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가 한국 정부에 반도체 재생에너지 확대 권고안을 제시했다. 반도체 생태계에서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접근 확대는 한국의 반도체 칩 공급망의 탈탄소화 목표 달성에 중요하다는 목소리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SEMI는 에너지 협력(Energy Collaborative, EC)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산업통상자원부와 만나 EC 분석, 권장 사항과 솔루션을 논의했다. SEMI EC는 최근 아시아청정에너지연합(ACEC)과 청정에너지구매자협회(CEBA)와 협력해 비영리단체 기후솔루션(SFOC)과 공동으로 회의를 주최했다. 이날 행사는 삼성전사와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업체 ASML, 미국 반도체 제조업체 램리서치(Lam Research), 퀄컴(Qualcomm) 등이 참석했다. 무수미 바트(Mousumi Bhat) SEMI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담당 부사장은 "저탄소 에너지(LCE) 전력에 대한 수요 증가는 모든 제조 부문의 관심사이지만 특히 반도체는 더욱 그렇다"며 "반도체 업계가 탈탄소화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LCE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SEMI는 한국의 반도체 칩과 이를 통해 구현되는 전자 장치 생산
[더구루=길소연 기자] 최근 총선에서 3연임에 성공한 나렌드라 모디(73) 인도 총리가 국가 전략의 일환으로 해운회사를 설립한다. 향후 10년 동안 최소 1000척의 선대를 확장해 외국 선사의 의존도를 줄여 인도의 해상 무역 자립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태양광 기업이 동남아시아에서 생산을 중단하고 공장을 폐쇄한다. 미국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면서 현지사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자 공장 철수를 결정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스페인 타라고나 항만청(Port de Tarragona)과 스페인 물류회사 베르게는 현대글로비스와 유코카캐리어스 등 물류 운송회사와 평택국제자동차부두(PIRT)를 찾아 비즈니스 협력을 논의했다. 타라고나항에서의 사업 현황을 전달하는 한편 평택항 물류 터미널에서 수출입 차량 운송 현황을 청취하고 협력을 증진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사울 가레타(Saül Garreta) 타라고나 항만청장과 베르게로 구성된 대표단은 지난달 27일부터 31일까지 한국을 방문해 주요 물류운송회 3곳을 시찰했다. 대표단이 방문한 회사는 현대글로비스와 유코카캐리어스, 삼주마리타임 등이다. 이 회사들은 모두 이베리아 반도의 항구를 통한 자동차 수출입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대표단은 방문한 회사와 무역 활성화를 논의하고 친환경 운송 항로와 운영에 대해 협의했다. 또한 대표단은 PIRT도 방문했다. PIRT는 2009년부터 평택항 제2번, 3번 자동차 전용부두를 운영하고 있다. 8000대급 자동차 전용선박 2척을 동시에 접안 가능한 제2번, 3번 부두는 현재 평택국제자동차부두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PIRT는 출범이래 평택항의 제2번, 제3번 자동차 전용부두
[더구루=길소연 기자] 덴마크의 세계적 해운선사 머스크가 후티 반군의 홍해 상선 공격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후티 반군의 공격으로 선박의 위험 범위가 커지면서 배송 지연과 해상 운임이 급등해 호실적을 기대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머스크는 운임 상승으로 인해 올해 EBITDA(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 전망치가 이전 보다 30억 달러(약 4조원) 더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머스크가 발표한 1분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올해 연간 EBITDA를 70억~90억 달러(약 9조6000억원~12조원) 달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머스크는 "홍해 위기로 인한 혼란과 해상 운송 수요가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어 올 하반기 재무 성과가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머스크는 1분기 매출은 저조하지만 운임 호황에 연간 호실적을 기대했다. 이는 홍해사태가 장기화되고 계절적 성수기인 2분기를 맞이하면 현실화될 수 있는 상황이다. 국제 컨테이너선 운임료 시황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달 30일 기준 3044.77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최고점을 기록한 1250원선에서 2배 이상 올랐다. 