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의 투자 전문 자회사 삼성넥스트가 투자한 이스라엘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헬시아이오(Healthy.io)'가 대규모 인력감축을 단행했다. 헬시아이오는 인력감축과 함께 추가 투자 유치도 발표했다. 이스라엘 경제매체 칼칼리스트(Calcalist)는 3일(현지시간) 헬시아이오가 전체 직원의 3분의 1의 해당하는 약 70명의 직원을 해고했다고 보도했다. 헬시아이오는 이스라엘, 미국, 영국 등에서 250여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었다. 이번 해고는 이스라엘과 영국에서 중점적으로 이뤄졌다. 헬시아이오는 대규모 인력감축과 함께 추가 자금 조달 소식도 전했다. 헬시아이오는 지난해 초 발표되지 않은 4500만 달러 투자를 포함한 5000만 달러(약 670억원) 규모 시리즈D 투자 라운드를 마감했다고 밝혔다. 헬시아이오의 이번 대대적 인력감축은 수익성 확보 차원에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헬시아이오는 향후 수익성을 확보, 기업공개(IPO)를 시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헬시아이오는 2013년 설립됐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한 소변검사 키트 기술 등을 개발했다. 삼성넥스트는 지난 2019년 9월 마감한 6000만 달러 규모 시리즈C 투자 라운드에 참여
[더구루=홍성일 기자] 캐나다의 AI 스타트업 코히어(Cohere)가 수천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코히어는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와 경쟁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데 집중한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뉴욕타임스는 지난 2일(현지시간)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 코히어가 2억5000만 달러(약 3330억원)를 투자받았다고 보도했다. 코히어는 이번 펀딩을 통해 20억 달러(약 2조6600억원) 가치를 인정받았다. 코히어의 펀딩에는 엔비디아, 세일즈포스, 이노비아 캐피탈, 인덱스 벤처스 등이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코히어는 2019년 구글 엔지니어 출신 에이단 고메즈, 닉 프로스트와 캐나다 기업가 이반 장이 함께 설립했다. 코히어는 캐나다 토론토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챗봇, 검색엔진과 같은 AI 기반 제품을 배포할 수 있는 기술 인프라를 개발해왔다. 현재 코히어는 오픈AI와 경쟁할 수 있는 AI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코히어에 대한 대규모 투자로 챗GPT 출시로 시작된 AI 부문 투자 확대가 이어지는 모양새다. 지난 2월에는 콘텐츠 생성 AI 스타트업 타입페이스(Typeface)가 870억원에 달하는 투자를 유치했다. 타입페이스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AR-VR 디스플레이 시장이 메타버스 등 몰입형 기술의 발전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며 빠른 성장세가 기대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인사이트슬라이스는 2일(현지시간) AR-VR 디스플레이 시장에 대한 독점 보고서를 발행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AR-VR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는 13억7000만 달러(약 1조8300억원)으로 추산됐다. 인사이트슬라이스는 AR-VR 디스플레이 시장이 매년 평균 34.8% 성장해 2032년에는 271억7000만 달러(약 36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인사이트슬라이스는 해당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을 이끄는 주요 요인으로 △몰입형 기술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하드웨어 발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채택 증가 △AR, VR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증가 △원격 근무와 시각화에 대한 수요 증가 △AR-VR 기술을 활용한 이커머스, 리테일 산업 확장 등을 뽑았다. 몰입형 경험 기술 수요의 경우 인터랙티브하고 매력적인 경험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욕구가 점차 강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는 디스플레이는 물론 프로세서, 센서 등 관련 하드웨어 기
