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나윤 기자] 중국의 견조한 수요와 칠레의 공급 차질 우려가 맞물리며 구리 가격이 올랐다. 지난 7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구리 선물은 전일 대비 0.8% 오른 파운드당 4.4115달러(약 6100원)에 마감했다.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도 0.4% 상승한 톤당 9676달러(약 1340만1300원)를 기록했다. 중국 세관 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해 블룸버그 집계 전망치 5.6%를 웃돌았다. 미국의 관세 부담에도 불구하고 중국 제조업체들이 새로운 시장으로 판로를 넓힌 결과다. 이같은 수출 확대는 전자, 자동차, 가전 등의 필수 부품 소재인 구리 수요를 뒷받침하고 있다. 중국 제조업체들이 내수 둔화를 만회하기 위해 해외 바이어 의존도를 높이는 추세도 뚜렷하다. 즈진톈펑선물(Zijin Tianfeng Futures)의 분석가 저우 샤오우(Zhou Xiao'ou)는 지난 7일(현지시간) "구리 수입 역시 기대 이상으로 견조했다"며 "아프리카의 중국 소유 광산에서 채굴한 물량과 러시아에서 선적된 화물이 미국 관세 마감 기한을 맞추기 위해 물류 경로가 조정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공급 측면에서는 칠
[더구루=김나윤 기자] 호주 정부가 핵심 광물 공급망 강화를 위해 리튬 개발업체 라이온타운 리소시스(Liontown Resources)에 3300만 달러(약 457억원)를 투자한다. 라이온타운은 LG에너지솔루션과 테슬라, 포드 등 글로벌 완성차·배터리 기업에 리튬 정광을 공급하는 주요 기업이다.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자회사 글로벌X가 호주 시장에서 초저비용 상장지수펀드(ETF)를 내놨다. 호주 시장 점유율 1위 경쟁사에 비해 수수료가 절반 수준이다. 글로벌X는 호주는 최근 FTSE 호주 300 지수를 추종하는 'A300'을 상장하며 연간 0.04%라는 수수료를 앞세워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이는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또 다른 운용사 뱅가드의 수수료 0.07%보다 절반 가까이 저렴한 수준이다. A300은 호주 상장기업 상위 300개 종목에 투자할 수 있는 ETF로 중소형주까지 포함해 보다 광범위한 시장 노출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글로벌 X 측은 "투자 대상이 200개에서 300개로 확장되면서 기존 ETF보다 더 많은 중소형 종목에 접근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마크 조컴(Marc Jocum) 글로벌X 호주 수석 제품·투자 전략가는 "이번 출시는 모든 호주 투자자의 포트폴리오 일부가 되려는 글로벌X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며 "A300은 단일 거래를 통해 다양한 호주 기업에 대한 접근성과 배당 수익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현지 매체 인베스터데일리(InvestorDaily)는 글로벌X가 최근 '바닐라 전략'이라 불리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국이 뉴질랜드 자치령 쿡 제도(Cook Islands)와 심해 광물 탐사·개발 협상에 들어갔다. 중국이 쿡 제도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지 불과 몇 달 만으로 태평양 심해를 둘러싼 미중 간 해저자원 패권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미 국무부는 지난 5일(현지시간) “쿡 제도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은 심해 광물 매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 중 하나”라며 "해당 해역에 대한 매핑 작업이 협상의 핵심 내용"이라고 밝혔다. 쿡 제도는 뉴질랜드와 자유연합 관계를 맺고 있는 자치국으로 뉴질랜드와 하와이 사이에 위치한 15개의 섬과 환초로 구성돼 있다. 이에 대해 뉴질랜드 외무부는 “미국의 조치에 대해 알고 있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각국의 권리를 존중한다”고 대응했다. 앞서 지난 2월 쿡 제도는 중국과 해저 채굴, 인프라, 어업 등을 포함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먼저 체결했다. 당시 쿡 제도 총리가 뉴질랜드와 협의 없이 협정에 서명했고 뉴질랜드가 이에 반발해 수백만 달러 규모의 예산 지원을 중단한 바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월 심해 채굴 허가 절차를 가속화하라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이를 “중국의 영력 확대에 대응하는 골드러시”라고
