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LG생활건강 메이크업 브랜드 VDL이 열도 공략을 본격화한다. 현지 온라인 플랫폼 큐텐 재팬(Qoo10 Japan)에 입점하며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 시장 판로를 강화한다. 26일 FMG&미션(옛 에이본 재팬)에 따르면 VDL이 큐텐 재팬에 공식 브랜드관을 오픈한다. 일본에서 한류붐과 K-뷰티 인기가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브랜드 인지도 상승을 위해 큐텐에 입점했다. VDL은 큐텐 공식 브랜드관에서 인기제품 VDL 커버 스테인 퍼펙팅 파운데이션과 루미레이어 프라이머 등 판매에 나섰다. 특히 커버 스테인 퍼펙팅 파운데이션은 지난 10년간 많은 사랑을 받아온 '퍼펙팅 래스트 파운데이션'을 개선해 새롭게 선보이는 제품으로, 한국비건인증원으로부터 비건 인증도 받았다. 오픈 기념 이벤트도 연다. 내달 17일까지 큐텐 공식 브랜드관에서 3000엔 이상 구매 고객에 10% 할인 쿠폰을 제공한다. 이번 공식 브랜드관을 론칭한 큐텐 재팬은 라쿠텐, 아마존재팬, 야후쇼핑과 함께 일본 4대 오픈마켓 플랫폼으로 꼽힌다. VDL은 큐텐 재팬에 이어 일본 내 유명 플랫폼에 진출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고 매출을 견인하겠단 계획이다. VDL은 LG생활건강
[더구루=김형수 기자] '누적 매출액 약 2조3000억원.' 지난 2000년 5월 출시된 롯데웰푸드 자일리톨껌 출시 23주년을 맞았다. 국내 자일리톨껌 시장의 85% 이상을 차지할 만큼 성장했다. 연간 1억2000갑이 팔린 정도다. 이는 전 국민이 연간 약 2갑씩 씹을 수 있는 양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웰푸드 껌 매출은 지난 1분기 약 10% 증가했다. 자일리톨껌, 졸음껌, 왓따껌 등이 성장을 견인했다. 롯데자일리톨껌은 100% 핀란드산 자일리톨을 원료로 생산된다. 최근 식약처로부터 기능성표시식품으로 인증을 받았다. 이에 포장에 치아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됐다. 롯데자일리톨껌에는 자일리톨과 함께 치아 재석회화 효능이 있는 해조 추출물인 후노란과 CPP(카제인 포스포 펩타이드), 인산칼슘 등도 들어 있어 치아를 관리하는데 효과를 볼 수 있다. 롯데웰푸드는 품질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며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힘쓰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롯데자일리톨껌은 판형태와 용기형태 등 모두 10여종에 가까운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가장 인기가 좋은 제품은 용기 형태의 자일리톨 오리지널과 자일리톨 알파 오리지널껌이다. 알형태의
[더구루=최영희 기자] 전이성 대장암 환자 대상 백토서팁과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 병용요법의 전체생존기간 중간값(mOS)가 15.8개월이었다. 이중 키트루다와 백토서팁 300mg를 병용 투여한 전이성 대장암 환자의 mOS는 17.35개월이다. 이번 결과는 메드팩토가 상반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청 예정인 후속 고빈도-현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stability high, MSI-H)을 제외한 전이성 대장암 환자 대상 임상의 임상시험계획(IND)의 기반이 될 전망이다. 또한 MSD는 후속 임상에도 키트루다를 공급할 예정이다.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 기반 혁신신약 개발기업 메드팩토는 지난 25일 전이성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백토서팁과 키트루다 병용요법 임상 1b/2a상 탑라인데이터를 공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임상에서는 전이성 대장암 또는 위암 환자 71명에게 백토서팁(200mg 또는 300mg)과 키트루다를 병용 투여한 후 안전성과 유효성을 관찰했다. 전체 환자 중 2명을 제외한 대부분의 환자는 비 MSI-H형 전이성 대장암 환자였다. 현재 바이엘의 ‘스티바가’(레고라페닙)와 ‘론서프’(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가 기존 항
[더구루=정등용 기자] NH투자증권 베트남 법인인 NH증권베트남(NHSV)이 1분기 우수한 사업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어려운 시장 상황에도 마진 대출과 증권 중개 부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6일 베트남 호치민증권거래소(HoSE)에 따르면 NH증권베트남의 올해 1분기 자기자본은 1조3180억 동(약 750억 원)으로 증가했다. 특히 사업 실적도 연간 수백억 달러의 이익을 꾸준히 기록하며 고객 수와 자산 가치도 모두 증가했다. 