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올해 호주 시장에서 EV3와 타스만을 내세워 '年 10만대 시대'를 개척한다는 목표다. 현지 브랜드 판매 순위도 토요타에 이어 '넘버2'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3일 기아 호주법인 등에 따르면 데미안 메러디스 기아 호주법인 총괄 매니저는 2025년형 EV3 출시 행사에서 "지난해 8만1787대를 판매, 종전 기록을 경신한 데 이어 올해 10만대 이상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는 기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자신감은 EV3와 타스만에서 비롯된다. 데미안 매니저는 "저렴한 가격이 장점인 EV3는 매달 약 400대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EV3와 EV5 등 전기차 모델로 올해 5000대 가량을 판매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EV3는 E-GMP 아키텍처 기반 400볼트 시스템을 적용한 전기차다. 이미 ‘2025 영국 올해의 차’에 선정되는 등 유럽 전기차 시장에서 뛰어난 성능을 인정받았다. 기아는 오는 7월 현지 출시가 예고된 브랜드 첫 정통 픽업 '더 기아 타스만'(이하 타스만)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타스만은 현지 사전 예약 2만 건을 돌파하는 등 출시 전부터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전기차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공군이 기존 '군용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페이스X의 군사용 군집위성 시스템인 '스타실드(Starshield)'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스타실드는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하고 정찰, 미사일 경보 기능을 추가한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스페이스X '스타실드', 美 공군 위성 계약 싹쓸이 하나
[더구루=김은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심해광물 채굴을 허용하는 행정명령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심해 채굴에 대한 국제 규제에 대해 '"신경쓰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트럼프 행정부 '심해광물 채굴 허용 행정명령 검토' 국제기구 패싱 우려
[더구루=김은비 기자] 이라크 포병 수장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창원 공장과 서울 사옥을 방문했습니다. K9 자주포 생산을 살피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경영진과 도입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세계 무기 수입량의 30%를 차지하는 '방산 큰손'인 중동에서 한화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이라크 軍, 한화에어로 K9 자주포·천무 도입 '속도'...창원 생산·테스트 현장 시찰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비야디(BYD)가 일본에서 전기차(EV) ‘돌핀(Dolphin)’과 ‘아토3(Atto 3)’ 등 주력 모델 판매 가격을 전격 인하한다. 현대자동차 소형 전기 SUV 인스터(국내명 캐스퍼)를 견제하기 위한 사전 포석으로 분석된다. BYD 일본법인은 지난 1일 돌핀·아토3 판매 가격을 각각 △33만 엔(322만 원) △32만 엔(약 313만 원)을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돌핀 롱레인지 모델 최종 가격은 407만 엔(3982만 원)에서 374만 엔(약 3658만 원)으로, 아토3는 450만 엔(4403만 원)에서 418만 엔(4089만 원)으로 조정됐다. BYD는 차량 라인업도 개편했다. 기존 돌핀 모델(363만 엔)은 단종시키는 한편, 기존 한정판으로 판매하던 ‘돌핀 베이스라인’은 정식 모델로 추가했다. 이 모델 가격은 충전 케이블 등 옵션을 제외, 299만2000엔(2992만 원)이다. 이번 BYD의 가격 인하는 인스터를 견제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BYD 모델은 현대차 인스터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 등 고사양 모델을 인스터 비슷한 가격대로 판매, 고객을 지키겠다는 것. 인스터 현지 가격은 가장 낮은 트림인 △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IT기업 HCL테크놀로지스(HCLTech, 이하 HCL테크)가 삼성전자 차세대 반도체 파운드리 생태계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프로그램에 합류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HCL테크는 삼성전자 SAFE™ 프로그램의 ‘설계 솔루션 파트너(Design Solution Partner, DSP)’로 선정됐다. SAFE™ 프로그램은 반도체 설계 회사가 삼성전자 첨단 반도체 공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트너십 생태계다. △전자설계자동화(EDA) △설계 솔루션·서비스 △지적재산권(IP) △클라우드 솔루션 등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HCL테크는 삼성전자 고객에게 맞춤형 반도체(ASIC) 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규 반도체 기술의 조속한 개발·출시를 돕고, 반도체 설계·생산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HCL테크 엔지니어에게 최신 반도체 기술과 관련된 전문 교육도 제공할 예정이다. 