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과 요르단이 수교 60주년을 맞아 투자 협력을 도모했다. 한국 기업의 요르단 투자는 주로 전력 서비스 공급 분야에 집중됐으나 요르단 당국의 투자유치 의지가 강한 만큼 건설업, 제조업, ICT 등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이 기대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이상화 외교부 공공외교대사는 지난 27일(현지시간) 카이르 암르(Khairy Amr) 요르단 투자부 장관과 만나 경제·투자 분야를 포함한 양국 관계 발전에 대해 논의했다. 양국은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와 협력을 발전시켜 나가는데 합의했다. 이들은 유대관계를 부각시키며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진전시키는 데 열의를 나타냈다. 특히 양측은 이번 회담에서 경제관계 강화와 투자촉진 방안 요르단에서의 거대 투자 기회를 강조하며 한국 기업인들에게 요르단 시장 이점 활용 방안을 촉구했다. 코트라(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여파로 요르단 투자 규모는 2017년 20억 달러 대비 2020년에 7억2000만 달러로 절반 이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이에 요르단 정부는 세금 감면을 필두로 산업 전방위에 걸친 해외투자 유치 활동을 전개 중이다. 한국 기업의 대(對)요르단 투자액은 2000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건설과 이라크 정부가 비스마야 신도시 사업을 정상화하기 위한 협의에 나선다. 한화건설이 밀린 공사 대금을 정상적으로 회수하며 공사를 재개할지 주목된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라크 국가투자위원회(NIC)는 최근 한화건설에 비스마야 신도시 공사 재개와 관련한 협의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현재 이 공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공사비 미지급 등의 문제로 최소한의 작업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 간 최대 쟁점은 공사비다. NIC 측은 이미 충분한 공사비를 지급했다고 주장하는 데 반해 한화건설 측은 미지급된 대금을 받아야 공사를 재개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한화건설 사업보고서를 보면 작년 말 기준 비스마야 신도시 공사와 관련한 미수금은 약 7415억원에 이른다. 한화건설은 "NIC 협의 요청에 따라 미수금 문제 등을 비롯해 신도시 완성을 위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며 "이 과정에서 일부 계약 조건도 협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스마야 신도시 프로젝트는 이라크 전후 복구 사업의 일환이다. 이라크 수도인 바그다드에서 동남쪽으로 10㎞ 떨어진 비스마야 지역에 10만 가구 규모의 신도시를
[더구루=정등용 기자] 핀웨이브 반도체(Finwave Semiconductor)가 1220만 달러(약 158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유료기사코드] 29일 핀웨이브 반도체에 따르면 이번 시리즈A 라운드는 파인 스트럭쳐 벤처스(Fine Structure Ventures) 주도로 진행됐다. 이에 더해 △시타 캐피탈(Citta Capital) △소이텍(Soitec) △사파 파트너스(Safar Partners) △알럼니 벤처스(Alumni Ventures)가 투자자로 참여했다. 핀웨이브 반도체는 이번 투자 유치로 팀 조직을 확대하는 한편 제품 개발 활동을 다양화 하고 실험실 시설도 확장할 예정이다. 제니퍼 어릭 파인 스트럭쳐 벤처스 수석 전무이사는 “핀웨이브의 기술은 새로운 5G의 가능성을 열어준다”면서 “핀웨이브와 협력해 혁신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지난 2012년 설립된 핀웨이브 반도체는 3DGaN 기술을 5G 통신에 적용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3DGaN 기술은 동급 최고의 전력 증폭 효율과 대량 제조를 결합해 극고주파(mmWave)의 성능과 비용 한계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핀웨이브 반도체는 3DGa
