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브랜드 인기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싼타페'를 앞세워 베트남 시장 판매량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특히 지난달 5세대 신형 '디 올 뉴 싼타페' 공식 출시 이후 동급 세그먼트 1위 모델인 포드 에베레스트와의 판매 격차가 급격하게 줄어들었다는 점에서 기대감이 높은 상태이다. 15일 베트남자동차산업협회(VAMA)에 따르면 현대차 싼타페는 지난달 베트남 시장에서 758대 판매됐다. 이는 전월(511대) 대비 48% 증가한 수치이다. 올해 들어 누적 판매량은 3899대로 집계됐다. 현지 D세그먼트 SUV 부문 월간 판매 순위는 2위다. 1위인 포드 에베레스트(948대)와 판매 격차는 전월 301대에서 190대까지 좁혀졌다. 싼타페, 에베레스트와 함께 3파전을 벌이고 있는 토요타 포튜너는 같은 달 451대 판매로 3위를 기록했다. 특히 싼타페는 현대차 베트남 합작사 현대탄콩 월간 실적 향상에도 기여했다. 액센트와 크레타에 이어 세 번째로 판매량이 높았다. 이에 힘입어 현대탄콩은 지난달 베트남 시장에서 6518대를 판매했다. <본보 2024년 10월 14일 참고 현대차, 베트남 왕좌 ‘흔들’…토요타 추월 ‘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가 지난주 공개한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명명 체계 구축에 나섰다. 차량 특징과 발음 등을 고려해 모델명을 최종 결정하고 미국 특허청(USPTO)에 상표를 신청했다. 다만 아직 승인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모델명 재차 변경 가능성은 남았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USPTO에 '로보택시'(Robotaxi) 상표를 출원했다. 지난 시제품 공개 행사에서 선보인 자율주행 차량의 공식 모델명이 되는 셈이다. 행사 당시에는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이었던데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까지 모델명을 '사이버캡'과 '로보택시'로 혼용, 혼동을 줬었다. 테슬라는 로보택시와 함께 '로보버스'(Robobus) 상표도 출원했다. 로보버스는 테슬라가 준비 중인 상업용 전기차의 공식 모델명이 될 전망이다. 당초 상업용 전기차 모델명은 로보밴으로 정했으나 발음상 로보버스가 더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일론 머스크 CEO가 발음 문제를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머스크 CEO는 지난 행사에서 해당 모델명을 로보밴이 아닌 뤄보빈(ruh-BO-vin)이라고 반복하는 등 발음하는 데 어려움을 나타냈다. 아직 테슬라 공식 홈페이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대형 플래그십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팰리세이드 최고급형 트림인 캘리그라피가 러시아에 등장했다. 현지 자동차 수입 업체가 병행 수입을 통해 물량을 풀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현대차가 현지 시장을 공식 철수한 상황에서도 판매를 통한 브랜드 유지가 이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팰리세이드 캘리그라피는 현재 모스크바에서 공식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현지 딜러사가 병행수입한 물량을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병행 수입은 수입업자가 직접 상품을 수입·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판매 담당 딜러사명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현지 내 대규모 딜러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아빌론 홀딩(Avilon Holding)이 병행 수입을 추진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빌론 홀딩은 중국 버전 스포티지와 K5, 셀토스 등 기아 자동차 병행 수입을 맡고 있는 곳이다. 팰리세이드 캘리그라피 현지 판매 가격은 780만 루블(한화 약 1억1100만원). 국내 판매가(5070만 원)와 비교해 2배 이상 비싸게 책정됐다. 병행수입 판매 특성상, 한정된 물량을 취급하기 때문이다. 팰리세이드 캘리그라피는 높은 가격에도 현지 운전자들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연말 베트남 시장 판매 '톱3' 자리를 놓고 포드와 미쯔비시와 경쟁을 펼치고 있다. 