[더구루=홍성일 기자] 홍콩의 웹3 기업 애니모카브랜즈가 멕시코의 암호화폐 전문기업 '갤럭틱 홀딩스(Galactic Holdings)에 베팅했다. 라틴아메리카(LATAM) 지역의 암호화폐 생태계 확대를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갤럭틱 홀딩스는 BAI 캐피탈이 주도한 사전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1000만 달러(약 134억원)를 조달했다. 펀딩에는 애니모카브랜즈를 포함해 Y2Z벤처스, 롱링 캐피탈, 헤드&숄더, TKX 디지털 그룹, 퍼서비어런스 캐피탈, 팜 드라이브 캐피탈 등이 참여했다. 갤럭틱 홀딩스는 멕시코시티를 기반으로 라틴아메리카 시장에 암호화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갤럭틱 홀딩스는 암호화폐 지갑 '트루비트월렛' 외에도 암호화폐 거래소 트루비트 프로, 멕시코 페소 고정 스테이블 코인 'MMXN' 등 암호화폐 거래 올인원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갤럭틱 홀딩스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팀 확장을 위한 추가 고용에 투입한다. 이를통해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고 규정 준수 부문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애니모카브랜즈 등도 갤럭틱 홀딩스 투자를 통해 라틴 아메리카 암호화폐 생태계 확장을 도모한다. 라틴아메리카는 세계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SDS가 미국 특수전사령부(USSOCOM)이 업계 파트너들과 함께 개최하는 컨퍼런스에 참여한다. 삼성SDS는 컨퍼런스를 통해 차세대 군사 솔루션을 선보인다는 목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S는 8일(현지시간)부터 11일까지 플로리다주 탬파에 위치한 탬파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되는 SOF위크 2023(SOF WEEK2023)에 참가한다. USSOCOM은 10년 이상 업계 파트너들과 함께 플로리다 주 탬페에서 연례 컨퍼런스를 진행해왔다. 2021년에는 미 육군이 진행하는 AUSA 내셔널 미팅, 공군의 AFA 내셔널 컨벤션과 같이 행사를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행사 이름을 'SOF위크'로 변경하고 올해 첫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파트너사들의 전시와 함께 특수전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들의 스피치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삼성SDS는 이번 행사에서 군사 조직에 맞춰 개발된 혁신적인 솔루션을 선보인다. 해당 솔루션에는 고급 데이터 분석부터 모바일 장치 보안 관리 기술까지 포함됐다. 삼성SDS는 해당 솔루션이 생산성은 높이고 비용은 절감하면서 군사 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카카오 블록체인 네트워크 '클레이튼'의 거버넌스 카운슬 멤버가 변동됐다. 클레이튼은 암호화 관련 조직을 거버넌스 카운슬 멤버로 합류시키며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클레이튼은 2일(현지시간)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인 해시드와 웹3 인큐베이터 스러스트가 5월부터 거버넌스 카운슬에서 물러난다고 밝혔다. 클레이튼은 두 회사의 탈퇴에 대해 상호합의에 따른 것으로 향후에도 생태계를 위한 협력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거버넌스 카운슬은 카카오와 함께 클레이튼 플랫폼을 운영하는 파트너사들로 다수의 기업이 참여, 노드를 구성하고 있다. 이를통해 합의가 필요한 작업 등을 공동으로 처리하고 이에 따른 보상을 받게된다. 해시드와 스러스트가 탈퇴한 자리에는 아시아 블록체인 게임 연합(ABGA)와 P2EALL이 합류한다. ABGA는 아시아 중심의 비영리 블록체인 게임 연합으로 특히 중화권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블록체인 게임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ABGA에는 운용자산 5억달러 이상의 비트라이즈 캐피털을 비롯해 50개 이상의 회원 기관이 가입돼 있다. P2EALL은 블록체인 게임 랭킹, 에어드랍, 캘린더, 뉴스 등 P2E 유저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글로벌 파생상품 거래소를 출범시켰다. 미국 내 암호화폐 거래소 규제, 조사가 강화되는 가운데 리스크 헤지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코인베이스는 2일(현지시간) 글로벌 파생상품 거래소 '코인베이스 인터내셔널(Coinbase International)'을 출범시켰다고 발표했다. 코인베이스는 '코인베이스 인터내셔널'이 버뮤다 통화청(BMA)로부터 규제 라이선스를 승인받아 출범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 인터내셔널은 미국 외 적격 관할권에 있는 투자자들이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한 선물 거래 제공한다. 무기한 선물은 말 그래도 기한이 없는 선물거래라고 할 수 있다. 무기한 선물은 대부분의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방식으로 2022년 전세계 암호화폐 거래량의 약 75%를 차지했다. 코인베이스 인터내셔널은 출범과 함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무기한 선물 계약을 상장했다. 모든 거래는 USDC로 결제되며 최대 5배 레버리지를 제공하며 현재는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개인 투자자들은 이용할 수 없다. 코인베이스가 미국 밖에서 거래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것은 지난달 블룸버그의 보도를 통해 전해졌다. 블룸