[더구루=홍성일 기자] 웹3 게임을 개발하고 있는 마이티 베어 게임즈(Mighty Bear Games)가 100억 원대 자금을 조달하며 게임 개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티 베어 게임즈는 토큰 판매 라운드를 통해 1000만 달러(약 130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프레임워크 벤처스가 주도했으며 미라나, 스페르미온, 스파르타, 듄 벤처스, 산크토르 캐피탈, 폴리우스 벤처스, 폴리곤, 플레이 퓨처 펀드, 에버블루, 에인션트8, 레디 플레이어 DAO, 레이저, 아보카도 DAO, 디앱3, 그레이트 사우스 게이트, 미스터블록 등 다수의 투자자가 참여했다. 마이티 베어 게임즈는 2016년 설립됐으며 AAA급 웹3 게임 개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게임사다. 마이티 베어 게임즈는 지난 4년간 5개 게임을 출시했으며 버터 로얄, 디즈니 밀리 매니아 등의 게임을 출시하며 세계적인 IP 보유 회사와의 협업도 진행해왔다. 마이티 베어 게임즈는 올해 연말 출시를 목표로 첫번째 웹3 게임 마이티 액션 히어로즈 출시를 준비 중이다. 마이티 액션 히어로즈는 멀티플레이 3인칭 배틀로얄 게임이다. 마이티 베어 게임즈는 "가능한 많은 플레이어에게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가 원전 산업에서 40년 이상 연륜을 쌓은 테스트 전문 업체 NTS(National Technical Systems)와 장비 적격성평가에 협력한다. 장비의 성능을 입증하고 소형모듈원자로(SMR) 상용화를 앞당긴다. [유료기사코드] 뉴스케일파워는 NTS와 장비 적격성평가에 필요한 테스트 챔버 개발을 위해 업무제휴를 체결했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NTS는 애리조나주 헌트빌에서 특정 환경에서 장비 성능을 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 테스트 챔버를 설계·생산·시운전한다. 뉴스케일파워는 테스트 챔버를 활용해 장비 성능이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호(NRC)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살핀다. 1961년 설립된 NTS는 미국 최고의 시험·인증 회사다. 안전·릴리프 밸브, 유체·연료, 수압, 공압 등 다양한 테스트를 지원하며 원전 분야에서만 40년 넘게 노하우를 축적했다. 프랑스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등에 참여했다. 뉴스케일파워는 NTS와 협력해 테스트를 빠르게 수행하고 SMR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뉴스케일파워는 2027년까지 SMR을 공급하겠다는 목표다. 뉴스
[더구루=길소연 기자] 강원도 양양을 모기지로 하는 TCC(Tourism Convergence Carrie) 항공사 플라이강원이 처음으로 일본 하늘길을 연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플라이강원은 오는 9월 30일부터 '양양~나리타' 노선을 신규 취항한다. 플라이강원의 첫 일본 노선으로 양양과 일본을 연결하는 첫 정기 여객편이기도 하다. 운항 요일은 월·수·금·일요일 주 4회 왕복 운항한다. 출발편은 양양국제공항에서 오전 8시에 출발해 나리타국제공항에서 10시에 도착한다. 귀국편은 나리타공항에서 11시에 출발해 양양에 오후 1시20분에 도착한다. 나리타 노선에는 189석의 B737-800 기종이 투입된다. 플라이강원은 이달 B737-800 3호기를 재도입했다. 해당 기종은 지난 22일부터 재운항을 시작한 '양양~김포' 노선에 주 10회(월·수·금·토·일) 투입하며, 향후 국제선 노선에 투입 확대한다. 현재 국제선 중 양양~필리핀 클락 노선을 2년 4개월 만에 복항했고, 대만과 홍콩, 마카오 등으로 운항 노선을 확대할 계획이다. 오는 9월에는 베트남 호찌민, 하노이 노선 취항도 준비 중이다. 기재도 확대한다. 내달 말 A330-200 1호기 도입에 이어 연내 5번
[더구루=홍성일 기자] KT가 국제 사회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에서 각종 개발 프로젝트에 공을 들이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및 국내 기업들이 러시아에서 사업을 축소하는 등 제재에 동참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29일 더구루 취재 결과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시 지난 27일(현지시간) KT 대표단과 알렉세이 오를로프(Alexei Orlov) 시장이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인프라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KT대표단은 이 자리에서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예카테린부르크 내에 스마트 주차 시스템, 스마트 의료 센터 건립 등에 대해서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했다. 예카테린부르크 시 측은 KT가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했고 어디까지나 개념이며 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없다고 덧붙였다. KT는 올해 초부터 러시아 사업을 본격화하면서 현지법인을 설립하는 등 보폭을 키우고 있었다. 특히 헬스케어, 데이터센터 등 디지털 플랫폼 사업 거점으로 러시아를 활용할 계획을 세웠다. 특히 구현모 대표 체제가 출범하면서 러시아의 대한 관심을 키워온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내 상당수의 기업들이 개점휴업 상태에 들어간 것과는 대조적으로 KT는 러시아 지자체
