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국내 혼합현실(XR) 글라스 제조사 '피앤씨솔루션'이 국내외 기업으로부터 러브콜을 받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과 잇따라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경쟁력을 확보, 성장 가속페달을 밟는다. 7일 싱가포르 경제매체 '더월드폴리오(The Worldfolio)에 따르면 최치원 피앤씨솔루션 대표는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에 있는 한 방위 회사가 우리에게 연락해 미 공군 내 항공기 수리를 위해 증강현실(AR) 안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며 "우리는 프로젝트를 제안했고, 현재 미 공군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그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항공기를 수리하는 정비사가 AR 안경을 착용하면 오류를 최소화해 작업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게 최 대표의 설명이다. 예를 들어, 항공기에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은 볼트를 인식, 사용자에게 시각적 알림을 보낸다. 작업 후 검사관 등이 최종 점검을 할 때도 활용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공급 뿐만 아니라 기술 교류 측면에서도 국내외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해외 기업 중에서는 퀄컴, 델, 소니 등을 파트너사로 확보했다. 피앤씨솔루션은 퀄컴과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피앤씨솔루션은 퀄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 현대, SK가 포춘이 선정한 글로벌 500대 기업 중 10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세계 각국에서 활발한 기업 활동을 펼친 성과를 인정받고 있지만 여전히 일부 전자, 자동차, 철강과 에너지 부문에 치우쳐 있는 모습이다. 특히 유통, 바이오 부문에서 이름을 올린 한국 기업은 단 한 곳도 없어 다소 아쉽다는 평가다. 6일 포춘이 지난달 발표한 '포춘 글로벌 500'에 따르면 삼성, 현대, SK 등을 포함한 한국 민간·공기업 15개가 500위 안에 안착했다. 평균 순위는 전년 대비 하락했다. 작년만 하더라도 500위권 내 기업이 18개 였지만 올해 15개 기업으로 줄었다. SK하이닉스, CJ그룹, 삼성생명보험이 순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삼성전자(31위) △현대차(73위) △SK(100위)는 유일하게 '톱 100' 내 들었다. 삼성전자와 SK는 지난해와 비교해 순위가 각각 6위, 8위 하락한 반면 현대차는 12위 상승하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삼성전자는 작년 반도체 업황이 주춤한 데 따른 실적 악화 영향으로 순위가 떨어진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차는 전기차 시장 부진에도 불구하고 공고한 판매 실적을 기록한 것이 주효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마이크론이 업계 최초로 최신 PCIe(PCI 익스프레스) 규격을 기반으로 하는 고성능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소비자용부터 서버용까지 SSD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마이크론은 지난 5일(현지시간) PCIe 6.0(6세대) 규격 기반 데이터센터용 SSD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PCIe 5.0 기반 데이터용 SSD '마이크론 9550'을 출시한 데 이은 성과다. 마이크론은 높은 기술력을 요하는 인공지능(AI) 분야에 대한 광범위한 수요를 지원하기 새로운 기술을 선보였다. 파트너에게 PCIe 6.0 기반 SSD 기술을 제공해 관련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차세대 SSD 시대를 연다는 포부다. PCIe 6.0 기반 SSD는 26GB/s 이상의 순차 읽기 대역폭을 제공한다는 게 마이크론의 설명이다. 마이크론 9550의 순차 읽기(14GB/s) 속도 대비 약 2배 가량 높다. PCIe은 프로세서와 저장장치, 그래픽카드와 AI 가속기를 연결하는 데이터 전송 규격이다. 표준화 단체인 PCI-SIG(스페셜 인터레스트 그룹)가 주관한다. 현재 PCIe 규격은 7.0