현지 맞춤형 전략을 토대로 판매량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누적 판매 기준 이들 경쟁사와의 격차가 5000대 수준까지 벌어진 상태이다. 여기에 6위 마쯔다의 맹추격까지 더해지고 있어 남은 기간동안 판매 확대를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14일 베트남자동차산업협회(VAMA) 등에 따르면 기아 베트남 합작법인 타코기아는 지난달 베트남 시장에서 총 4015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7% 상승한 수치이다. 시장 점유율은 12.5%로 월간 판매 순위는 4위를 기록했다. 같은 달 1위는 토요타(6986대), 2위는 현대차(6518대)가 차지했고, 3위와 5위는 각각 미쯔비시(5385대)와 포드(3967대)가 이름을 올렸다. 올해 누적 판매량 기준으로는 5위를 달리고 있다. 1월부터 9월까지 9개월간 전년 대비 18% 두 자릿수 하락한 2만2948대를 판매했다. 점유율은 11.8%로 집계됐다. 연말 3위 자리를 놓고 3파전을 펼치고 있는 포드(2만8038대), 미쯔비시(2만7933대)와 판매 격차는 각각 5090대와 498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일본 토요타를 제치고 어렵게 탈환한 베트남 1위 자리가 다시 흔들리고 있다. 지난 4월 부터 6개월 연속 토요타에 월간 판매량이 뒤처졌다. 아직까진 누적 판매량 기준 소폭 앞서고 있으나 현재 추세가 계속될 경우 연말 토요타에 베트남 자동차 왕좌를 내줄 것으로 보인다. 14일 베트남자동차산업협회(VAMA) 등에 따르면 현대차 베트남 합작사 현대탄콩은 지난달 베트남 시장에서 6518대를 판매했다. 월간 판매 순위는 2위다. 현지 판매 라인업 중에선 액센트가 같은 달 1290대를 기록하며 브랜드베스트셀링카 역할을 했다. 액센트와 더불어 크레타(1068대)와 싼타페(758대)가 선전했다. 현대차는 토요타(6986대)에 468대 밀려 1위를 내줬다. 토요타 1위는 지난 4월 부터 6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1분기를 제외한 나머지 모두 토요타에 판매량이 뒤처졌다. 현대차의 올해 누적 판매량은 4만907대이며, 토요타는 4만503대로 양사간 격차는 404대다. 문제는 양사 판매 격차가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는 것. 현재 추세가 이어질 경우 당장 4분기 시작인 10월 부터 누적 판매 순위가 역전될 가능성이 높다. 4분기 남은 기간 연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연간 인도 광고 캠페인 비용으로 1000억 원이 넘는 비용을 지출했다. 현지 법인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대규모 광고 예산을 할당, 인도 전용 '밈(Meme)'을 만들어 정서적인 교감을 높이는 데 주력하는 등 IPO 흥행 포석을 까는 데 집중한 결과이다. 14일 현대차 인도판매법인(HMIL)이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에 제출한 IPO 관련 예비서류(DRHP)에 따르면 HMIL은 2023 회계연도(FY23) 기간 판매 촉진을 위한 광고 캠페인 비용으로 67억7000만 루피(한화 약 1088억 원)을 지출했다. 신제품 출시 등으로 광고 캠페인에 힘을 줬던 지난 FY22(49억1000만 루피)때보다 37.6% 두 자릿수 증가한 수치이다. HMIL의 이 같은 광고 캠페인 비용 증가는 다른 완성차 업체들과 비교할 때 더욱 실감난다. 적게는 1억에서 많게는 35억 루피까지 차이를 나타냈다. 일본 스즈키의 경우 FY22 기간 광고 캠페인 비용으로 66억8000만 루피를 사용했고, 로컬 브랜드인 타타모터스는 FY22와 FY23 기간 각각 32억1400만 루피와 43억9700만 루피 지출했다. IPO를 앞두고 광고 예산을 대폭 늘린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산하 미국 로봇전문업체 '보스턴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 로봇개 '스폿'(Spot)이 현대차 브라질 공장 안전요원으로 투입됐다. 현대차는 이번 시범 운영 결과를 브라질 공장을 비롯한 북미 등 다른 글로벌 공장 내 스폿 배치 여부에 적극 참고할 계획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브라질 상파울루주 피라시까바 공장에 스폿을 배치했다. 이곳 공장 메인 생산 모델인 크레타와 HB20 라인 모니터링을 통한 안전성 향상과 산업재해 예방 차원에서다. 특히 현대차는 이번 스폿 투입이 현지 공장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폿은 보스턴다이내믹스가 개발한 사족보행 로봇이다. 약 32kg의 본체에 카메라와 조명 등을 달고 있다. 배터리 수명은 90분, 시속 5km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계단을 오를 수 있다.