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스웨덴 해상 배터리 공급업체인 에찬디아(Echandia)가 하이브리드 추진용 선박에 리튬티탄산화물(LTO) 배터리 시스템을 공급한다. LTO 배터리는 2차 전지의 음극재로 사용되는 흑연을 LTO로 대체해 극저온 성능, 수명, 안전성과 입출력 용량을 대폭 개선한 제품이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에찬디아는 4개의 하이브리드 추진용 선박에 탑재될 배터리 시스템 주문을 확보했다. 배터리 시스템은 오는 2025년까지 납품돼 올해 생산 예정인 하이브리드 추진선 4척에 설치된다. 계약에는 2척의 선박에 납품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돼 추가 수주가 기대된다. 에찬디아는 일본 도시바의 리튬티탄산화물(LTO) 음극재를 사용한 2차전치 SCIB(Super Charge ion Battery) 셀을 사용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LTO 배터리 시스템을 제조한다. 폭발 및 발화 위험도가 낮아 군수, 철도, 항공, 조선, 친환경차 분야에 사용된다. 고수명에 고속 충전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에너지 밀도가 리튬인산철배터리(LFP) 보다 낮아 경쟁력이 떨어지고 가격이 비싸다. 에찬디아의 배터리 시스템은 업계 최고 수준의 안전 표준을 유지하면서 정전 방
[더구루=길소연 기자] LG전자와 루프트한자테크닉의 합작사 'AERQ'가 독일 레저노선 전문 항공사 디스커버항공(Discover Airlines)에 기내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을 공급한다. 자체 개발한 디지털 통합 플랫폼을 제공해 항공사의 스마트객실 구축을 돕는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디스커버항공은 에어버스 A320 항공기(D-AIUQ) 한 대에 디지털 캐빈 솔루션 '에어레나 인시트 시스템(Aerena Inseat System)'을 탑재했다. A320은 오는 29일부터 최소 3년 동안 테스트 비행한다. AERQ가 개발한 에어레나 인시트 시스템은 개인 전자 기기(PED)를 통해 승객과 상호작용하며, 여행 과정 전반에서 디지털 캐빈 혁신을 촉진한다. 승객은 맞춤형 콘텐츠와 정보를 디지털로 받아볼 수 있으며, 기내 식사 메뉴에 접근하거나 목적지 관광 투어를 예약하는 등 여행 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좌석 화면은 14인치이며 최대 해상도는 4K(3840x2160픽셀)이다. 승객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어 가능하다. 디스커버항공은 AERQ가 만든 모듈식 개방형 IT 플랫폼 '에어레나(AERENA)'를 테스트 해왔다. 에어레나는 다양한 응용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 K2전차의 폴란드 수출형 모델인 K2PL(K2 Poland)의 진화된 성능이 공개됐다. K2PL은 기존 K2 전차와 달리 원격 제어 터렛 시스템 (ZSSW-30)과 유사한 30mm 원격사격통제체계(RCWS)를 탑재하고, 적군으로부터 전차를 보호할 수 있는 능동방호시스템(APS), 드론 공격 방해 전파 등이 탑재된다. 15일 폴란드 군사 전문지 디펜스24(Defence 24)에 따르면 K2PL에는 전투력과 방호력 강화를 위해 △폴란드형 대구경 RCWS △하드킬 기능이 있는 APS △무인기 재밍용 장치가 장착된다. K2PL 차체는 폴란드 측의 희망에 따라 K2의 원래 차체와 포탑이 베이스가 된다. 이는 2022년 폴란드에서 개최된 국제방위산업전시회(MSPO 2022)에서도 공개됐다. K2 차체를 베이스로 하는 건 선체 탄약고가 승무원과 분리되지 않았고 운전자의 위치가 차량의 세로 축으로 이동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차 중량은 늘어날 전망이다. 추가 보호 모듈과 무장으로 인해 60t에서 최대 65t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무장으로는 M2 브라우닝 기관총(M2 Browning Machine Gun)의 한국 파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마사회가 오는 29일부터 약 한달간 '벚꽃야경-The Miracle Night'라는 테마로 2024년 렛츠런파크 서울 벚꽃축제를 실시한다. 올해 축제는 야간경마도 함께 즐길 수 있어 봄꽃과 레저의 만남이라는 전국 유일의 이색 벚꽃 명소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방문객을 가장 먼저 반겨주는 '금동마상'에서부터 승마용 말들이 사는 '승용마사'까지 벚나무 백여그루가 뿜어내는 꽃내음이 말발굽 소리, 함성소리와 어우러져 어디서도 보기 힘든 이색적인 풍경을 연출한다. 버스킹 공연, 다양한 체험클래스 뿐 아니라 초보경마퀴즈, 포니체험 등 경마공원을 대표하는 콘텐츠도 다수 선보인다. 