후티는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며 이스라엘의 가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미포가 수주한 석유화학제품선(Product Carrier, PC) 2척의 발주처가 아랍에미리트(UAE) 선사 걸프에너지마리타임(Gulf Energy Maritime·GEM)으로 확인됐다. HD현대미포는 몸값이 치솟는 PC선 수주로 수주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미포는 지난달 16일 공시한 1332억원 규모의 PC선 2척에 대한 수주가 GEM과의 건조 계약으로 확인됐다. GEM이 HD현대미포에 발주한 5만DWT급 PC선 2척은 오는 2026년에 인도될 예정이다. 주문 금액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척당 최소 5000만 달러(약 686억원)로 책정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2척의 신조선 총 주문 금액은 1만 달러(약 1373억원)이 된다. 신조선은 '젬 다니엘라'(Gem Daniela)와 '젬 딜라일라'(Gem Delilah)로 불린다. HD현대미포는 지난해 GEM으로부터 PC선 4척을 수주했다. 당시 계약금액은 2401억원 수준이다. 수주한 PC선 4척은 HD현대미포에서 건조해 2025년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인도된다. 4척의 선박은 △젬 루비(Gem Ruby) △젬 사파이어(Gem Sapphire) △젬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라크와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국가에서 국산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 천궁(KM-SAM)-Ⅱ에 대한 구애가 이어지고 있다. 방산 선진국 대비 합리적인 가격과 빠른 납기, 세심한 사후서비스 등이 현지에서 좋은 평가를 받으며 중동 수출 확대를 기대케 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와 LIG넥스원은 이라크 측과 연내 계약 체결을 목표로 천궁-Ⅱ 도입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규모는 천궁-Ⅱ 8개 포대 규모로 최소 3조5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라크 측은 천궁-Ⅱ 3개 포대를 우선 납품 여부를 물었고, 우리 측은 2개 포대가 납품 가능하다고 해 수출 협상이 진행 중이다. 천궁-Ⅱ 도입을 타진해온 이라크는 지난 3월 타베트 무함마드 알 아바시 이라크 국방부 장관 등 군 고위관계자가 방한해 천궁-Ⅱ 사양을 점검한 바 있다. 이라크와 계약이 성사되면 천궁-Ⅱ의 중동 수출은 지난 2022년 1월 UAE, 지난 2월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세 번째이다. 이라크가 천궁을 도입하는 데는 안보 강화 움직임이 일고 있는 중동 2개국의 도입 영향이 크다. 중동 국가의 운용이 우수한 성능을 입증한 셈이다. 천궁-Ⅱ는 지난 20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랍에미리트 국영석유회사 애드녹(ADNOC)이 싱가포르 선사인 나빅8(NAVIG8)을 인수하며 유조선 선대를 확충한다. 애드녹은 나빅8 인수로 에너지 해상 물류 분야의 글로벌 기업으로 입지를 강화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호주 최대 에너지기업인 우드사이드 에너지(Woodside Energy)가 일본국제협력은행(JBIC)를 통해 호주 북서부 해안의 '스카버러(Scarborough)' LNG 프로젝트 자금을 지원받는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호주 정부가 국가 로봇 공학 발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적 흐름에 발맞춰 로봇공학과 자동화 기술의 책임 있는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서다. 호주 정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국가적 과제를 해결하고, 제조업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의 대형 액체 수소 저장 탱크 개발 파트너인 3M이 수소 전환을 가속화한다. 저렴하게 수소 생산해 미래 수소 경제 발전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에너지가 추진 중인 대규모 가스전 노스필드(North Field Expansion, NFE)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파트너로 대만중유공사(CPC)를 택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보스턴다이내믹스의 4족 보행 로봇 '스팟(Spot)'이 팔과 한쪽 다리를 이용해 무거운 타이어를 굴리는 데 성공했다. 강화학습을 통해 복잡한 물리 상호작용을 스스로 익히며 로봇이 인간처럼 힘과 균형을 동시에 다루는 기술 수준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고강도 제재 속에서 '반도체 자립'을 추진 중인 중국이 반도체 설계와 테스트 분야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 미국의 반도체 제재가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