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HD한국조선해양이 그리스 선사 캐피탈 가스 해운에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인도했다. 캐피탈 가스가 주문한 18척의 선박 중 여덟 번째 선박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은 최근 그리스 캐피탈 가스에 17만4000㎥ 규모 LNG 운반선 '아모레 미오 I'(Amore Mio I)'호를 성공적으로 납품했다. 신조선은 만(MAN) 메가(MEGA) 엔진으로 추진되며 공기 윤활 시스템, 샤프트 발전기, 충전 한계 증가(99% 이상) 등 최신 기술이 적용돼 효율성이 매우 높다. LNG 연료의 경우 완전 연소되지 않고 배출되는 메탄슬립도 최소화하고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크게 줄이도록 설계됐다. 인도된 선박은 HD한국조선해양이 지난 2021년 캐피탈 가스로부터 수주한 물량이다. 2척의 선박 인도 기간은 올 12월까지다. 같은해 현대삼호중공업은 캐피탈 가스로부터 17만4000㎥ LNG 운반선 3척을 수주했다. 오는 2025년 2~3분기에 인도할 예정이다. 캐피탈 가스는 선단을 늘리기 위해 HD한국조선해양에 선박을 발주해왔다. 캐피탈 가스는 HD한국조선해양에 지난 3월 말 6749억원 규모의 LNG 운반선 2척을 주문했다. 선박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파나마 운하의 통행 가능한 선박 대수가 25대로 또다시 감축됐다. 가뭄에 따른 일일 통행량 제한으로 내년 2월에는 18대만 통행이 가능하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파나마 운하관리청(Autoridad del Canal de Panamá, ACP)은 지난 3일(현지시간) 운하 일일 통행 제한을 31대에서 25대로 축소했다. <본보 2023년 10월 8일 참고 파나마 운하, 일일 통행 가능 선박수 또 하향> ACP는 이달 25대에서 다음 달에 22대로 줄인다. 이어 내년 1월에는 20대, 2월에는 18대로 순차적으로 통행 가능 대수를 낮출 계획이다. ACP는 "현재 98대의 선박이 운하를 이용하기 위해 대기 중인데, 이번에 통행 제한을 강화하면서 기존에 대기 중인 이들 선박의 통행 일정도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파나마 운하의 통행 가능 선박 대수 감소 원인은 가뭄 때문이다. 가뭄으로 인해 운하에 용수를 공급해야 할 가툰(Gatun) 호수의 저수량도 위험한 수준이다. 파나마 운하는 인근의 가툰 호수의 담수를 끌어와 운하의 수위를 유지 중이다. 가툰 호수는 파나마 인구의 약 50%가 사용하는 생활용수도 공급하기에 운하 유지에만 모
[더구루=길소연 기자] 전 세계 해운업 1위를 유지하고 있는 그리스가 선박 발주 랠리를 이어간다. 고유가에 유조선 발주와 탄소배출을 감축할 수 있는 친환경 선박 주문이 늘면서 한국 조선소의 수주가 기대된다. 11일 그리스 매체 나프탈리아키 그리스 쉬핑 리뷰(Naftiliaki Greek Shipping Review)는 그리스 선주사들의 선박 발주량이 지난 9월 말 기준 317척으로 집계했다. 이는 전년비 41% 올랐다. 구체적으로 △탱커 122척, 1277만DWT △벌커 80척, 590만DWT △LNG운반선 48척, 448만DWT △컨테이너선 44척, 257만DWT △LPG운반선 15척, 61만9420DWT △기타 선종 8척(자동차운반선 6척, 예인선 1척, 페리 1척), 10만200DWT 순으로 주문했다. 그리스 선박 중개인 얼라이드 쉽브로킹(Allied Shipbroking)도 최근 지난달 23일부터 29일까지 발간한 43주차 보고서를 통해 그리스 선주들이 지난 12개월 동안 151척 신조선을 발주했다고 밝혔다. 그리스에 이어 일본(150척), 중국(129척) 순으로 발주했다. 그리스 선주들은 탱커에 가장 많이 투자했다. 고유가로 해저에 매장된 석유와 가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보잉 787 항공기의 예측 정비를 개선한다. 대한항공은 항공기 분석 서비스로 유지 관리 작업을 향상시켜 승객에게 안전성을 제공하고, 항공기 운영 효율성을 높인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8일(현지시간) 태국 치앙마이에서 미국 방산업체 레이시온(RTX) 계열사인 콜린스 에어로스페이스(Collins Aerospace·이하 콜린스)와 B787에 항공기 예후·상태 관리(PHM) 솔루션 아센시아(Ascentia)를 장착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대한항공은 콜린스의 아센시아를 통해 항공기에 대한 고급 데이터 관리와 분석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시스템 전문 지식과 데이터 인텔리전스를 활용해 전략적 유지 관리 결정도 내릴 수 있다. 아센시아는 고급 데이터 분석으로 항공사가 정비 작업을 개선하고 항공기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비행 데이터와 정비 기록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잠재적인 정비 문제를 예측하고 시정 조치를 위한 권장 사항을 제공해 항공기 가용성을 개선하고 예기치 않은 다운타임(장비 가동 중단)을 줄일 수 있다. 