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네시아 델타마스 공장에서 올해 전기차(EV)와 내연기관차(ICE) 생산 목표를 8만대 이상으로 잡았다. 스타게이저·크레타 등 수출 주력 모델을 앞세워 물량의 최대 70%를 동남아·남미 70개국에 공급한다는게 1차 목표다. 향후 연간 25만대까지 생산능력을 끌어올려 '아세안 생산 허브'로 자리매김한다는 복안이다. 16일 현대차 인도네시아 생산법인(HMMI)등에 따르면 위라나타 수간다 HMMI 생산총괄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8만대 이상 생산을 목표로 잡았다”며 "현재 설비로는 연 15만대까지 생산이 가능, 추가 투자로 25만대까지 확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HMMI는 내수 판매보다 수출 확대를 중심으로 동남아·남미향 물량을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이상 늘릴 계획이다. 현재 델타마스 공장에서는 △싼타페 하이브리드 △코나 일렉트릭 △스타게이저 △크레타 △아이오닉 시리즈 등 5개 차종을 조립하고 있다. 다목적차량(MPV) 스타게이저와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크레타는 글로벌 전략형 모델로, 전체 생산물량의 60~70%를 수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현대차는 배터리 현지화로 가격 경쟁력을 높여 목표를 달성한다는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일본 오사카에 신규 전기차(EV) 복합 문화공간을 마련했다. 일본 간사이 지역 내 최초이자 지난 2022년 요코하마 센터에 이은 일본 내 두번째다. 전시·시승부터 정비·한정 굿즈 판매까지 아우르는 '원스톱 서비스'를 내세워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히는 한편 일본 EV 시장 지배력을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15일 현대차에 따르면 현대모빌리티재팬은 일본 오사카 신사이바시에 신규 EV 거점인 '현대 커스터머 익스피리언스 센터 오사카(CXC 오사카)’를 오픈했다. 주유소 부지를 활용해 오픈한 CXC 오사카에서는 전기차 전시·시승부터 구매 상담·정비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이오닉 5·6 등 EV 라인업 전시 및 시승 △일본 최초 ‘현대 컬렉션’ 오피셜 굿즈 오프라인 판매 △오너 전용 라운지 △‘N 드라이빙’ 레이싱 시뮬레이터 체험 등 다채로운 콘텐츠를 제공한다. EV 문화의 새로운 교류 거점으로서 지역 밀착형 이벤트도 정기 개최한다. 이번 거점 강화는 현대차가 ‘다이렉트 판매 모델’을 정착시키면서도 고객 접점을 물리적으로 확장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3개 협력 정비 공장과 연계한 ‘판매–애프터서비스’ 체계가 구축되면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지난달 영국 전기차 시장에서 8위를 기록했다. 기아가 4월 전체 신차 판매 순위에서 2위를 차지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아쉬운 성적표다. 현대차는 아이오닉6·9을 내세워 12위에 올랐다. 유럽과 미국 브랜드의 보급형 전기차 공세 속에서 현대차는 기술력과 디자인 경쟁력으로 선방했다는 평가다. 15일 영국 도로교통국(DVLA) 등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영국 전기차(BEV) 시장에서 판매 점유율 5.4%로 8위를 차지했다. 현대차는 점유율 3.97%를 기록, 12위에 올랐다. 다만 기아가 지난달 총 8320대를 판매, 신차 판매 순위에서 2위를 차지했는 것을 고려할 때 전기차 성적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는 평가다. 전기차 1위는 폭스바겐(VW)이 차지했다. 점유율은 10.54%로 집계됐다. 2, 3위는 포드(7.36%)와 푸조(7.04%)가 각각 차지했다. 4위부터는 △스코다(6.55%) △BMW(6.19%) △아우디(5.49%) △BYD(5.48%) △르노(5.35%) △복스홀(4.52%) 순으로 이어졌다. 기아의 이같은 성과는 대표 플래그십 모델 EV3·6·9 '3총사'가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EV3는 영국 ‘2025 그레
[더구루=김은비 기자] 인도 정부가 대규모 조선·선박 수리 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한 부지를 확보하며 본격적인 조선 산업 육성 전략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HD현대, 한화오션 등 'K-조선사'들과의 협력을 도모하는 가운데, 인도발 ‘조선 르네상스’가 가시화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영상] HD현대·한화오션, 인도 '황금 시대' 열린다...안드라프라데시 등에 초대형 공장 부지 확보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중국 내수 시장에서 고전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는 전체 브랜드 내수 판매 순위 '39위', 기아는 47위에 그쳤다. 다만 현지 수출 성적의 경우 큰 폭으로 상승했다. 15일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 합작법인 베이징현대는 4월 중국에서 1만1대(점유율 0.48%)를 판매했다. 중국 내수 판매 순위 39위에 그쳤다. 기아 중국 합작법인 위에다기아는 7056대(점유율 0.33%)를 기록, '47위'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중국 지난달 신차 판매량(수출 포함)은 전년 동월 대비 9.8% 증가한 259만대였다. 내수는 전년 대비 11.7% 증가한 207만3000대이며, 수출의 경우 2.6% 증가한 51만7000대였다. 중국 내수 1위는 24만32116대를 판매한 BYD가 차지했다. 폭스바겐과 토요타는 각각 14만6468대와 12만4951대를 판매, 2위와 3위에 올랐다. 이어 △지리 프리미엄 브랜드 갤럭시(9만1173대) △지리(7만9172대) △우링(7만5268대) △창안 (6만2801대) △혼다(4만3569대) △체리(4만3016대) △BMW(4만805대) 등 순으로 '톱10'에 이름을