[더구루=홍성환 기자] 조벤 베버트 조비에비에이션 최고경영자(CEO)가 약 3억원어치의 자사주를 매입했다. [유료기사코드] 29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베버트 CEO는 지난 21일 자사 주식 3만5000주를 1주당 5.53달러에 매수했다. 총매수액은 20만 달러(약 2억6000만원) 수준이다. 올해 들어 이 회사 경영진 가운데 자사주를 매입한 인물은 베버트 CEO가 두 번째다. 앞서 지난 5월 폴 시아라 회장이 31만 달러(약 4억원)어치 자사주를 매입한 바 있다. 조비는 FAA의 상업 비행용 허가인 G-1 인증을 가장 먼저 승인받은 UAM 기체 제조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교통 체증이 심한 도시를 지나 공항과 기타 목적지까지 25마일의 짧은 도약으로 승객을 태우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무공해 전기 에어 택시를 개발하고 있다. eVTOL 관련 특허를 20여개 보유하고 있다. 조비는 2017년부터 시제품 비행을 시작했으며 현재까지 1000회 이상의 비행 테스트를 완료했다. 최장 비행·최고 속도 기록도 갖고 있다. 오는 2024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 매년 250~450대의 에어택시를 생산할 계획이다. 조비는 지난 2월 SK텔레콤과
[더구루=김형수 기자] 세계 2위 주류업체 페르노리카(Pernod Ricard)의 수장이 글로벌 공급망 혼란, 코로나19 보다 기후 변화에 더 큰 우려를 나타냈다.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29일 알렉산더 리카(Alexandre Ricard) 페르노리카 회장 겸 CEO는 EU(유럽연합) 전문 미디어 유랙티브(EURACRIV)와의 인터뷰에서 "가장 큰 우려사항은 기후변화가 작황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라고 밝혔다. 해가 지나갈수록 수확이 점점 더 이른 시기에 이뤄지고 있으며 이는 안전성과 생산 측면에서 중대한 문제로 이어진다는 입장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일부 곡물 수급이 어려워지긴 했으나, 이는 다른 지역에서 곡물 생산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처할 수 있는 단기적 문제이나, 기후 변화에 따라 작물 재배 환경이 달라지는 것은 보다 장기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알렉산더 리카 회장은 "공급망 측면에서 현재 당면한 이슈는 에너지, 그리고 아마도 공급망 자체보다는 인플레이션 관련 비용일 것"이라면서 "이들은 단기적 이슈인 것이 분명하며 결국 환경 변화로 인한 장기적 이슈가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를 사업에 적극 활용
[더구루=한아름 기자] 아이슬란드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된 농심 신라면을 유럽분석기관이 조사한 결과, 인체에 해를 끼치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제품은 국내에서는 유통되지 않았다. 29일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Reykjavik) 보건당국은 신라면에 잔류농약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검출괸 잔류농약은 과일과 채소의 진균병을 막는 살균성분이다. 농심은 즉각 대응에 나섰다. 리콜을 진행했으며 유럽분석기관에 조사를 의뢰했다. 유럽분석기관은 신라면에 대한 위해평가 결과, 어린이를 포함한 전 연령에서 해당 제품 섭취를 통한 이프로다이온의 노출 수준은 '위해 우려 없음'으로 평가됐다. 유럽분석기관 측은 "일부 제품과 원료에서 잔류농약 성분이 미량 검출됐다"며 "검출량이 극히 적어 어린이가 먹어도 무방할 정도로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리콜된 제품은 부산공장에서 제조한 수출용 신라면으로 국내에는 판매되지 않았다. 현지 제품명은 'Shin Red Super Spicy Noodles'이다. 농심은 소비자 불안을 해소하고 예방 차원 목적으로 자체 관리 기준을 강화해 안전에 만전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SK하이닉스가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LANL)와 손잡고 차세대 저장장치를 개발했다. 데이터 처리·분석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 향후 응용처 확대가 기대된다. ·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는 지난 28일(현지시간) SK하이닉스와 함께 세계 최초로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일종인 주문형 키 값 저장소 전산 저장장치(Key Value Store Computational Storage Device, 이하 KV-CSD)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내달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에서 개최되는 '플래시 메모리 서밋(FMS) 2022'에서 프로토타입을 시연할 예정이다. KV-CSD는 비정형 데이터 저장과 빠른 처리가 가능한 고유의 '키'를 부여해 '값'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저장소다.