[더구루=정예린 기자] 포스코가 아르헨티나 리튬 공장 가동을 앞두고 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안전 교육에 나섰다. 현지 주민들과의 접점을 넓히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아르헨티나법인은 최근 살타주 구에메스시 청소년환경국과 함께 '화학 물질 비상사태에 대한 교육의 날'을 진행했다. 화학물질 유출 등 사고가 발생했을 때 대응 방안을 교육했다. 구체적으로 △사고 발생시 처리 프로토콜 △화학적 비상사태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장비 사용법 △응급 상황 발생시 활용 가능한 심폐소생술(CPR) 등 처치 기술 등을 주제로 다뤘다. CPR 방법 등의 경우 시연도 실시했다. 포스코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임직원 뿐만 아니라 공장 인근 지역 청소년과 주민들에게도 대응 방안 알리기에 나섰다. 화학 물질을 다루는 시설인 만큼 사고가 발생할시 대규모 사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떄문이다. 이를 통해 각종 위험을 사전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목표다. 포스코는 2018년 3100억원을 투자해 옴브레 무에르토 리튬 염호를 인수했다. 2022년부터 연산 2만5000t 규모의 염수 리튬 1단계 상·하공정 건설에 돌입했다. 상공정에서 탄산리튬을 생산하며 이를 하공
[더구루=정예린 기자] 러시아에서 국영기업의 자국산 전자제품 사용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수입품에 대한 장벽을 높여 현지 기업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 무선·정보 기술·디지털 혁신·엔지니어링 기업 협회는 최근 안톤 알리하노프 산업통상부 장관에 서한을 보냈다. 국영기업의 공공구매 입찰 시 러시아산 제품을 우선시하는 법안의 채택을 서둘러 줄 것을 요청했다. 해당 법안 통과를 촉구하기 위한 움직임은 지난달 19일(현지시간) 상트페테르부르크 상공회의소(CCI)에서 열린 '러시아 전자제품 현지화: 국내 제품의 생산 및 판매 통제' 라운드 테이블에서 본격화됐다. 외국 제품에 의한 국내 제품 경쟁력 하락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다. 특히 중국 기업의 저가 공세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협회는 서한에서 "현재 상당량의 시장을 포괄하는 국가 참여 기업은 러시아 제품에 대해 가격 선호도와 최소 의무 지분만을 사용해야 하지만 실제로 이러한 메커니즘은 실제로 작동하지 않는다"며 "해외 구매 금지만이 국내 생산자들이 특히 첫 단계에서 중국과 경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이 모빌리티 시장 확대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코발트 자체 공급망 구축에 나서고 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가운데 정부 주도 하에 안정적인 원자재 조달 역량을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정부는 해저 대륙붕에 분포한 광물자원을 탐사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6월 최동단 미나미토리시마(南鳥島) 주변 배타적경제수역(EEZ)에 대한 자원탐사를 수행해 일본 국내 소비 분의 75년 치에 이르는 코발트 약 60여만 톤이 매장됐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탐사를 주도한 일본재단과 도쿄대학 연구진은 당시 "약 1만 평방 킬로미터 범위에 망간단괴 2.3억 톤이 분포해 있으며, 2025년 실증 사업을 통해 2026년 상업화 추진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었다. 다만 실증 사업과 상업화가 성공적으로 이뤄질 지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재활용도 활발하다. 일본은 코발트를 활용해 다양한 중간재(소재)를 생산하는데, 최근 소재 재활용 비율을 높이고 있다. 일본촉매자원화협회가 발표한 '일본 코발트 재활용 추이'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이었던 지난 2020년을 제외하고 매년마다 코발트 재활용 물
[더구루=정예린 기자] 파나소닉이 수소 기술을 상업용 에어컨에 접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수소연료전지 기반 에어컨을 상용화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3일 파나소닉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수소연료전지를 상업용 에어컨의 흡수식 냉각기 열원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테스트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테스트는 일본 시가현 구사쓰시에 위치한 파나소닉의 RE100 솔루션 실증시설 'H2 키보우 필드(KIBOU FIELD)'에서 진행된다. 파나소닉은 시범 테스트에 5kW급 수소연료전지 발전기 10개와 파나소닉이 새롭게 개발한 흡수식 냉각기 1개를 활용한다. 95%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하고, 건물 에어컨 전력 소비를 50%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에는 수소연료전지 발전기에서 회수할 수 있는 열(최대 60도)과 흡수식 냉각기 작동에 필요한 열원 온도(최소 80도) 사이에 온도차가 있어 수소연료전지에서 만들어지는 열을 열원으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열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온도 차이를 해소해야만 했다. 파나소닉은 수소연료전지 발전기와 고효율 공조 시스템인 흡수식 냉각기를 모두 개선했다. 수소연료전지 발전기는 70도의 열을 만들어내