[더구루=김은비 기자] '한국형 패트리엇'으로 불리는 국산 탄도탄 요격 미사일 체계인 '천궁'이 중동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서 존재감을 과시했습니다. 두바이 왕세자이자 UAE 부통령 겸 국방장관 앞에서 한층 더 진보한 중거리 방공 미사일 시스템으로서의 기술력을 과시하며 현지에서 제대로 '눈도장'을 찍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한국산 지대공 미사일 '천궁' UAE서 첫 공개...두바이 왕세자 앞 '눈도장'
[더구루=김은비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스텔란티스의 캐나다 전기차 배터리 합작사 '넥스트스타 에너지(이하 넥스트스타)'의 주요 협력업체 '윤곽'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국내외 주요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과 손잡고 글로벌 공급망을 구축, 배터리 모듈에 이어 셀 양산 준비를 가속화하는 모습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LG전자·씨케이솔루션·SFA ...LG엔솔 美 합작사 주요 협력사 '베일' 벗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만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이노룩스(Innolux)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자회사 카유엑스(CarUX)의 미국 증시 상장을 공식화했다. 이노룩스는 이번 상장을 통해 디스플레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미래차 시대의 핵심 기술 공급사로서 입지를 다지는 한편 스마트 모빌리티 시대에서 글로벌 전장 경쟁의 주도권을 거머쥔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이노룩스는 지난 7일(현지시간) 대만 이노룩스 본사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자회사 카유엑스(CarUX)의 미국 증시 상장(IPO) 안건을 통과시켰다. 향후 뉴욕증권거래소 상장까지 마무리되면 이는 이노룩스의 첫 해외 IPO 사례가 된다. 홍진양 이노룩스 회장은 “올해는 이노룩스 청사진인 '666계획'에서 ‘돌파구적 변혁(突圍轉型)’ 2단계 진입하는 중요한 해”라며 “이번 상장을 통해 카유엑스의 재무 구조를 개선하고 우수 인재 유치 및 기술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카유엑스는 △스마트콕핏 △증강현실(AR) 헤드업 디스플레이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등 고부가가치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특화된 자회사다. 대표 제품으로는 △9.6인치 마이크로LED AR 전면유리 반사형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산하 로봇기업 보스턴다이내믹스가 글로벌 물류기업 DHL에 '스트레치(Stretch)' 로봇 1000대를 추가 공급한다. 오는 2030년 까지 물류 혁신을 위해 양사는 파트너십를 더욱 공고히 하기로 했다. DHL은 13일(현지시간) 보스턴다이내믹스 물류 자동화 로봇 ‘스트레치(Stretch)’를 추가로 1000대 이상 도입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스트레치 공급 계약은 지난 2022년 1월에 이어 두번째로, 당시 15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협력은 지난 2018년부터 이어진 협업 관계를 바탕으로 이뤄진 것으로, DHL 글로벌 물류 거점에 스트레치를 추가 배치한다. DHL은 스트레치 활용 범위를 기존 물류 부문을 포함해 그룹 내 다양한 사업부문으로 넓힐 방침이다. 특히 물류 인력의 가장 큰 부담으로 꼽히는 ‘박스 피킹(case picking)’ 업무에 스트레치를 본격 투입한다. 스트레치는 박스 상하차 자동화를 위한 로봇으로, 지난 2023년 북미에서 상용화된 이후 유럽과 영국으로 도입 범위를 넓혀왔다. 스트레치는 시간당 최대 700개 상자 언로딩이 가능하다. 특히 양사는 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기아가 독일 순수 전기차(BEV) 시장에서 고속 질주하고 있다. 폭스바겐-BMW 양강 구도는 현대차·기아가 ‘빅3’로 올라서며 균열을 내고 있다. 현대차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 등 보급형 전기차 수요가 증가하면서 현대차·기아가 독일 소비자들의 새로운 선택지가 되고 있다. 14일 독일 연방자동차청(KB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최근 3개월 (2~4월) 독일 전기차 시장에서 총 9923대를 판매, 전체 브랜드 중 3위에 올랐다. 점유율은 8.1%로, 앞선 3개월 점유율 6.1% 보다 2%포인트 올랐다. 기아 EV6와 현대차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가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이들 모델은 각각 2315대와 2263대 판매됐다. EV6와 인스터는 가격 대비 성능(가성비)을 앞세우면서도 다양한 첨단 기술을 탑재, 현지 전기차 보조금 혜택 폐지와 맞물려 새로운 선택지로 꼽히고 있다. 독일 보조금 축소는 인스터 판매 확대로 이어져 현대차·기아 실적 확대에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독일 당국은 지난해 9월부터 전기차 보조금을 기존 9000유로(약 1300만 원)에서 3000유로(약 440만 원)으로 축소했다. 