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HD현대삼호와 삼성중공업이 대만 컨테이너선사 완하이 라인(Wan Hai Lines)으로부터 1조원 규모의 메탄올 이중연료추진 컨테이너선 4척을 수주했습니다. 발주사의 지난해 주문 물량의 옵션 행사로, 각각 2척씩 건조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HD현대삼호·삼성重, '1조원 규모' 대만 완하이發 이중연료 컨선 4척 추가 수주
[더구루=김은비 기자] '돈나무 언니'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캐시 우드가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AMD 주식을 추가로 매수했습니다. 미·중 관세 협상이 진전을 보일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돈나무 언니' 캐시우드, 엔비디아·AMD 추가 투자…트럼프 관세 완화 기대감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전기 대형SUV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EV9’을 필리핀 시장에 공식 출시했다. 최신 첨단 주행 기능과 프리미엄 사양을 갖춘 EV9을 앞세워 현지 전기차(EV) 시장 공략에 나선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필리핀 현지에서 EV9을 출시하고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했다. 기아는 지난해 10월 마닐라에서 열린 '제9회 필리핀 국제 모터쇼'에서 EV9을 첫 선보이며 높은 관심을 모은 바 있다. EV9은 최첨단 기술을 집약한 전기 SUV로, 혁신적 디자인과 실용성을 겸비한 것이 특징이다. 기아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기반으로 제작된 EV9은 1회 충전 시 최대 505㎞(WLTP 기준) 주행이 가능하다. 350㎾급 초급속 충전을 지원해 약 25분 만에 배터리 용량의 80%를 충전할 수 있다. 기아는 EV9 출시를 통해 기존 라인업을 한층 강화, 현지 모빌리티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할 방침이다. EV9은 지난해 세계 최고 권위 자동차 상인 '2024 세계 올해의 자동차(World Car of the Year)'로 선정되며 상품성을 입증한 바 있다. 필리핀 정부의 강력한 전동화 추진 정책 역시 기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 1분기 인도네시아 자동차 생산 순위에서 5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지난해 9위에서 4계단 껑충 올랐다. 28일 인도네시아자동차제조업체협회(GAIKINDO)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네시아 생산법인(HMMI)은 지난 1분기(1~3월) 총 1만8146대를 생산, 생산 순위 5위에 올랐다. 이는 지난해 말 대비 4계단 상승한 결과다. 4위인 혼다(1만8343대, 6.4%)와의 격차는 197대에 불과하다. 특히 전체 인도네시아 자동차 생산이 감소한 가운데 현대차의 경우 오히려 증가했다. 1분기 인도네시아 자동차 전체 생산은 28만8017대로, 전년 동기(29만4911대) 대비 2.3% 줄었다. '톱10'에 이름을 올린 완성차 브랜드는 현대차와 중국 울링을 제외하고 모두 일본 브랜드가 차지했다. 1위는 12만7048대를 생산한 토요타가 차지했다. 점유율은 44.1%에 달한다. 미쓰비시와 다이하쓰가 각각 4만598대(14.1%)와 3만4983대(12.1%)를 생산했다. 6위부터는 스즈키(1만6637대, 5.8%), 이스즈(7905대, 2.7%), 미쓰비시후소(6300대, 2.2%), 히노(5864대, 2.0%), 울링(5051대, 1.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한항공이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리는 ‘스페이스 프로그램: 인피니티’ 전시에 공식 물류 후원사로 참여한다. 자사 글로벌 항공 네트워크를 통해 세계적 실험 예술가 톰 삭스의 국내 첫 개인전 작품을 운송했다. 대한항공은 향후에도 문화예술 분야 사회공헌(CSR) 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고객과의 접점을 넓힌다는 방침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현대카드 29번째 문화 프로젝트 ‘스페이스 프로그램: 인피니티(Space Program: Infinity)’의 공식 물류 후원사로 참여했다. 대한항공은 전 세계에서 운송되는 세계적 아티스트 톰 삭스(Tom Sachs)의 초대형 설치 작품과 구조물의 안정적인 국내 운송을 지원했다. 이번 전시 프로젝트는 로켓, 착륙선, 특수 장비 등 복잡한 형태의 작품들이 포함, 설치·운송 모두에 고도의 기술과 정밀한 물류가 요구된다. ‘스페이스 프로그램: 인피니티’는 미국을 대표하는 실험 예술가 톰 삭스의 국내 첫 대규모 개인전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탐사를 콘셉트로, 거대한 우주 탐사 장비과 조각, 신작 등을 포함한 200여 점 작품으로 구성됐다. 25일부터 9월 7일까지 서울 동대문
[더구루=김은비 기자] 삼성전자가 중국에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실천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현대자동차와 SK는 각각 3위와 6위에 이름을 올렸다. 국내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 리더십이 중국 현지에서도 빛을 발하며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힘을 내고 있는 모습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중국법인인 중국삼성(中国三星)은 중국미디어그룹이 발표한 ‘2024 중국 외국기업 ESG 행동 보고서' 내 'ESG 20'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중국사회과학원, 중국공상업연합회 등 주요 정부 및 학계 기관이 중국 내 외국기업의 ESG 실천 수준과 지역사회 기여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했다. 