[더구루=정예린 기자] SK그룹이 배터리 핵심 소재 기술 개발을 통해 전고체 배터리 시장 개화에 대비한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가 앞다퉈 관련 기술 확보에 나서며 누가 주도권을 쥐게 될지 이목이 쏠린다. 2일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지난 7월 SK그룹 계열사가 출원한 특허 52건을 승인했다. 승인받은 특허 수는 지난달(67건) 대비 소폭 감소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SK온의 전고체 배터리 개발 현황이 확인됐다는 것이다. SK온은 작년 12월 '전고체전지용 복합양극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특허번호 CN118281144A)'라는 제목의 특허를 출원하고 지난달 승인받았다. 이 특허는 양극 활물질과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기판에 도포, 복합산화물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등 전고체 배터리용 복합 양극 제조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이례적으로 특허 설명과 함께 사진도 공개됐다. 사진은 슬러리가 도포된 기판으로 보인다. SK온 외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의 전고체 배터리 소재 개발 상황이 중국에 출원한 특허를 통해 수면 위로 떠오르며 국내 기업들의 전고체 배터리 개발 경쟁은
[더구루=정예린 기자] LG그룹이 중국에서 특허 활동을 통해 미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핵심 계열사가 힘을 합치는 것은 물론 전고체 배터리 분야 등에서 전방위 협력을 적극 추진하며 기술 선점을 위한 행보에 속도를 낸다. 2일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지난 7월 LG그룹 계열사가 출원한 특허 각각 242건을 승인했다. 승인받은 특허 수는 지난달(291건) 대비 소폭 감소했다. LG그룹은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등 LG그룹 내 6개 계열사가 지난달 특허를 출원했다. LG에너지솔루션(99건)이 가장 많은 특허를 손에 넣었다. △LG전자(66건) △LG이노텍(35건) △LG화학(34건) △LG디스플레이(6건·공동 출원) △LG생활건강(2건)이 뒤를 이었다. 특히 내·외부 기업과의 파트너십이 눈에 띄었다. 가장 주목할 만한 협력은 배터리와 자동차 분야에서 확인됐다. LG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이 모빌리티 분야 합종연횡이 활발하게 진행되며 기업 경쟁력 강화에 보탬이 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금호석유화학과 공동으로 전고체전지용 전해질을 개발했다. ‘고체전해질막과 이를 포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이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중국에서 특허 승인 행렬을 이어가고 있다. 연초부터 이어진 통신과 배터리, 의료 장비 등 미래 사업 기반이 될 주요 기술에 대한 특허권을 잇따라 확보,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1일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지난달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메디슨 등이 지난 2016년부터 올 1월까지 출원한 특허 695건을 승인했다. 승인 절차는 9일에 걸쳐 이뤄졌다. 삼성전자가 관계사 중 가장 많은 389건의 특허권을 인정받았다. △삼성디스플레이(223개) △삼성전기(50개) △삼성SDI(32개) △삼성메디슨(1개) 순이었다. 하루 평균 22건의 특허에 대한 허가를 확보한 셈이다. 삼성전자가 출원한 특허는 반도체부터 통신, 스마트폰·웨어러블 장치 등 전자기기, 가전 등까지 주요 사업군에 대한 기술이 두루 포함됐다. 인공지능(AI), 로봇, 증강현실(AR) 등 신사업에 관한 특허가 눈에 띄었던 상반기와 달리 기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삼성전자의 주요 승인 특허로는 △3차원 적층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특허번호 CN11841235
[더구루=정예린 기자]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아시아 주요 생산거점인 말레이시아 동박 공장에 대한 추가 투자를 검토한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그룹의 '신성장동력'으로 낙점한 2차전지 소재 분야에 대한 전폭적인 재정지원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1조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까지 단행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1일 사라왁주에 따르면 아마르 아왕 뜽아 알리 하산(Amar Awang Tengah Ali Hasan) 주 부총리가 이끈 대표단은 지난달 30일 서울 모처에서 박인구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영업구매본부장(전무) 등 관계자와 회동했다. 37억 링깃(약 1조100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 전략이 핵심 화두로 떠올랐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당초 12억 링깃(약 3600억원)을 쏟아 말레이시아 7·8공장을 증설하려고 했으나 25억 링깃(약 7500억원)을 더해 37억 링깃까지 투자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는 게 사라왁주의 설명이다. 25억 링깃은 7·8공장 이후 9~12공장 건설까지 예상해 책정된 투자 금액으로 풀이된다. 