[더구루=김나윤 기자] 베트남 미래에셋캐피탈이 대출 수요 회복에 발맞춰 개인과 중소기업을 위한 다양한 대출 상품을 확대했다. 실적을 개선하기 위한 영업활동 확대로 풀이된다. 미래에셋캐피탈은 지난 5일(현지시간) "디지털 기반 투자 확대와 전산 시스템 확대를 통해 고객이 대출 신청부터 승인, 계약, 실행까지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며 "기업 협력 채널과 노동조합을 통한 우대 대출 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4월부터 급여를 받아온 근로자 대상 개인 소비자 대출의 금리를 연 15%로 인하했다. 대출 한도는 최대 5억 동(약 2억7000만원)이고 대출 기간은 최대 48개월로 별도의 담보 없이 서류 절차만으로 대출이 가능하다. 자동차 구매 대출도 미래에셋케피탈의 주요 성장 동력 중 하나다. 대출 승인 원칙 여부는 5분 내 통보되고 계약은 '마이 파이낸스(My Finance)' 앱을 통한 전자계약으로 완전 온라인 처리돼 절차가 간단하고 대출 실행도 신속하다. 중소기업을 위한 무담보 대출 상품도 강화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베트남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대출 절차가 복잡하고 금융 접근이 어렵다는 점에서
[더구루=김나윤 기자] 일본 토신 개발 주식회사(Toshin Development)가 베트남 하노이의 스타 레이크(Starlake) 타이호타이(Tay Ho Tay) 신도시 내에서 복합 개발사업을 시작했다. 복합 빌딩을 짓는 사업으로, 베트남 대우건설로부터 토지 사용권을 얻어 공사가 시작됐다. 지난 2일(현지시간) 하노이 '웨스트레이크 스퀘어 하노이' 프로젝트의 1단계 사업 착공식이 진행됐다. 착공식에는 토신 개발과 모회사 다카시마야(Takashimaya) 그룹 등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 복합 빌딩은 지하 1층부터 6층까지 다카시마야 백화점과 전문매장, 7층부터 10층까지는 오피스 층으로 구성된다. 2027년 가을 완공 예정이다. 특히 하노이 1호점이 되는 다사키마야 백화점은 스타 레이크 내 핵심 상업 시설로 자리할 예정이다. 스타레이크(Starlake City)는 베트남 대우건설의 자회사 THT디벨롭먼트이 단독 투자해 추진 중인, 하노이 서호 지역의 도시 개발 사업이다. 총 면적은 여의도 면적의 3분의 2크기인 186만 3000m²로 하노이의 고급 주거·상업 중심지 조성을 목표로 한다. 1단계는 2014년에 착공해 고급 빌라와 아파트가 들어선 후 입주까지
[더구루=김나윤 기자] 글로벌 리서치 기관 글로벌데이터(GlobalData)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한국의 원자력 발전량이 2035년까지 222.7테라와트시(THw)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4년부터 203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2.4%에 해당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원자력 설비 용량은 2024년 24.4기가와트(GW)에서 2035년에는 29.8기가와트(GW)에 이를 전망이다. 현재 국내에는 25기의 운영 원자로와 4기의 건설 중인 원자로가 있고 이 설비들이 전체 전력 소비의 약 3분의 1을 책임지고 있다. 보고서는 "한국은 이웃 국가와의 전력망 연계와 수입·수출 없이 자국 인프라만으로 전력 수요를 충당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원전 확대는 제한된 국내 자원을 바탕으로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고 화석연료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은 세계적인 에너지 소비 대국이자 주요 온실가스 배출국 중 하나”라며 "국내 전력 소비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원자력은 천연자원이 부족한 한국의 현실에서 불가피한 선택이며 앞으로도 높은 의존도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고 평가했다.