[더구루=홍성일 기자] kt그룹 희망나눔재단은 올해 첫 희망나눔인상에 울산에서 30년 가까이 자원봉사를 해온 이상순씨를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울산대병원 호스피스 병동에서 암환자 간병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이 씨는 봉사활동을 26년째 이어가며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이 씨는 오랜 시간 다양한 봉사를 펼쳤다. 1993년 미용기술을 배우고 경로당에 실습을 나가면서 자원봉사이 시작됐다. 배운 기술을 더 익히기 위해 시작한 봉사활동이었지만 이 씨의 손길을 기다리는 어른들이 많아지자 정기적인 봉사활동이 됐다. 이 씨는 요리자격증, 아기돌봄, 산후돌봄 등 봉사를 위해 받은 자격 수료증만 45개에 이른다. 다양한 과정을 수료하다 간병인 과정을 수료한 뒤 간병 자원봉사도 시작하게 됐고, 매주 호스피스 병동을 찾아 환자들을 만나고 있다. 이 씨는 최근 바리스타 자격증도 따 커피를 판매하며 기부금을 모으는 행사에도 참여할 정도로 봉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울산 지역사회에서도 이 씨를 '봉사의 여왕'으로도 부르며 지난해 울산 자원봉사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자원봉사를 하게 되는 이유에 대해 묻자 이 씨는 "집에 가만히 있으면 몸이 찌뿌둥한데 봉사를 갈 생각
[더구루=홍성일 기자] 러시아의 로봇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침공의 서방의 부품과 기술 유입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자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생태계 조성이 이뤄지고 있다. 세르게이 소뱌닌(Sergey Sobyanin) 모스크바 시장은 30일(현지시간) 자신의 텔레그램을 통해 청소로봇 '픽셀야(Пикселя)'가 배치됐다고 밝혔다. 모스크바 시는 픽셀야를 15대 배치할 계획이다. 모스크바 시는 시험 운행을 진행하고 있으며 관리자가 관리하며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픽셀야는 도시 내 거리를 청소하도록 설계된 로봇으로 모스크바 주립대학교 과학기술 밸리 내 '로모노소프 클러스터'에 입주해있는 아브토노미카(Avtonomika)에서 개발했다. 아브토노미카는 해당 로봇의 본체 디자인, 설계, 소프트웨어까지 100% 러시아에서 개발했으며 제어 시스템 등은 벨라루스 파트너사와 함께 개발했다. 픽셀야는 16시간동안 연속으로 청소가 가능하며 길거리에 이물질을 빨아드리는 등의 건식 청소 방식 외에도 물청소도 가능하다. 세르게이 소뱌닌 시장은 그러면서 경비 로봇에 대한 파일럿 테스트가 완료돼 양산을 앞두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한 모스크바 내 3곳에 세계 최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유럽의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 엔웨어(Nware)와 게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을 두고 MS가 액티비전블리자드 인수와 관련 유럽 경쟁당국들의 승인을 얻기위한 포석이라는 평가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브래드 스미스(Brad Smith) 마이크로소프트 사장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엔웨어와 10년짜리 제휴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제휴계약에 따라 향후 10년간 엑스박스 개발 게임은 물론 액티비전블리자드 개발 게임도 엔웨어에 공급한다. MS는 이번 계약으로 더 많은 클라우드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에 인기 타이틀을 공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MS가 엔웨어에 게임을 공급하겠다며 10년짜리 계약을 체결한 데는 액티비전블리자드 인수건이 맞물려있다. MS는 2022년 1월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687억 달러(약 90조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는 게임업계 역대 최대규모 M&A로 인수가 완료되면 MS는 콜 오브 듀티, 디아블로, 월드오브워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등 글로벌 인기 IP 다수를 확보해 게임 산업 내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게임업계 사상 최대 M&A인 만큼