이 같은 성과에는 마진 대출과 증권 중개 부문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NH증권베트남은 올해 1분기 암울한 시장 상황과 낮은 유동성에도 8000억 동(약 457억 원) 이상의 마진 대출 잔액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 중개 부문에선 디지털 전환 전략에 집중한 결과가 고객 수 증가로 이어졌다. NH증권베트남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로 금융 서비스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NH증권베트남은 금리 인상 영향에도 주식 시장 투자자 수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베트남 재무부가 주식 시장 투자자 수를 오는 2025년까지 전체 인구의 8%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기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의 2023년 1분기 실적이 발표된 가운데 중국 시장 매출 성장율은 글로벌 평균에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의 공격적인 가격인하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26일 테슬라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실적 자료에 따르면 1분기 중국 시장 매출은 48억9100만 달러(약 6조5540억원)를 기록했다. 전년동기 대비 5.18%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 이는 테슬라의 1분기 전체 시장 매출 성장률인 24%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테슬라는 올 1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총 233억2900만 달러(약 31조2600억원) 매출을 올렸다. 테슬라가 1분기 동안 가장 많은 매출을 올린 지역은 미국이다. 전년동기 대비 28.77% 증가한 112억47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미국과 중국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71억9100만 달러 매출을 기록하며 같은 기간 33.86%가 증가했다. 중국에서만 유일하게 전체 성장률을 하회했다. 판매대수로 살펴보면 테슬라가 올 1분기 전세계로 배송한 차량은 총 42만2900대다. 전년동기 36% 늘어난 수치다. 테슬라의 1분기 중국 내 판매대수는 13만7400대 가량이다. 글로벌 판매
[더구루=홍성환 기자] 두산에너빌리티와 대우건설이 한국을 찾은 폴란드전력공사(PGE) 사장과 만나 현지 원전 개발을 논의했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보이치에흐 동브로프스키(Wojciech Dabrowski) PGE 사장은 전날 서울 모처에서 두산에너빌리티와 대우건설 관계자와 각각 만나 폴란드 내 원전 개발 사업과 관련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두산에너빌리티와 대우건설은 한국수력원자력 등과 팀코리아를 꾸리고 폴란드 신규 원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팀코리아와 폴란드 당국은 작년 10월 신규 원전 사업에 대한 양해각서(MOU)·사업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 팀코리아는 PGE, 폴란드 민간 발전사 제팍(ZEPAK)과 협력해 바르샤바에서 서쪽으로 240㎞ 떨어진 퐁트누프에 한국형 차세대 원전(APR1400) 2∼4기를 건설할 계획이다. 세부 내용을 확정하고 내년 하반기 본계약을 체결한 전망이다. 제팍과 PGE는 최근 한국형 원전 APR1400 원전 건립을 위해 특수목적기구(SPV)를 설립했다. 이 법인은 앞으로 팀코리아와 협상할 때 폴란드를 대표하게 된다. PGE와 제팍은 새롭게 신설될 합작사에 각 50%의 지분을 갖고 양측의 합의로 의사 결정을 하
[더구루=김형수 기자] LX하우시스가 미국 시장에서 존재감이 급부상하고 있다. 미국 레저용차량(RV)·모터보트 제조기업 위니바고 인더스트리(Winnebago Industries·이하 위니바고) 자회사가 지난해 최고의 공급업체 가운데 하나로 LX하우시스를 선정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위니바고 자회사 뉴머(Newmar)는 지난달 미국 인디애나주 나파니(Nappanee)에 위치한 삼룽 플랏츠 이벤트 센터(Samluung Platz Event Center)에서 연례 축하연을 열고 우수 공급업체들의 공로를 표창하는 시간을 가졌다. 뉴머는 레저용차량 생산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LX하우시스의 미국 생산·판매법인 LX하우시스 아메리카(LX Hausys America)는 뉴머가 발표한 ‘톱10 공급업체 어워드(Top Ten Supplier Award)’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뉴머는 공급사가 뉴머를 향해 보여준 탁월한 서비스와 노력을 높이 평가받은 업체들이 명단에 포함됐다고 전했다. 500개 이상의 뉴머 공급업체 가운데 우수한 평가를 받으며 수상한 곳은 73개(14.6%)에 불과했다. 매트 맥퀀(Matt McQuown) 뉴머 공급망 부사장은 "지난해는 공급망 운영에 어
[더구루=한아름 기자] 이마트 미국 자회사 굿푸드홀딩스(Good Food Holdings)가 주류업에 도전장을 던졌다. 굿푸드홀딩스 체인 뉴 시즌스 마켓(New Seasons Market)이 현지 양조장과 공동 연구를 통해 친환경 맥주를 개발, 판매에 나섰다. 뉴 시즌스 마켓은 향후 재생 농업 연구에도 힘을 쏟겠다는 계획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뉴 시즌스 마켓이 지구의 날(4월22일)을 기념해 친환경 맥주를 선보인다. 지난 19일(현지시간)부터 카본 파머 해이지 IPA(Carbon Farmer Hazy IPA) 판매에 나섰다. 카본 파머 해이지 IPA는 오리건주에 위치한 양조장 홉웍스 브루워리와 공동 개발한 친환경 맥주다. 컨자(Kernza)라는 다년생 밀 품종으로 만들어진다. 한번 심으면 5년 연속 곡물을 수확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능력도 뛰어나다. 밀 재배에 쓰이는 담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뉴 시즌스 마켓은 맥주 출시 기념 할인 이벤트도 열었다. 지난 19일부터 6일간 포틀랜드 지역 매장 19곳에서 16온즈 캔 4팩을 12.99달러에 판매했다. 기존 가격(14.99달러)보다 13.3% 할인했다. 뉴 시즌스 마켓은 지속 가능 경