전기차 가격이 4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 4월 스페인 승용차 시장에서 토요타에 이어 ‘깜짝 2위’에 올랐다. 기아는 4위를 기록, 다소 주춤했다. 14일 스페인자동차제조협회(ANFAC) 집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달 7912대를 판매, 브랜드 순위 2위에 올랐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35.2% 급증한 수치다. 점유율은 8%를 기록했다. 기아는 지난달 6258대를 판매, 4위를 차지했다. 전년 동월 대비 31.1% 수직 상승했다. 점유율은 6.4%를 차지했다. 현대차·기아 성장은 스페인 자동차 시장 성장세와 비교해 더욱 눈길을 끈다. 지난달 스페인 자동차 시장 판매량(9만8500대)은 전년 대비 7.1% 증가했다. 현대차·기아 약진은 소형 해치백 i20과 전동화 모델 싼타페 하이브리드(HEV), 니로 일렉트릭(EV) 등 현지 전략 차종의 호조가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i20 판매량은 지난달 105.4% 급증, 판매 모델 순위 2위에 올랐다. 기아 스포티지·씨드·니로 EV 등도 고르게 판매되며 성장을 견인했다. 1위는 토요타가 차지했다. 토요타는 8285대를 판매, 점유율은 8.4%를 차지했다. 르노는 6825대(6.9%)로 3위를 차지했다. 기아에 이어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미국 카즈닷컴(Cars.com)이 발표한 '2025 최고 가성비 하이브리드(Best Hybrid Vehicles for the Money)' 평가에서 3관왕을 차지했다. 특히 현대차 엘란트라 하이브리드는 경쟁 모델들을 제치고 '종합 우승을 차지, 뛰어난 상품성을 입증했다. 14일 카즈닷컴에 따르면 현대차 엘란트라 하이브리드(종합 및 하이브리드 승용 부문), 코나 하이브리드(하이브리드 SUV 부문)가 각각 최고 가성비 1위에 올랐다. 기아 쏘렌토 하이브리드(하이브리드 3열 SUV 부문) 역시 동급 최고 가성비 차량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특히 엘란트라의 경으 토요타 코롤라 하이브리드를 제치고 '종합 우승'을 차지하며, 뛰어난 경제성과 상품성을 동시에 인정받았다. 이는 현대차가 미국 시장에서 단순히 저렴한 차가 아닌, 합리적인 가격에 뛰어난 가치를 제공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카즈닷컴은 엘란트라 하이브리드의 우수한 연비와 다양한 편의 사양, 그리고 경쟁력 있는 가격을 종합적인 가치 평가의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또한 코나 하이브리드와 쏘렌토 하이브리드 역시 동급 차종 대비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IE)로부터 '호라이즌' 지식재산권(IP) 표절로 소송을 당한 텐센트가 논란이 된 게임의 핵심 홍보 자료를 조용히 수정·삭제했다. 소송 제기 직후 이뤄진 조치가 향후 재판에서 텐센트에 어떻게 작용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Light of Motiram)'의 스팀 페이지의 주요 이미지와 트레일러, 게임 설명 등을 대거 수정했다. 텐센트가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주요 이미지 등을 수정한 배경에는 SIE와의 소송이 있다. SIE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텐센트의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이 자사의 대표작인 호라이즌 시리즈를 표절했다며 저작권·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고소장에 따르면 SIE는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캐릭터, 기계 생명체 디자인, 아트 스타일, 세계관 등 많은 부분이 호라이즌과 유사하다며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설명했다. SIE는 거대 로봇이 지배하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 붉은 머리의 여성 주인공, 귀에 착용하는 '포커스'와 유사한 장치 등 구체적인 유사점을 증거로 제시했다. 또한 텐센트가 호라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오픈AI의 최신 인공지능(AI) 모델 'GPT-5' 출시를 기점으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 샘 알트만 오픈AI CEO 간의 설전이 벌어졌다. AI패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는 기업 수장 간의 설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CEO는 최근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오픈AI가 MS를 산 채로 잡아먹게 될 것"이라는 경고성 글을 올렸다. 이를 두고 MS가 막대한 투자를 통해 키운 오픈AI에게 결국 주도권을 빼앗길 것이라는 의미가 담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론 머스크의 글은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GPT-5를 도입했다고 발표한 내용을 공유하며 작성됐다. 나델라 CEO는 8일(현지시간) X를 통해 "GPT-5를 MS 365 코파일럿, 깃허브 코파일럿, 애저 AI 등 자사 플랫폼 전반에 탑재했다"며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금까지 가장 유능한 모델을 선보이게 됐다. 놀라운 발전 속도"라고 소개했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일론 머스크의 조롱 섞인 반응에 대해 여유로운 반응을 보였다. 나델라 CEO는 "사람들은 50년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