오종훈 대한항공 예측정비팀 총괄책임자는 "보잉 787 항공기의 다양한 구성품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 석유회사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가 국내 대형 조선업체들과 멕시코만 심해유전 개발에 투입될 해양플랜트 건조 협상에 나섰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BP는 미국 멕시코만에서 발견한 두 개의 주요 심해 석유 프로젝트를 위해 조선소에 심해 자원 시추·발굴·생산하는 해양설비를 발주한다. 물망에 오른 조선업체는 HD한국조선해양과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이 거론되고 있다. 싱가포르 조선사도 협상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조선소는 해양플랜트 시장에서 수주 실적을 올리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 부유식 해양 설비를 수주했다. 지난 7월 호주 우드사이드 에너지와 총 1조5800억원 규모의 부유식 원유생산설비(FPU) 1기를 계약했다. <본보 2023년 2월 3일 참고 멕시코발 해양플랜트 대진표 완성…한국조선해양·삼성중공업 등 4강 압축> 삼성중공업은 아프리카 모잠비크 코랄 2차 프로젝트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와 북미 FLNG 프로젝트의 수주 가능성이 높은 상태이다. 삼성중공업은 전 세계에 발주된 FLNG 5척 중 4척을 수주하며 글로벌 점유율 80%를 기록하고 있다. BP가 2006년에 발견한 멕시코만의 카스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국에 글로벌 엔진 사업부문의 거점을 마련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국 코네티컷주 체셔에 국제엔진사업부를 설립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곳을 통해 생산거점 확대와 글로벌 엔진제조사와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장은 "코네티컷에 국제엔진사업본부를 설립하기로 한 결정은 미국 시장에 대한 한화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번 전략적 움직임을 통해 우리는 주요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 기반을 확장하며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에서 입지를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코네티컷을 글로벌 사업본부의 거점으로 선택한 것은 숙련된 인력과 항공엔진 제조사 프랫 앤 휘트니(P&W) 등 주요 고객사와의 근접성을 활용하기 위함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코네티컷에 항공엔진 부품을 생산하는 공장을 두고 있다. 지난 2019년에는 코네티컷 주에 위치한 항공 엔진 부품 전문업체인 이닥(EDAC)의 전 지분도 인수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USA를 출범시켰다. 이닥은 GE·롤스로이스·프랫 앤 휘트니(P&W) 등 세계 3대 항공엔진 제조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건설한 2곳의 멕시코 태양광발전소가 올해 상업운전을 시작한다. 멕시코 태양광발전소는 한전이 중남미에서 추진하는 첫 태양광 사업이자 역대 최대 규모의 해외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업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멕시코 소노라주(州)는 연내 100MW 규모의 타스티오타(Tastiota) 태양광발전소와 99MW 규모의 엘 마요(El Mayo) 발전소를 가동한다. 한전은 지난 2019년 멕시코시티에서 태양광발전소를 착공했다. 한전과 스프로트코리아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캐나다 솔라사와 소노라주를 포함한 멕시코 세 지역에 294메가와트(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한 뒤 35년간 운영한다. 한전은 이 사업에 4100만 달러(약 537억원)을 투자했다. 전체 사업기간 동안 2800억원의 수익 창출을 기대한다. <본보 2020년 10월 7일 참고 [단독] 한전 컨소시엄, 멕시코 태양광 사업자금 1100억원 추가 조달 성공> 3곳의 발전소 중 한 곳인 95MW 규모의 호루스(Horus) 발전소는 올 2월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한전은 태양광발전소 가동으로 멕시코에서 주요 민자발전사업자(IPP) 지위를 확보한다. 