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클라우드 시스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양측은 인덱싱(색인) 기능을 KV-CSD에 결합했다. 로스알라모스 연구소는 정보입출력(I/O) 시스템을 기존 파일 기반에서 인덱싱 기반으로 전환하고 있다. 인덱싱 기능이 적용된 KV-CSD는 데이터 분석을 위해 검색할 때 기존 대비 1000배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는 게 연구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 스캔컴(ScanComm LLC)으로부터 QR코드 스캔 특허 침해 혐의로 피소됐다. 스마트폰 무선 충전과 배터리에 이어 QR코드 기술 관련 특허 소송에 휘말리며 글로벌 1위 스마트폰 회사인 삼성을 겨냥한 공격이 거세지는 양상이다. 미국 텍사스 동부지방법원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25일 스캔컴으로부터 소송을 당했다. 스캔컴이 작년 5월 11일 미국에서 등록한 특허 1건(특허번호 11003878)을 침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 특허는 QR코드를 스캔해 임시 연락처나 이메일이 적힌 가상 프로필을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을 담고 있다. 스캔컴은 삼성전자가 '878 특허'를 무단으로 도용해 갤럭시S20을 포함해 주요 스마트폰을 개발했다고 주장했다. 적절한 손해배상과 로열티, 소송 비용 지불을 요구했다. 삼성전자는 스캔컴을 비롯해 여러 회사의 먹잇감이 되고 있다. 올해 초 특허전문업체(NPE) '스크래모지 테크놀로지'와 무선충전 기술 특허 침해 소송에 돌입한 데 이어 지난달부터 '케이미즈라'와 스마트폰 배터리 수명 관련 특허 공방을 진행 중이다. 미국 특허정보 분석업체 유니파이드페이턴츠에 따르면 작년 3분기까지 미국 지방법원에서 발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에 수출될 FA-50 경공격기(FA-50PL)에 미국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이하 레이시온)의 차세대 능동위상배열(AESA·이하 에이사) 레이더 장착이 임박했다. 레이시온의 팬텀스트라이크(PhantomStrike) 레이더가 비행 테스트에 성공하며 국내 반입이 빨라질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수출형 'FA-50GF' 조기 납품에 이어 'FA-50PL'도 적기에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9일 레이시온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 온타리오에 있는 멀티프로그램 테스트베드 항공기에서 팬텀스트라이크 레이더의 첫 비행 테스트를 완료했다. 팬텀스트라이크는 여러 공중 표적을 추적하고 지형을 정확하게 매핑하는 데 성공했다. 팬텀스트라이크는 장거리 위협 탐지, 추적 및 목표물 표적화가 가능한 완전 공랭식 레이더이다. 레이시온이 업계 최초로 개발한 소형 AESA 레이더로 동급 AESA 레이더 대비 작고 가벼우며 적은 양의 전력으로도 운용이 가능하다. 경공격기, 헬기, 무인기 등 다양한 플랫폼에 사용 가능하다. 디지털 빔 형성 및 조향(Digital Beam Forming and Steering), 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코오롱글로벌이 사우디아라비아 수처리 인프라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사우디 국영수자원공사(NWC)가 발주한 대규모 수처리 프로젝트 계약이 임박한 가운데, 코오롱글로벌이 현지 기업들과의 협력 관계를 통해 향후 사업 참여 가능성을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유료기사코드] 9일 톰슨로이터 계열 중동뉴스 매체 자우야(ZAWYA)에 따르면 NWC는 사우디 마흐드(Mahd) 지역 수처리 인프라 구축 사업에 대한 입찰을 마감하고 낙찰자와의 계약을 준비 중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리야드 남서부 일대에 걸쳐 송수관, 펌프장, 저류조 등을 설치하는 대형 인프라 사업이다. NWC의 마흐드 지역 수처리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는 사우디 정부의 상하수도 현대화 전략의 일환이다. 계약 규모는 총 2억2000만 달러(약 3100억원)에 이른다. NWC는 올 2분기 내 EPC(설계·조달·시공) 계약을 체결하고 오는 2028년 3분기 완공한다는 목표다. 입찰에 참여한 기업 등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현지 엔지니어링·건설 회사 '마스코(MASCO)'와의 협력 기반을 갖춘 코오롱글로벌의 참여 가능성이 점쳐진다. 실제 계약이 성사될 경우, 중동 수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