[더구루=김나윤 기자] 영국 에너지 기업 BP(Beyond Petroleum)가 브라질 해안 산토스 분지에서 ":25년 만에 최대 규모의 해양 유전과 천연가스전을 확보했다"고 지난 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발견은 회사의 글로벌 업스트림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브라질에서 생산 허브를 구축하려는 전략적 계획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발견 지점은 브라질 해안에서 약 400km 떨어진 수심 2372m의 부메랑(Bumerangue) 블록이다. BP는 지난 2022년 해당 블록을 인수했고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BP에 따르면 이번 탐사 유정에서는 초기 추정치 기준으로 약 303㎢ 이상에 걸친, 고품질 탄산염 저장소가 확인됐다. 탄산염 저장소가 있다는 건 석유와 가스가 효과적으로 저장되고 이동할 수 있다는 걸 의미해 높은 생산성과 관련이 있다. 여기에 500m 이상의 탄화수소 기둥은 대규모 매장량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만 현장 시추 결과 발견된 유체의 이산화탄소 함량이 높아, 정제와 탄소 배출에서 많은 기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BP는 추가 작업을 통해 저장소와 유체의 특성을 규명할 계획이다. 현재 연구가 준비 중이고 일부 작업은 규제 기관의 승인을 기다리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국의 관세와 칠레 최대 광산의 지진으로 인한 가동 중단이 맞물리며 구리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지 업계 관심이 커지고 있다. 런던금속거래소(LME) 기준 구리 현물 가격은 지난 4일(현지시간) 톤당 9707.50달러(약 1345만원)로 0.8% 상승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부 금속 품목에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구리값은 지난주 소폭 반등했다. 다만 백악관은 최종 발표에서 정제 구리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하며 시장 혼란을 일정 부분 진정시켰다. 이 결정 이전 미국의 구리 가격은 사상 최고치에서 단숨에 22% 급락해 LME 글로벌 벤치마크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이후 관세 제외 방침이 알려지면서 거래 분위기가 안정됐다. 업계 관심은 관세 부과를 앞두고 미국으로 선적됐던 대규모 구리 물량이 어떻게 처리될지에 쏠리고 있다. 지난 4일(현지시간) CME 그룹에서 거래된 뉴욕상품거래소(COMEX) 선물 가격이 여전히 LME 현물 가격보다 톤당 약 1.5% 높게 유지되면서 당분간 수출 물량 이동에 제약이 생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투자은행 뱅크 오브 아
[더구루=김나윤 기자]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가, 9월 들어 하루 석유 생산을 54만7000배럴 늘리기로 했다. 미국 등의 증산이 이어지는 가운데 시장 점유율 회복을 위한 생산량 증대로 해석된다. 이번 증산 결정은 지난 2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이라크,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카자흐스탄, 알제리, 오만 등 8개국이 참석한 화상회의에서 16분 만에 이뤄졌다. 이번 증산예정량은 시장 예상치였던 41만1000배럴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번 결정은 지난 2023년 11월 발표된 하루 220만 배럴 규모의 자발적 감산 이후 2년 여만의 첫 증산 계획으로, 내년 9월까지 단계적인 증산이 이뤄질 예정이다. 다만 OPEC+는 "시장 여건에 따라 이러한 궤적을 일시 중지하거나 되돌릴 수 있다”며 "수요와 공급 균형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밝혔다. OPEC+가 증산에 나선 배경에는 비(非)OPEC+ 국가의 생산 급증이 있다. 미국은 2024년에서 2026년 사이 하루 110만 배럴, 브라질·캐나다·가이아나 등도 30만~50만 배럴을 추가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만큼 시장을 빼길 수 있다보니
[더구루=김나윤 기자] 홍령 현대해상 해외사업본부장이 중국 법인 현대재산보험유한공사의 이사회 의장으로 공식 취임했다. 이번 인사는 중국 금융당국의 공식 승인을 통해 이뤄졌고 현대해상의 중국 사업 재정비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지난 1일(현지시간) 베이징 금융감독관리국은 홍령 본부장의 중국 현대해상 이사 겸 의장 자격을 공식 승인했다. 이번 인사에 따라 중국 법인 운영의 효율성 제고와 함께 전략에도 변화가 있을 지 주목된다. 중국 현대해상은 현지 보험업계 내에서 다양한 종합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더구루=김나윤 기자] 한국 주요 생명보험사들이 모회사 지원과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기반으로 해외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1일(현지시간) 글로벌 신용 리서치 기관 크레딧사이트(CreditSights)는 보고서를 통해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등 한국의 대형 생명보험사들이 모회사와의 긴밀한 관계와 내수 기반 확장으로 매력적인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삼성생명은 삼성그룹의 지원을 바탕으로 약 22%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고 177%에 달하는 지급여력비율(RBC)을 갖췄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4.7%로 나타났다. 16%의 시장점유율을 보유 중인 한화생명은 그룹 내 시너지에 더해 최근 채권 발행 등으로 RBC가 160% 중반까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ROE는 6~8% 수준으로 분석됐다. 교보생명 또한 그룹 계열사와의 연계를 통해 약 13%의 시장점유율을 유지 중이고 RBC는 과도기적 조정에 따라 145%에서 180% 이상까지 다양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ROE는 한화생명과 유사한 6~8%대로 나타났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바이오젠(Biogen)'과 일본 '에자이(Eisai)'가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레카네맙(상품명 레켐비)'이 호주에서 공식 승인됐다. 최근 미국 FDA 승인에 이어 호주에서 추가 허가를 받으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레카네맙의 상업적 확장세가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동시에 이 약의 제제는 레카네맙은 최근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이 선정한 '2025년 최고의 발명품'으로도 꼽히며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태양광 전기차 스타트업 앱테라 모터스(Aptera Motors)가 증시에 상장한다. 자본력을 강화해 태양광 전기차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