한전은 멕시코 현지에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마사회는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3일까지 2주에 걸쳐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시행했다고 10일 밝혔다. 훈련은 화재, 지진, 말 전염병 등 유형별 재난 상황을 가정해 다양한 상황에서도 신속하고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진행됐다. 훈련에 참가한 직원들은 지진 및 화재상황을 가정한 후 방송에 맞춰 대피하고, 상황별 행동요령에 따라 화재 진화, 응급처치 등을 시행했다. 이번 훈련에는 과천소방서 등 재난대응 전문기관이 함께해 훈련의 완성도를 한층 높였다. 경마고객을 대상으로는 소화기, 소화전, 심폐소생술을 배울 수 있는 '소·소·심' 캠페인을 진행해 임직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안전의식을 전파했다. 정기환 마사회 회장은 "앞으로도 비상대비 태세를 완벽히 확립해 보다 안전한 한국마사회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한국산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이하 니트릴 고무)에 반덤핑 관세 부과 조치 연장을 위해 조사에 착수했다. 금호화학과 LG화학이 관세 부담을 덜 수 있을지 주목된다. 중국 상무부는 8일(현지시간) 한국과 일본산 수입 니트릴 고무에 대해 반덤핑 일몰재심 조사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조사 내용은 한국과 일본산 수입 니트릴 고무에 대한 반덤핑 조치가 종료될 경우 덤핑과 자국 산업 피해가 지속되는지 여부다. 조사 기간은 오늘부터 내년 11월 9일까지이다. 중국은 지난 2018년부터 5년간 한국과 일본산 니트릴 고무에 대해 반덤핑관세를 부과해왔다. 금호화학 12%, LG화학 15%, 기타 37% 세율이 매겨졌다. 상무부는 올해 한국산 니트릴 고무 관세 부과가 끝나자 관세 연장을 위한 일몰 재심 조사에 착수했다. 일몰 재심은 중국 니트릴 고무 산업을 대표해 중국석유총공사 란저우 석유화학 지사와 닝보 순제 고무 유한공사가 제출한 반덤핑 조치에 대한 기간 종료 검토 신청서를 접수하면서 진행됐다. 중국 업체는 "반덤핑 조치가 종료될 경우 한국과 일본산 수입 니트릴 고무가 중국으로 덤핑되는 행위가 지속되거나 재발될 수 있다"며 "중국 국내 산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가 건설장비 브랜드 '디벨론(DEVELON)'의 맞춤 솔루션으로 남미 서비스를 강화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인프라코어 칠레법인(HD Hyundai Infracore Chile S.A)은 칠레에서 중장비 산업의 특정 요구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다양한 산업 부문을 위한 장비 개조와 어태치먼트, 예비 부품 등 액세서리 라인업을 추가한다. 일례로 대량 수거 작업을 위해 선박에 설치하기 위한 굴착기를 개조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현지 공급업체와 긴밀히 협력해 리프팅 아이를 설치하기 위해 기계 섀시를 강화했다. 개조한 굴착기는 바지선에서 들어 올려 선박의 화물칸에 배치, 고객의 요구를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충족할 수 있게 했다. HD현대인프라코어 칠레법인은 현지에서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근접성과 서비스로 고객의 니즈를 충족하고 있다. 여기에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고객에게 더욱 다재다능한 장비를 제공해 새로운 작업을 수행하고 수익을 극대화한다. 카를로스 콘차(Carlos Concha) HD현대인프라코어 칠레법인 커머셜 매니저는 "우리의 목표는 전략적 파트너 확보 외 특정 니즈를 파악해 적절한 솔루션
[더구루=길소연 기자] SNT다이내믹스가 폴란드에 HD현대인프라코어와 SNT다이내믹스의 협력 결과물인 'K-파워팩'(엔진+변속기) 수출을 타진한다. 폴란드 맞춤형 무기차량 'K2PL(K2 Poland)'에 국산 파워팩을 탑재하길 바라며 강점을 어필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SNT다이내믹스는 최근 열린 '서울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3)'에서 폴란드 정부에 국산 파워팩을 제안했다. 파워팩은 HD현대인프라코어의 DV27K 디젤 엔진과 SNT다이내믹스의 EST15K 변속기로 구성됐다. <본보 2023년 9월 7일 참고 HD현대인프라코어·SNT다이내믹스 공조물 'K-파워팩' 공개> K-파워팩에 장착된 EST15K 자동 변속기는 1500마력으로 디젤 엔진과 작동하도록 조정된 6개의 전진 기어와 3개의 후진 기어가 특징이다. 유압제어기술, 제동기술, 조향기술, 전자제어기술, 변속기술 등 최첨단 기술이 융·복합 돼 있다. 변속기의 무게는 2500kg이다. 자동 변속 기능과 최첨단 완전자동 비례제어 방식을 적용해 험한 지형에서도 시간당 50㎞ 이상의 속력을 낼 수 있고 변속충격 저감, 가속성능 향상·연비 향상 등을 실현했다. SNT다이내믹스