[더구루=홍성일 기자] SK텔레콤이 투자한 이스라엘 바이오 기업 '나녹스(NANO-X IMAGING LTD)'의 디지털 엑스레이(X-ray) 촬영기기 '나녹스 아크(Nanox.ARC)'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판매승인을 받았다. [유료기사코드] 나녹스는 1일(현지시간) FDA로부터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인 나녹스 클라우드를 포함해 멀티소스 나녹스 아크를 판매할 수 있는 510(k)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나녹스는 이번 인증으로 FDA 승인을 기반으로 하는 타 국가에서도 나녹스 아크의 승인이 용이해졌다고 덧붙였다. 나녹스의 FDA 판매 승인 소식에 주가도 반응했다. 나녹스의 주가는 1일 68.41%가 상승해 종가기준 주당 10.29달러에 안착했다. 지난해 12월 9일 주당 10달러선이 붕괴되고 6개월여만에 10달러 선을 돌파한 것이다. 나녹스는 보건 규제 당국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추가 규제 허가를 추진하고 임상 적응증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나녹스 관계자는 "오늘의 이정표는 다양한 전문의료시설에서 최첨단 의료 영상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하는 노력의 중요한 성과"라며 "나녹스의 혁신적인 기술과 접근 방식은 의료 영상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뿐
[더구루=홍성일 기자] SBI홀딩스가 암호화폐 수탁업체 조디아 커스터디(Zodia Custody)에 베팅했다. 일본 내 대표적인 친(親) 암호화폐 기업으로 꼽히는 SBI가 암호화폐 생태계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조디아 커스터디는 SBI홀딩스와 스탠다드차타드 산하 벤처 부문 'SC벤처스'로부터 3600만 달러(약 483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조디아의 모회사인 스탠다드차타드의 추가 투자와 함께 지난 2월 일본 내 암호화폐 자산 수탁업체를 설립하기 위해 손잡은 SBI홀딩스가 조디아에 대한 투자를 진행한 것이다. SBI홀딩스와 조디아는 암호화폐 수탁업체 설립을 위해 조인트 벤처를 설립했다. 조디아 커스터디는 이번 투자에 대해 암호화폐 수탁 부문에 대한 기관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디아 커스터디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토큰 커버리지 확대에 투입한다. 또한 고객들의 자산 보호 결제 서비스인 '인터체인지'를 강화하는데도 사용할 예정이다. 조디아 커스터디 관계자는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미래 방향을 명확하다"라며 "투자자들이 더 큰 확신과 엄격함을 요구함에 따라 규정 준수는 시장 확대의 매우 중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만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이노룩스(Innolux)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자회사 카유엑스(CarUX)의 미국 증시 상장을 공식화했다. 이노룩스는 이번 상장을 통해 디스플레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미래차 시대의 핵심 기술 공급사로서 입지를 다지는 한편 스마트 모빌리티 시대에서 글로벌 전장 경쟁의 주도권을 거머쥔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이노룩스는 지난 7일(현지시간) 대만 이노룩스 본사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자회사 카유엑스(CarUX)의 미국 증시 상장(IPO) 안건을 통과시켰다. 향후 뉴욕증권거래소 상장까지 마무리되면 이는 이노룩스의 첫 해외 IPO 사례가 된다. 홍진양 이노룩스 회장은 “올해는 이노룩스 청사진인 '666계획'에서 ‘돌파구적 변혁(突圍轉型)’ 2단계 진입하는 중요한 해”라며 “이번 상장을 통해 카유엑스의 재무 구조를 개선하고 우수 인재 유치 및 기술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카유엑스는 △스마트콕핏 △증강현실(AR) 헤드업 디스플레이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등 고부가가치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특화된 자회사다. 대표 제품으로는 △9.6인치 마이크로LED AR 전면유리 반사형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채굴기업 사이퍼마이닝(Cipher Mining)이 프랑스 에너지 기업 엔지(ENGIE)와 전력 공급 계약을 맺었다. [유료기사코드] 사이퍼마이닝은 엔지와 미국 텍사스주(州) 소재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예비 계약을 맺었다고 14일 밝혔다. 사이퍼마이닝은 엔지 풍력 발전소에서 최대 300㎿(메가와트)의 전력을 공급받는다. 사이퍼마이닝은 비트코인 채굴용 컴퓨터 제조업체인 네덜란드 비트퓨리그룹의 미국 자회사다. 비트퓨리는 비트코인 채굴용 컴퓨터와 블록체인 소프트웨어·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다. 사이퍼마이닝은 최근 고성능컴퓨팅(HPC) 호스팅을 위한 산업용 데이터센터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