다만 실제 투자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실제 7·8공장 건설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다. 현재 말레이시아 공장 인근에 추가 생산시설을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현대차그룹 미국법인 임직원들이 정치 후원금을 통해 미국 대선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삼성의 경우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등 민주당을, 현대차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등 공화당을 지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더구루가 미국 로비·정치 자금 지출 규모를 집계해 제공하는 비영리단체 '오픈시크릿(OpenSecrets)' 자료를 토대로 삼성과 현대차 미국법인 소속 임직원들의 정치 기부금(지난달 16일 기준)을 분석한 결과 삼성은 해리스 부통령에 가장 많은 후원금을 냈다. 반면 현대차는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기부금 액수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오픈시크릿의 데이터는 기업이 아니라 기업 소속 개인 혹은 해당 개인의 직계 가족이 오는 11월 5일(현지시간) 열릴 대통령과 상원 선거 후보자와 정당 등에 200달러 이상 기부한 후원금을 기반으로 한다. 기업이나 노동조합 등은 슈퍼팩(PAC)을 통해서만 연방선거 후보자에게 정치 자금을 기부할 수 있다. 각 개인이 소속된 3만2909개 조직 중 기부액 규모 기준 삼성은 4063위, 현대차는 1만436위에 올랐다. 삼성 소속 개인은 총 6만3756달러, 현대차는 9065달러의 정치 후원금
[더구루=정예린 기자] 벨기에 연구진이 '차세대 3D D램' 구현을 위한 고밀도 적층 구조를 120단까지 안정적으로 쌓으며 개발 가능성을 입증했다. 메모리 집적도를 획기적으로 개선, 인공지능(AI) 서버와 데이터센터용 고용량 메모리 수요 대응에서도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벨기에 반도체산업 연구기관 '아이멕(IMEC)'과 겐트대학교(Ghent University)에 따르면 공동 연구팀은 직경 300mm 웨이퍼 위에 실리콘(Si)과 실리콘-게르마늄(SiGe) 층을 에피택셜 방식으로 교대로 쌓아 120단에 달하는 다층 구조를 안정적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어플라이드 피직스(Journal of Applied Physics)'에 논문으로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3D D램 개발 난제를 해결하는 데 의미가 있다. 3D D램은 기존 평면형 D램과 달리 메모리 셀을 수직으로 쌓아 동일 면적에서 더 많은 저장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다. 층을 수직으로 쌓음으로써 수천 개의 셀을 단위 면적에 집적할 수 있어 기존 2D D램에서 나타나는 면적·속도·전력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기존에는 실리콘과 실리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가 미국 네바다주에 위치한 전용 공장에서 대형 전기 화물 트럭 '세미(Semi)'의 본격적인 양산 준비에 돌입했다. 테슬라가 세미 제조를 위한 대형 스탬핑 프레스를 공장으로 반입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세미의 생산 개시가 임박했다는 전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가 네바다주 기가팩토리 인근에 위치한 '세미 팩토리(Semi Factory)'에 초대형 스탬핑 프레스를 반입하는 영상이 공개됐다. 해당 영상은 자네글러(Zanegler Tesla Semi Advocate)라는 유튜버가 공개했다. 이 영상에는 거대한 규모의 스탬핑 프레스가 트레일러 두 대와 3중 트레일러에 실려 운송되는 모습이 담겼다. 스탬핑 프레스는 세미 차체 제작에 필수적인 핵심 설비다. 앞서 테슬라는 지난달 20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공장 건물 외장과 주차 시설 등의 공사가 끝난 '세미팩토리(Semi Factory)'의 모습을 담은 신규 영상을 게재한 바 있다. <본보 7월 21일자 기사 참고 테슬라, '美 네바다 세미트럭 공장' 외부 공사 마무리…신규 영상 공개> 세미는 기존 디젤 대형 트럭을 대체할 수 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