[더구루=길소연 기자] SK해운이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4척을 매각한다. 선박 매각을 통한 유동성 확보와 재무구조를 개선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SK해운은 그리스 선주들에게 HD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VLCC 4척을 판매한다. SK해운은 그리스 선주 아다만티오스 폴레미스(Adamantios Polemis)에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한 31만4000DWT VLCC 2척 C.스피릿(C.Spirit, 2012년 건조)과 C.챌린저(C.Challenger, 2012년 건조)를 각각 6700만 달러(약 875억원), 6500만 달러(약 850억원)에 매각한다. 선박에는 스크러버가 장착됐다. 거래에는 두 선박 모두 정기 용선이 포함됐다. C.스피릿은 내년 2월까지 하루 3만6625 달러(약 4780만원) 요금으로 에너지 트레이딩 업체 트라피규라(Trafigura)에서 용선 중이다. C.챌린저호는 하루 3만1000달러(약 4046만원)에 미국 선사 코크쉬핑(Koch Shipping)에서 내년 7월까지 용선한다. 동급 VLCC C.엠페러(C.Emperor, 2004년 건조)와 C.비전(C.Vision, 2004년 건조)도 다른 선주에게 각각 3450만 달러(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원자력 발전 개발사 엘리멘틀 파워(Elementl Power)가 오크리지국립연구소(ORNL)와 빠른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을 위해 손잡았다. 엘리멘틀 파워는 ORNL과 계약을 토대로 구글 원자력 발전소 건설 속도를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엘리멘틀 파워는 ORNL과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 가속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ORNL은 협약에 따라 엘리멘틀 파워의 구글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구글과 엘리멘틀 파워 간 원자력 발전소 구축 계약에 이어 체결됐다. 구글과 엘리멘틀 파워는 이달 초 전략적 협약을 체결하고, 미국 내 원자력 발전소 3곳 건설하기로 했다. 구글에 따르면 해당 발전소는 1곳 당 최소 600메가와트(MW) 발전용량을 제공한다. 구글은 계약에 따라 초기 개발 자금을 지원하며, 엘리멘틀 파워는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과 기술 평가, 설계·조달·시공 파트너사 물색 담당하기로 했다. 구글은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통해 24시간 안정적으로 데이터센터 전력을 공급할 '기저전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엘리멘틀 파워는 ORNL에서 'OR-세이지(S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글로벌 에너지 기업 '어플라이드 에너지 서비시스(Applied Energy Services Corporation, AES)'와 태양광 에너지 공급 계약을 맺었다. 메타는 이번 계약을 통해 미국 중남부 지역 데이터센터 전력망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는 AES와 2건의 장기 전력 구매계약(PPA)를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메타는 총 650메가와트(MW) 규모 태양광 발전 용량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계약은 AES가 텍사스와 캔자스에서 진행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따라 이뤄졌다. AES는 텍사스에서 400MW, 캔자스에서 250MW 규모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해당 시설이 완성되면 텍사스를 비롯한 미국 중남부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우스웨스트 파워 풀(SPP) 전력망과 연결된다. AES와 메타는 전력 공급 시작 시점과 기간 등 상세한 계약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AES 대변인은 "통상 상업 운영 시작 2~3년 전에는 구매계약을 체결하며, 평균 계약 기간은 15~20년"이라고 설명했다. 메타는 AES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텍사스 주와 캔자스 시티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가동에 투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