고객 맞춤형 반도체 설계 프로젝트(턴키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또한 병행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HCL테크는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 자동차 내수 '2위'를 탈환했다. 볼륨 모델인 크레타를 비롯해 SUV 모델 성장세가 이를 견인했다. 기아도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양사는 신차 출시 등으로 현지 점유율을 더욱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2일 현대차 인도판매법인(HMIL)에 따르면 지난달 인도 시장에서 총 6만7320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월(6만5601대) 대비 2.6% 성장한 수치다. 특히 내수 시장에서 전월 대비 8.6% 증가한 5만1820대를 판매했다. 점유율 기준 2위를 기록, 전월 4위에서 두 계단 올랐다. 현대차는 타타 모터스와 미힌드라에 밀려 지난 1월과 2월 각각 3위와 4위에 그쳤다. 월간 완성차 브랜드별 판매 1위는 15만743대를 판매한 마루티 스즈키가 차지했다. 타타모터스(5만1616대)는 현대차에 204대 차이로 3위로, 전월 깜짝 2위를 기록한 마힌드라는 4만8048대를 판매, 4위로 밀렸다. 기아는 지난달 인도에서 SUV모델 쏘넷과 신차 시로스 판매 확대에 힘입어 2만5525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9.0% 증가한 수치며, 역대 최고치다. 특히 올들어 3개월 연속 '월 2.5만대' 판매를 이어가고 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HD현대중공업이 오는 10월 입찰이 예상되는 말레이시아 다목적지원함(MRSS) 건조 사업의 유력 낙찰 업체로 꼽혔다. 이탈리아 핀칸티에리, 인도네시아 최대 국영 조선소 PT PAL과 3파전이 예상된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HD현대중공업, 말레이시아 군수지원함 2척 수주전 선두권 형성
[더구루=김은비 기자]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포함된 ‘팀 코리아’가 참여하는 체코 두코바니 원자력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가 올 하반기까지 최종 계약에 이르지 못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부와 야당이 자국 기업 참여 비율을 놓고 충돌하면서 최종 계약이 난항을 겪고 있어서입니다. 야당은 "체코 기업 참여율이 18%에 불과하다"며 50%까지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반면 체코 정부는 30% 확보를 목표로 하면서도 기존 계약을 그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체코 前 산업장관 " 두코바니 원전, 자국기업 비중 18%만 확보"…최종계약 난항 전망 체코 "두코바니 원전, 자국기업 참여율 30% 확보하면 계약"…야당 '50% 요구' 일축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의 중국 조선 제재에 한국 조선업계가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전망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메이저사가 중국 조선업체에 주문하려던 고부가가치 LNG벙커링선(LNGBV)의 발주를 보류했기 때문입니다. 조선업계는 미국의 제재로 중국 조선소로 갈 발주 물량이 한국 조선소로 우회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中조선 제재 '반사이익' 현실화되나…엑손모빌, 결국 발주 보류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미국 수소 연료전지 스타트업 '파자리토 파우더'(Pajarito Powder)에 또 투자했다. 현대차·기아는 수소 기술의 경쟁력을 강화, 글로벌 수소 생태계 주도권을 잡기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파자리토 파우더가 실시한 시리즈B-3 라운드에 참여·투자했다. 앞서 현대차가 지난 2021년 8월에 이어 두 번째다. 정확한 투자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업계는 이번 투자규모는 1차 투자와 비슷한 100만 달러 안팎으로 관측하고 있다. 미국 뉴멕시코주 앨버커키에 위치한 파자리토 파우더는 수소연료전지가 수소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때 사용되는 촉매를 개발하는 업체다. 백금 촉매를 대체할 수 있는 촉매를 개발하고 있다. 저렴하면서도 고성능 촉매를 개발하겠다는 목표다. 일반적으로 수소연료전지는 백금 촉매를 사용한다. 성능은 뛰어나지만 가격이 비싸 업체들이 대체재를 찾고 있다. 토마스 J. 스티븐슨(Thomas J. Stephenson) 파자리토 파우더 최고경영자(CEO)는 “현대차·기아의 지속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수소 기술 개발에 집중, 탄소 배출 저감에 기여하겠다”며 “혁신적인 소재와 공정을