또 매년 인기가 높았던 '말'을 주제로 한 우아한 분위기의 포토존과 야간조명 역시 올해 더욱 화려해진 모습으로 방문객을 맞이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의 스리랑카 하늘길이 넓어진다. 스리랑카 국적 항공사인 스리랑칸항공(SriLankan Airlines, UL)과 공동운항(코드쉐어) 파트너십을 통해 승객에게 더 많은 항공편과 간소화된 연결 등 향상된 여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오는 15일부터 스리랑칸항공과 새로운 공동운항(코드쉐어)를 공식화한다. 양사는 '인천-콜롬보' 노선을 공동운항하며 두 항공사의 고객에게 향상된 여행 옵션과 연결편을 제공한다. 공동운항이란 다른 항공사가 운항하는 항공기에 대한항공 편명을 부여하여 판매하는 항공편을 말한다. 공항운항편은 대한항공과 스리랑칸항공 온라인 예약시스템 및 영업소, 외부 온·오프라인 여행사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스리랑칸항공은 대한항공이 싱가포르와 인천 간 운항하는 항공편에 공동운항을 할 수 있게 됐다. 승객들은 스리랑칸항공 단일 항공권으로 싱가포르를 거쳐 콜롬보와 인천 간 여행을 할 수 있게 됐다. 대한항공은 스리랑칸항공이 운항하는 콜롬보와 인천, 싱가포르, 인도 첸나이, 몰디브 말레 간 항공편에 공동운항을 실시한다. 대한항공 승객은 공동운항으로 인도 아대륙에서 스리랑칸항공의 노선
[더구루=길소연 기자] 태양광 전문업체 에스디엔(SDN)이 참여한 콜롬비아 태양광 에너지 프로젝트가 본격화된다. 콜롬비아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력 공급 사업 참여를 기점으로 남미 일대 태양광 발전사업 진출 기회가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SDN은 콜롬비아 정부와의 국제 협력에 따라 수크레주 산베니토아바드의 로오리존치(Bello Horizonte) 마을 2000가구에 태양광 에너지를 공급하기 시작한다. 루시 가르시아 몬테스(Lucy García Montes) 수크레 주지사는 "한국 정부와 국제 협력을 통해 국내 최대 규모의 태양광 에너지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다"며 "개별 태양광 솔루션을 통해 농촌 지역에 에너지를 공급한다"고 말했다. 콜롬비아 수크레 태양광 에너지 프로젝트는 오는 2025년까지 현지에 전기공급이 되지 않는 에너지 취약계층 약 2000가구에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독립형 태양광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총 사업비 규모는 166억원으로, SDN이 주관, 집행한다. SDN은 이 프로젝트를 위해 2022년에 콜롬비아 수크레주와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가 체코에서 디벨론(DEVELON) 브랜드의 유럽 내 판로를 개척한다. 디벨론의 장비를 판매가 아닌 '임대'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켜 브랜드 입지를 넓힌다는 전략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인프라코어의 체코 독점 유통업체인 가레나는 최근 프라하 본사를 둔 건축 자재 공급업체 이조마트 스타베니(IZOMAT stavebniny)와 장비 렌탈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이조마트 스타베니는 체코 전역의 렌탈 매장에서 디벨론 장비 60대를 대여한다. 임대 차량에는 디벨론의 최신 미니 굴착기(DX10Z, DX19, DX27Z, DX62R)와 DX165WR-7 및 DX170W-7의 휠 굴칙가, DL65-7 소형 휠 로더 등이 포함됐다. 일부 지점에서는 대여 말고 구입도 가능하다. 이조마트는 체코 내 33개 렌탈 지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조마트 건설 장비 임대 사업부는 새로운 디벨론 장비를 대여해 건설 장비가 필요한 고객에게 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즈데넥 프라넥(Zdeněk Fránek) 이조마트 스타베니 렌탈 부문 이사는 "디벨론 장비는 현대적이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이어서 고객의 요구를 충족한다"며 "현재 렌탈 포트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 기후테크 스타트업 시바운드(Seabound)가 탄소 중립을 위한 대형 선박용 탄소 포집 시스템을 개발했다. 석회석을 이용해 탄소를 포획하고 더불어 황화합물 같은 오염 물질을 흡수해 탄소 배출량을 줄인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시바운드는 최근 영국 정부에서 150만 달러(약 19억원)를 지원받아 선박 배기가스 중 이산화탄소를 분리 포획한 후 다시 석회석으로 만드는 기술을 실증했다. 