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단순히 지시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인공지능(AI)을 사용해 스스로 현장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특히 스폿은 360도 카메라와 사물인터넷(IoT) 센서, 자율주행 프로그램 등을 탑재해 주변 장애물을 피해 최대 중량 14kg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정부가 도입한 자동차 교체 촉진 정책이 소비와 투자 활성화를 끌어내고 있다. 현지 정부는 해당 정책이 폐차 회수량까지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등 여러 긍정적인 결과를 낳고 있다는 점에서 정책 확대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중국 자동차 교체 정보 플랫폼 등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기준 중국 내 이구환신 보조금을 신청한 건 수는 113만 건에 달했으며 등록된 사용자 수는 168만 명을 초과했다. 올해 초 중국 상무부(商务部)와 재정부(财政部)가 '자동차 이구환신 보조금 실시 세칙'(汽车以旧换新补贴实施细则)을 토대로 신차 구매 시 직접 보조금을 제공하기로 결정한 데 따른 반응이다. 이구환신 보조금 실시 세칙은 중국 내 폐차 회수량의 현저한 증가도 이끌어냈다. 올해 들어 8월까지 중국 폐차 회수량은 전년 동기 대비 42.4% 증가했다. 특히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간 증가율은 각각 55.6%, 72.9%, 93.7%, 73.8%를 기록했다. 상무부는 중국 내 80% 이상의 소비자가 이구환신 제도를 인지하고 있으며 70% 이상이 참여 의사를 밝힌 것으로 파악했다. 이에 따라 이구환신 정책의 시행을 더욱
[더구루=윤진웅 기자]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대만 제조업체 폭스콘의 미국 전기차 생산 시기가 지연되고 있다. 스마트폰 수요 하락에 대응하기 위해 전기차 위탁생산에 뛰어들었지만,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감소 현상)과 전기차 부품 증가로 미래 먹거리로써의 가치가 하락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폭스콘이 로즈타운 공장을 완전히 가동하는 데까지는 적어도 5년이 걸릴 전망이다. 이는 준 세키(Jun Seki) 폭스콘 EV 전략 총괄이 지난 8일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를 통해 밝힌 내용이다. 준 세키 총괄은 "로즈타운 공장에서 전기차 생산을 시작하려면 앞으로 수년은 더 걸릴 것"이라며 "전기차 캐즘이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섣부른 움직임은 오히려 위험할 수 있어 신중하게 시기를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2025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시장 5% 점유율을 달성한다는 목표에는 변함이 없으며 미국뿐 아니라 일본과 동남아시아로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게 준 세키 총괄의 설명이다. 로즈타운 공장은 폭스콘이 지난 2022년 로즈타운모터스로부터 인수한 곳이다. 당시 폭스콘은 이곳을 전기차 위탁생산 근거지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을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제네럴모터스(GM) 현지 시장 판매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한국지엠이 하락 폭을 낮추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국내 생산 물량의 원활한 공급을 토대로 트랙스와 트레일블레이저의 현지 인기를 뒷받침하고 있다. 11일 GM 전문소식지 'GM 오소리티(GM Authority)'에 따르면 쉐보레는 3분기(7~9월) 미국 시장에서 총 42만2871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45만1917대) 대비 6% 감소한 수치이다. 올해 누적 판매량(1~9월)은 전년(130만4104대) 대비 3.02% 하락한 126만4745대를 기록했다. 현지 판매 라인업을 이루는 18개 모델 중 12개 모델의 판매량이 하락한 데 따른 결과이다. 성장을 일군 모델은 △블레이저EV △콜로라도 △익스프레스 △실버라도EV △트랙스 5개가 전부였지만, 이 중에서 특히 트랙스가 눈길을 끌었다. 한국지엠이 국내에서 생산해 현지에 공급하는 모델이기 때문이다. 트랙스는 해당 분기 전년(3만7869대) 대비 56.59% 두 자릿수 확대된 5만9299대를 판매했다. 