선정이 원점으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IonQ)가 하버드대학교 출신 연구자가 설립한 미국 양자 메모리 스타트업을 인수했다. 아이온큐는 이번 인수로 수백만 큐비트 규모 양자컴퓨터 구현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유료기사코드] 아이온큐는 7일(현지시간) 라이트싱크 테크놀로지스(Lightsynq Technologies, 이하 라이트싱큐)와 최종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아이온큐는 인수 금액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아이온큐가 인수한 라이트싱크는 지난해 11월 아마존웹서비스(AWS) 양자 네트워킹 센터 책임자였던 미히르 바스카(Mihir Bhaskar) 박사 등이 공동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출범과 동시에 케르베로스 벤처스 등에서 1800만 달러(약 250억원) 투자를 유치했다. 라이트싱크는 양자 컴퓨팅 모듈을 연결해 풀 스케일 양자컴퓨터를 구축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라이트싱크는 자사의 기술이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 구축 방식과 동일하다고 설명했다.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 장치를 연결해 단일 장비처럼 작동하도록 만들어 강력한 연산성능을 구축한다. 특히 라이트싱크는 양자컴퓨팅 모듈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때 발생하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의 지도·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네이버 지도'가 한국 모바일 지도앱 시장에서 독보적 1위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지도의 성장 배경에는 생활 밀착형 서비스가 있었다는 분석이다. 6일 시장조사기관 센서타워에 따르면 네이버지도는 2021년부터 2025년 4월까지 한국 지도·내비게이션앱 일일 활성 이용자수(DAU) 통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센서타워는 네이버지도가 2위인 티맵과 3배이상의 큰 격차를 벌리며 압도적 1위에 올랐다고 설명했다. 센서타워에 따르면 네이버지도는 2021년부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왔다. 네이버지도의 DAU는 2021년보다 현재 3배 가량 증가했다. 네이버지도의 성장세에는 '실제 이용자 경험 개선'에 집중,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출시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지도는 한국어 뿐 아니라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해 외국인 이용자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 미국 이용자 리뷰에서 "한국어를 몰라도 원하는 곳으로 안내해주는 앱"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외에도 내비게이션과 지도 기능 통합과 방문자 리뷰·식당 예약·스마트 주문 등 네이버 주요 서비스와 유기
[더구루=홍성일 기자] 전임 테슬라 공급망 책임자가 설립한 스타트업이 인공지능(AI) 재고 관리 솔루션을 공개했다. 업계는 새로운 솔루션을 적용하면 기업의 재고 계획 수립 과정이 간소화되고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아토믹(Atomic)은 회사명과 동명의 AI 재고 관리 솔루션을 출시했다. 아토믹은 해당 솔루션을 이용하면 기업의 재고 관리 효율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아토믹은 2023년 테슬라 영업 운영 이사를 맡았던 마이클 로시터(Michael Rossiter)와 글로벌 수요 계획을 담당했던 닐 수이단(Michael Rossiter)이 공동 창립한 스타트업이다. 마이클 로시터와 닐 수이단은 테슬라에서 근무하며 공급망 조율 시스템 구축에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재고 관리 시스템의 중요성을 파악했다. 이후 모든 기업에 테슬라에서 경험한 재고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며 아토믹을 설립했다. 아토믹 솔루션을 이용하면 AI가 고객사의 데이터를 분석해 재고 계획을 자동화·최적화한다. 이를통해 기업은 과잉 재고로 인한 자본 낭비를 줄이고, 동시에 품절로 인한 판매 기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제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비움(Livium Limited, 옛 리튬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 엔바이로스트림(Envirostream Australia Pty Ltd)이 희귀 금속의 회수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금속 회수 기술을 보유한 아이온드라이브(Iondrive)에 재활용 원료를 제공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지속가능한 회수 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아이온드라이브에 따르면 엔바이로스트림과 심층공융용매(DES) 상용화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DES는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용해하거나 침전시켜 희귀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아이온드라이브는 DES 공정 테스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폐배터리를 분해해 얻은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에서 95%가 넘는 희귀 금속 회수율을 기록했다. 연말 시운전을 목표로 파일럿 설비도 건설하고 있다. 엔바이로스트림은 이번 텀시트에 따라 파쇄된 태양광 폐패널과 셀, 블랙매스, 희토류 자석, 전자폐기물 등을 수집해 아이온드라이브에 제공한다. 아이온드라이브의 DES 기술·경제성 테스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멕시코 핵심 데이터센터가 전력망 문제로 가스 발전기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멕시코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의 한계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가 지난해 5월 멕시코 케레타로주 콜론에 오픈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멕시코 센트럴(Mexico Central)'은 올해 2월부터 6개월 가량 가스 발전기 7대에 의존해 운영됐다. MS가 멕시코 환경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발전기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하루 12시간동안 가동됐으며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70%를 공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만4000가구가 1년동안 배출한 양과 같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MS는 2024년 5월 오픈 이후부터 올해 1월까지는 어떻게 에너지를 공급했는지, 7월 이후 가스 발전기를 운영할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멕시코 센트럴이 자체 가스 발전기를 동원한 배경에는 전력망의 건설 지연이 있다. 멕시코 센트럴은 중남미 지역의 첫 지역 리전으로, MS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과 교육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