시바운드는 240m 길이의 컨테이너선에서 컨테이너 하나에 탑재할 수 있는 소규모 파일럿 시스템을 설치해 탄소 포집 기술을 검증했다. 시바운드의 이산화탄소 포집은 석회석을 통해 이뤄진다.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시 생석회인 산화칼슘을 통과할 경우 이산화탄소의 78%를 포획하고 덤으로 황화합물 같은 오염 물질도 90% 흡수할 수 있다. 선박용 이산화탄소 포획 및 저장 시스템으로 포획 후에는 석회석을 매립해 폐기한다. 석회석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매립 대신 건축자재로 판매해도 된다. 시바운드가 개발한 시스템은 하루 1톤(t)의 이산화탄소를 고정할 수 있다. 15만t의 화물을 싣는 대형 컨테이너선의 경우 하루 600t의 이산화탄소를 내뿜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미국 위성안테나 회사 카이메타가 반도체 기업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dvanced Micro Devices, AMD) 출신 임원을 영입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카이메타는 최근 AMD 컴퓨팅 및 그래픽 비즈니스 그룹의 릭 버그만(Rick Bergman) 전 부사장을 새 최고경영자(CEO)로 임명했다. 릭 버그만 신임 CEO는 다음달 1일부터 카이메타를 이끌게 된다. 릭 신임 CEO는 "카이메타는 뛰어난 역량을 갖춘 글로벌 팀의 지원을 받아 기술 및 시장 리더로 자리매김했다"며 "고객에 대한 헌신, 혁신, 최고 수준의 제품 제공을 바탕으로 카이메타는 글로벌 광대역 통신을 발전시키는 데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카이메타가 릭 신임 CEO를 영입한 배경에는 그의 뛰어난 경력이 바탕이 됐다. 릭 신임 CEO는 혁신적인 기술로 시장 기회를 활용해 지속적인 시장 성장을 이끌어왔다. 릭 신임 CEO는 카이메타 합류 전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에 본사를 둔 AMD에서 4년간 근무했다. 이전에는 2011년부터 2019년까지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대기업인 시냅틱스(Synaptics)의 CEO였다. 20년 이상의 고위 리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와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국내 조선소가 조선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태국 노동자 수천명을 채용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피팟 랏차깃쁘라깐(Phiphat Ratchakitprakarn) 태국 노동부 장관은 최근 서울 롯데호텔에서 국내 조선소 관계자와 만나 고용 3000명 확대 및 태국 근로자 조선소 취업 기술훈련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 자리에는 솜차이 모라코쓰리완(Somchai Morakotsriwan) 태국 고용부 국장, 사마스 파타마수콘트(Samas Pattamasukont) 태국 노동부 감찰관, 태국노동촉진고용주협회 대표, 태국인해외고용협회 대표가 참석했다. 피팟 태국 노동부 장관은 "HD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조선소 운영사 5개사는 크고 잘 알려진 민간 기업"이라며 "한국 조선소와 협상을 거쳐 즉시 조선소 용접공 직종에 태국인 3000명을 채용하게 한다"고 말했다. 특히 태국 측은 기술개발부의 한국어 능력 교육을 통해 한국 조선소 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조선소 엔지니어링 분야의 숙련된 인력을 파견하겠다고 제안했다. 솜차이 모라코쓰리완 고용부 국장은 "이번 한국
[더구루=길소연 기자] 리튬 탐사 회사 델타 리튬(Delta Lithium)이 서호주 리튬 프로젝트를 위한 합작 투자를 맺었다. 서호주 리튬 프로젝트의 지분을 늘리고, 광물 권리를 점진적으로 획득해 리튬 프로젝트의 입지를 넓힌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델타 리튬은 최근 서호주 가스코인(Gascoyne) 지역에서의 활동을 확대하기 위해 호주 광물 탐사회사 볼타 스트래티직 리소스(VSR)와 호주 금 생산·탐사회사 리치 리소스(RRL)와 구속력 있는 조인트벤처(JV) 계약을 체결했다. JV 계약은 서호주 가스코인 지역에서 개발하고 있는 리튬 프로젝트 '이네타라(Yinnetharra)'에 초점을 맞춘다. 먼저 델타 리튬은 450만 호주 달러(약 39억원)에 달하는 초기 투자를 통해 이네테라 광구 413㎢를 추가, 총 1769㎢ 면적을 확보한다. 