[더구루=김은비 기자] 보잉의 차세대 친환경 항공기 ‘X-66’이 첫 풍동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보잉은 이번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 개선 작업을 진행해 지속 가능한 항공기 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보잉은 X-66의 풍동 테스트를 성공리에 마무리 지었다. X-66은 보잉이 연료 효율성을 제고하고 탄소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 설계한 항공기다. '트러스 브레이스드 윙(TTBW, Treuss-Braced Wing)' 구조를 채택, 긴 날개를 대각선 지지대로 보강하는 공기역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잉은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협력해 풍동 테스트를 실시했다. 첫번째 테스트는 버지니아주에 위치한 NASA 랭글리 연구센터에서 날개 길이 6피트(약 1.8m) 규모로 축소한 모델의 저속 실험을 진행했다. 양력과 항력, 안정성을 분석하는 등 다양한 비행 조건에서 성능을 검증했다. 두번째 테스트는 캘리포니아주 에임스 연구센터에서 진행했다. '반쪽 날개' 모델을 이용해 고속 비행 시 공기역학적 특성을 측정, 날개 구조를 최적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확보했다. 보잉은 두 차례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정밀한 데이터를 확보할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자율주행차 기업 '위라이드(WeRide)'와 동남아 최대 승차공유 플랫폼 '그랩(Grab)'이 자율주행 로보택시 사업을 위해 손잡았다. 위라이드는 그랩과 협력으로 동남아시아 내 도로, 교통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자율주행차 기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위라이드에 따르면 그랩은 위라이드에 대한 전략적 지분 투자를 확정했다. 이번 투자는 지난 3월 체결된 전략적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투자 완료는 위라이드가 원하는 시점에 이뤄질 예정으로, 기한은 내년 상반기까지다. 투자가 확정되면서 양사의 파트너십 계약 이행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위라이드와 그랩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완전자율주행 로보택시를 상용화하기 위해 다양한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우선 위라이드의 자율주행차 솔루션을 그랩 네트워크에 통합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위라이드는 자사 자율주행 기술을 그랩의 차량 관리, 매칭, 경로 최적화 생태계에 통합할 계획이다. 위라이드는 이를통해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 내 도로·주행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랩은 2023년
[더구루=김명은 기자] 명인제약의 전략적 파트너사인 뉴론 파마슈티컬스(Newron Pharmaceuticals, 이하 뉴론)가 조현병 치료제 '이베나마이드(Evenamide)'의 글로벌 3상 임상시험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뉴론과 이베나마이드의 국내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명인제약의 상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8일 뉴론에 따르면 이베나마이드의 3상 첫 번째 임상인 ENIGMA-TRS 1은 전 세계 600명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52주간의 국제 다기관,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이다. 이는 유럽,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캐나다 등 다양한 지역에서 진행되며, 초기 12주간의 연구 결과는 내년 4분기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임상은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치료 저항성 조현병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ENIGMA-TRS라는 글로벌 임상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이베나마이드는 기존 항정신병제제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신약으로, 도파민이 아닌 글루타메이트 시스템을 조절하는 독특한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다. 이 덕분에 앞선 2상 및 초기 3상에서 기존 약물에서 흔히 나타나는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