삼성전자는 현지서 환경안전위원회를 운영, 연구개발부터 제조, 공급망 관리에 이르기까지 ‘녹색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쑤저우법인(SSEC)은 '지니어 중심 에너지 절감 시스템'을 시행, 최근 3년간 약 5500만kWh의 전력을 절감했다. 이는 약 28만 가구 월간 전기 소비량에 해당한다. 1992년 중국에 진출한 삼성전자는 현지에 17개 생산기지와 11개 R&D센터를 운영, 약 3000개 공급망 파트너사와 협업하고 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대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아이오닉 9(IONIQ 9)’이 미국 유력 자동차 매체가 선정한 ‘베스트 인테리어’ 차량으로 뽑혔다. 아이오닉 9은 넓은 공간 활용, 지속가능한 소재 사용,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25일 워즈오토(WardsAuto)에 따르면 현대차 아이오닉 9은 '2025 10대 베스트 인테리어 & UX(Wards 10 Best Interiors & UX)' 차량으로 선정됐다. 현대차는 2023년 팰리세이드, 2024년 코나·싼타페에 이어 3년 연속 선정이다. 워즈오토는 매년 신형 혹은 부분 변경 모델 차량을 대상으로 실내 디자인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소재 품질, 사용자 편의성,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수상 모델을 선정한다. 데이브 조이아(Dave Zoia) 워즈오토 심사위원은 “아이오닉 9은 고급 패밀리 SUV에서 기대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갖춘 차량”이라며 “실내 디자인 전반적인 측면에서 높은 완성도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아이오닉 9은 3열 구조로 최대 7인 탑승이 가능한 대형 전기 SUV다. 넉넉한 적재 공간
[더구루=김은비 기자] 조현범 한국앤컴퍼니그룹 회장의 글로벌 성장 전략에 따라 탄생한 한국타이어의 ‘라우펜(Laufenn)’이 최근 유럽과 북미 등 자동차 산업 핵심 거점에서 활약을 이어나가며 글로벌 스탠다드 타이어 분야의 새로운 기준으로 각광받고 있다. 25일 한국타이어에 따르면 라우펜은 경제성과 실용성을 우선시하는 소비자를 겨냥한 전략 브랜드다. 일년 내내 모든 노면 환경에서도 최적의 드라이빙 경험을 뒷받침하는 타이어 성능은 기본이며, 운전자의 주행 성향과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세단 및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전용 퍼포먼스, 컴포트 타이어 등 폭넓은 라인업을 내세워 글로벌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다. 라우펜은 △초고성능 컴포트 타이어 '에스 핏 AS(S FIT AS)’ △데일리 컴포트 타이어 '지 핏 AS(G FIT AS)’ △온로드 SUV용 타이어 '엑스 핏 HT(X FIT HT)’ 등 국내 주행 환경에 특화된 라인업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난 2015년 북미 최대 자동차 부품 박람회 미국 세마쇼(SEMA Show)에서 최초로 선보인 이후, 전 세계 100개국에 판매되며 준수한 타이어 성능과 기술력을 입증해왔다. 특히 지난해 유럽과 북미 시장을 포함한
[더구루=김은비기자] 기아가 북미에서 테슬라 슈퍼차저 이용을 시작했다. 당초 1월부터 실시될 예정됐으나 최종 슈퍼차저 네트워크에 합류했다. 미국 전역 약 2만1500개에 달하는 슈퍼차저 합류로 충전 편의를 높인 만큼 현지 전기차 시장 내 브랜드 입지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아 미국판매법인(KA)는 24일(현지시간) 미국 내 기아 전기차 고객들은 테슬라 전용 충전기 연결 방식(NACS·North American Charging Standard)을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10월 테슬라 충전 방식을 채택한 데 따른 것이다. 기아는 2024년형(9월 4일 이후) 또는 2025년형 EV6와 EV9, 니로EV를 구매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NACS 전용 어댑터를 공급한다. 2025년형 EV6와 2026년형 EV9, EV5의 경우 NACS 충전 포트가 기본으로 제공된다. 특히 기아는 다양한 충전 네트워크와의 호환성 보장을 위해 NACS 어댑터를 △NACS TO CCS1 △CCS1 TO NACS △J1772 TO NACS 총 3가지로 제공, 모든 충전기를 아우를 수 있도록 했다. 미국 전역에 설치된 12만1500개 NACS DC 고속 충
[더구루=김은비 기자] LG전자가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전장(VS)과 냉난방공조(HVEC) 등 기업간거래(B2B) 중심 사업부문이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 여기에 구독형 서비스, 플랫폼 등 비하드웨어 영역의 기여도도 크게 확대됐다. LG전자는 연결 기준 1분기 매출 22조7398억원, 영업이익 1조2591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공시했다. 매출은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로, 영업이익은 6년 연속 1조 원을 넘어섰다. 이번 실적은 전장부품과 에너지솔루션(ES) 사업본부가 견인했다. 두 사업본부의 영업이익 합은 전년 동기 대비 37.2% 증가했다. 매출 증가율도 12.3%를 기록, 나란히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 주력 사업이자 캐시카우 역할을 하는 HS사업본부도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1분기 매출 6조6968억원, 영업이익 6446억원을 기록했다. 구독형 가전, 온라인 직판 등 비정통 유통 채널이 빠르게 성장하며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LG전자는 2분기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해 신모델 확대, 구독·온라인 강화 전략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B2B 영역에서도 빌트인 가전, 모터·컴프레서 등 핵심 부품 사업 부문을 확대하며