올해 들어 누적 판매량은 전년(6만5255대) 대비 129.50% 수직성장한 14만9762대로 집계됐다. 한국지엠이 GM의 미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올해 북미 전기차(EV) 생산 목표를 20만 대로 잡았다. 글로벌 EV 시장 상황을 고려, 목표치는 최대한 낮췄지만, 목표 달성을 위해 4분기 기존 대비 2배를 더 생산해야 한다. 11일 GM 전문소식지 'GM 오소리티(GM Authority)'에 따르면 GM은 최근 인베스터 데이(Investor Day)를 통해 올해 북미 EV 예상 생산량을 20만대로 제시했다. 당초 예측 범위(20만~25만대)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올들어 3분기까지 GM의 북미 EV 생산량은 12만대로 분기 평균 4만대를 생산했다. 연말 20만대 생산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남은 4분기(10~12월) 분기 평균의 2배인 8만대까지 생산량을 늘려야 한다. 불가능한 이야기는 아니다. 신제품 출시에 힘입어 북미 전기차 시장 내 GM의 인기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3분기의 경우 GM 북미 EV 판매량은 전년 대비 60% 두 자릿수 증가했으며, 이전 분기 대비 46%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EV 시장이 활기를 띄고 있다는 점도 목표 생산량 달성 가능성 높이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콕스오토모티브(Cox Automotive)에 따르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모비스와 LG이노텍, 삼성 시스템 LSI가 차세대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 개발을 위해 미피 A-PHY 생태계에 합류했다. 오는 2026년 양산을 목표로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10일 글로벌 모바일 인터페이스 규격 개발 기구 미피 얼라이언스(MIPI Alliances)에 따르면 현대모비스와 LG이노텍, 삼성LSI는 미피 A-PHY 기술을 기반으로 차세대 ADAS 개발에 나선다. 고속 이미지 센서와 디스플레이 연결 등을 고려할 때 요구되는 성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채택을 서둘렀다는 설명이다. 현대모비스는 플랫폼 업체로, LG이노텍과 삼성 LSI는 각각 실리콘 및 SIP, 카메라 센서 및 모듈 공급업체로 합류하며 차세대 ADAS는 오는 2026년 생산을 시작하는 차량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이들 국내 업체를 비롯해 아이캐치테크놀로지와 인텔, 모빌아이, 시그마스타테크놀로지, 소니스마트리드 등 29개 글로벌 OEM 역시 미피 A-PHY 기술을 채택했다. 미피 A-PHY 기술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TV나 스마트폰 등에서 멀티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해 오랜 기간 사용돼 오다 최근 들어 자동차용으로 개선됐다. 미피 얼라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의 휴대전화 제조사인 'HMD(Human Mobile Devices)'이 세계 최고 인기 축구팀 중 하나인 FC바르셀로나와 손잡고 중국에서 노키아 피처폰을 출시했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HMD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중국에서 FC바르셀로나와 컬래버레이션한 바르사 3210(Barça 3210) 피처폰을 선보였다. HMD는 클래식 노키아 휴대전화의 매력과 FC바르셀로나의 브랜드를 결합해, 노키아를 좋아하는 축구팬을 공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르사 3210은 HMD와 FC바르셀로나가 맺은 파트너십에 따라 제작됐다. 양사는 지난해 8월 3년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바르사 3210이 처음 출시된 것은 지난 4월이다. HMD는 바르사 3210 외에도 컬래버레이션 스마트폰인 '바르사 퓨전'도 출시했었다. 바르사 3210은 지난해 출시된 노키아 3210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됐으며, 4G 통신망을 지원하며 200만화소 후면 카메라 1개가 장착됐다. 디자인은 FC바르셀로나와 컬래버한 제품이라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엠블럼과 상징색이 사용됐다. 휴대전화 후면에는 FC바르셀로나를 상징하는 자주빛의 빨간색과 엠블럼이 각인됐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