이번 투자로 델타 리튬은 이네타라 리튬 프로젝트에 인접한 3개 프로젝트의 지분을 최대 80%까지 확보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한다. 합작투자는 델타 리튬의 점진적인 광물권 취득을 촉진하도록 구성됐다. 델타 리튬은 VSR과의 계약에 따라 이네타라 남쪽에 위치하고 말린다(Malinda) 자원과 가까운 티 트리(Ti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투자은행인 JP모건이 신조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사상 최고가로 리세일했다. JP모건은 신조선과 매입한 중고선을 되팔거나 용선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JP모건은 미국 LNG 생산업체 벤처 글로벌 LNG(Venture Global LNG)에 신조 LNG 운반선 3척을 각각 약 2억 7000만 달러(약 3549억원)에 매각했다. 3척의 재매각가는 총 8억1000만 달러(약 1조원)이다. 선박은 오는 2026년 말 이전에 인도된다. 이는 JP모건이 발주한 금액보다 높은 것이다.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2021년에 발주된 LNG 운반선은 척당 2억650만 달러(약 2704억원)에서 2억700만 달러(약 2716억원) 수준이다. JP모건의 재매각가 보다 6300만 달러(약 827억원) 저렴하다. JP모건은 이번 리세일로 LNG 운반선 신조 재매각의 신기록을 세우게 된다. 지금까지는 유대계 선박왕인 이단 오퍼(Idan Ofer)의 계열사인 싱가포르 이스턴퍼시픽쉬핑(EPS)이 지난 2월 나이지리아 상인 보노 에너지(Bono Energy)로부터 현대삼호중공업이 건조한 L
[더구루=홍성일 기자] 춤추는 '옵티머스'를 선보였던 테슬라가 새로운 영상을 공개했다. 테슬라는 이번 영상을 통해 옵티머스가 일상 생활 영역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선보였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 옵티머스팀은 2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난 하루종일 춤만 추는 게 아니다"라며 새로운 옵티머스 영상을 게재했다. 댄스로 주목받은지 일주일여만에 새로운 영상을 업로드한 것이다. 해당 영상에는 옵티머스 휴머노이드가 쓰레기를 버리고, 책상을 정리하는 모습 등이 포함됐다. 또한 페이퍼 타올을 뜯거나 국자를 들고 냄비를 뒤적이는 모습도 등장한다. 테슬라는 댄스 영상으로 옵티머스의 하반신 운동 성능을 선보인 데 이어 옵티머스의 상체, 특히 손과 팔이 정밀하게 제어되는 모습을 보여줬다. 테슬라 옵티머스는 이전부터 손가락 제어 능력 면에서는 타 안드로이드보다 앞서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테슬라는 옵티머스가 단일 신경망을 사용해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옵티머스는 1인칭 화면으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학습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가 옵티머스의 댄스 외에도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특히 1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차세대(10세대) 엑스박스(Xbox) 콘솔에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Steam)을 통합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MS가 차세대 엑스박스를 'TV에 연결된 게임용 PC'로 정의하고 기존 콘솔에는 없던 유연성을 제공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2일 MS 전문매체인 윈도우센트럴에 따르면 MS는 밸브·에픽게임즈 등과 엑스박스-PC 게임플랫폼 통합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제즈 코든(Jez Corden) 윈도우센트럴 편집장은 "엑스박스가 밸브를 포함한 PC 게임 스토어 운영사와 구현방안을 두고 논의 중"이라며 "테스트 단계에 있다는 소문도 있지만 그 부분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고 밝혔다. 스팀의 차세대 엑스박스 통합설은 필 스펜서(Phil Spencer) MS 게이밍 최고경영자(CEO)의 발언에서 시작됐다. 필 스펜서 CEO는 지난해 4월 진행된 엑스박스 팟캐스트에서 "엑스박스에서 에픽게임즈 스토어와 itch.io와 같은 서드파티 PC 게임 스토어에 접속할 수 있기 바란다"고 전했다. 필 스펜서의 발언이 공개된 이후 사라 본드(Sarah Bond) 엑스박스 사장의 "한 세대만의 가장 큰 기술적 도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