[더구루=김은비 기자] 안종선·이상훈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 공동대표가 인도네시아 현장 경영에 나섰다. 현지 생산 공장을 찾아 현지 비즈니스 전반을 점검하는 한편, 신차용 타이어(OE) 확대를 위한 로드맵을 지시했다. 한국타이어는 향후 인도네시아 공장을 내세워 동남아시아 타이어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안종선·이상훈 공동대표는 자카르타 인근 치카랑 인도네시아 생산법인(PT Hankook Tire Sales Indonesia)을 방문했다. 인도네시아 시장의 중요성과 성장 가능성을 직접 확인하고 향후 사업 확대를 위한 전략적 거점으로 강화하기 위해서다. 이들 대표는 생산라인 현장 점검을 통해 현지 공급 안정성과 생선 효율성을 직접 살폈다. 치카랑 공장은 말레이시아와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등 동남아 수출을 담당하는 거점으로, 한국타이어 글로벌 공급망에서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아울러 현지 유통 네트위크 전반을 점검했다. 인도네시아 내 전략적 리테일 파트너인 ‘한국마스터 나윌리스(Hankook Master Nawilis)’와 ‘비퀵(B-Quik)’ 등 주요 딜러사를 직접 방문, 현지 고객과의 접점 강화를 도
[더구루=김은비 기자] LG전자가 미국 호텔산업 지속가능성 평가 프로그램에서 '10년 연속'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 LG전자는 친환경 기술 경쟁력을 다시 한 번 입증하며 향후에도 글로벌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24일 LG전자에 따르면 미국 호텔산업 공급업체 대상 지속가능성 평가 프로그램인 ‘2025 마인드클릭 지속가능성 평가 프로그램(MSAP)’에서 최고 등급인 '리더(Leader)를' 획득했다. 호텔 전용 TV, 디지털 사이니지, 모니터 제품군 모두 리더 등급으로 선정됐다. 지난 2016년부터 10년 연속이다. LG전자는 △탄소 영향 저감 △지속가능 소재 확대 △포장 폐기물 절감 △책임 있는 공급망 운영 등 전반적인 항목에서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 평가 기관인 마인드클릭은 호텔 에너지·수자원·폐기물 절감 기여도와 실내 공기질 및 유해물질 최소화, 재활용 가능성을 비롯해 아동 노동·환경 법률 준수 등 공급망 윤리성 등 세부 지표를 기반으로 업체를 선정한다. 마인드클릭은 “LG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평가했다. MSAP는 글로벌 주요 호텔 산업 업계가 가전제품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제품 생애주기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자율주행차 기업 '위라이드(WeRide)'와 동남아 최대 승차공유 플랫폼 '그랩(Grab)'이 자율주행 로보택시 사업을 위해 손잡았다. 위라이드는 그랩과 협력으로 동남아시아 내 도로, 교통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자율주행차 기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위라이드에 따르면 그랩은 위라이드에 대한 전략적 지분 투자를 확정했다. 이번 투자는 지난 3월 체결된 전략적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투자 완료는 위라이드가 원하는 시점에 이뤄질 예정으로, 기한은 내년 상반기까지다. 투자가 확정되면서 양사의 파트너십 계약 이행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위라이드와 그랩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완전자율주행 로보택시를 상용화하기 위해 다양한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우선 위라이드의 자율주행차 솔루션을 그랩 네트워크에 통합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위라이드는 자사 자율주행 기술을 그랩의 차량 관리, 매칭, 경로 최적화 생태계에 통합할 계획이다. 위라이드는 이를통해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 내 도로·주행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랩은 2023년
[더구루=김명은 기자] 명인제약의 전략적 파트너사인 뉴론 파마슈티컬스(Newron Pharmaceuticals, 이하 뉴론)가 조현병 치료제 '이베나마이드(Evenamide)'의 글로벌 3상 임상시험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뉴론과 이베나마이드의 국내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명인제약의 상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8일 뉴론에 따르면 이베나마이드의 3상 첫 번째 임상인 ENIGMA-TRS 1은 전 세계 600명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52주간의 국제 다기관,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이다. 이는 유럽,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캐나다 등 다양한 지역에서 진행되며, 초기 12주간의 연구 결과는 내년 4분기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임상은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치료 저항성 조현병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ENIGMA-TRS라는 글로벌 임상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이베나마이드는 기존 항정신병제제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신약으로, 도파민이 아닌 글루타메이트 시스템을 조절하는 독특한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다. 이 덕분에 앞선 2상 및 초기 3상에서 기존 약물에서 흔히 나타나는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