[더구루=홍성환 기자] 에어택시 선두주자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미국 공군으로부터 약 740억원 규모의 추가 계약을 따냈다. 이에 그동안 공군과 맺은 계약 규모가 약 1700억원으로 늘어나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조비는 미국 공군과 5500만 달러(약 740억원) 규모로 세 번째 계약 연장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계약 연장으로 공군과 맺은 계약의 잠재 가치가 최대 1억3100억 달러(약 1760억원) 규모로 늘었다. 조비는 계약의 일환으로 5인승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최대 9대를 공군과 기타 연방 기관에 인도할 예정이다. 우선 내년 초 캘리포니아주(州) 에드워즈 공군 기지에 두 대를 제공한다. 이는 공군 기지 내 화물·여객 운송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미군 기지에 에어텍시를 하는 것은 이번이 최초다. 조벤 비버트 조비 최고경영자(CEO)는 "이는 공공·민간 파트너십이 선구적인 기술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성공적인 사례"라며 "이를 통해 미국 정부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잠재적 사용 사례를 탐색할 수 있는 동시에 2025년 상용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비는 미국 연방항공청(F
[더구루=최영희 기자]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은 지난 25일 한국관광공사 서울센터에서 한국관광공사, BC카드와 방한 외국인의 모바일 간편결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외래객 방한 유치 마케팅을 담당하는 한국관광공사와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를 보유한 BC카드, 전국 167만 가맹점에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결원이 3자 업무협약을 통해 방한 외국인 관광객이 한국 여행 중 편리하게 모바일 결제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내수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추진했다. 한결원은 관광거점 도시의 음식점, 전통시장 등에 제로페이 인프라를 확대해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결제 편의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제로페이 가맹점 앱 등을 활용해 가맹점주를 대상으로 부가서비스 등 소상공인을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해외 간편결제 사업자와의 연계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한결원에서 운영하는 제로페이 인프라(고정형 큐알)를 활용한 해외 결제(위챗, 유니온페이)는 제로페이 인프라의 공공성을 바탕으로 타 해외 결제 사업자보다 소상공인에게 낮은 결제수수료로 제공되고 있으며, 전국 주요 관광지 및 골목상권에 인프라가 구축돼 있어 소상공인 골목상권의 매출 증대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두산에너빌리티와 한국수출입은행이 뉴스케일파워와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 협력을 강화한다. 마케팅과 기술, 공급망 구축에 협업하고 미래 먹거리인 SMR 상용화에 앞장선다. 뉴스케일파워는 25일(현지시간) 두산에너빌리티, 수출입은행과 SMR 건설 지원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력 내용은 마케팅과 기술 지원, 글로벌 공급망 개발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설비 투자와 기술 고도화로 미국 내 원자로 모듈(NuScale Power Module) 공급망 확충을 지원한다. 수출입은행은 금융 지원을 제공해 해외 SMR 사업 개발을 돕는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19년부터 뉴스케일파워와 SMR 제작성 검토·시제품 제작에 협력해왔다. 작년 4월 SMR 제작 착수 협약을 맺고 원자로 소재에 필요한 금형 제작을 마쳤다. 이어 지난달 대형 단조품과 증기발생기 튜브, 용접 자재 등 주요 소재를 제작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뉴스케일파워와 금융 협력을 꾀하며 인연을 맺었다. 양사는 추가 MOU로 뉴스케일파워와 파트너십을 다지고 SMR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SMR은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가압기, 주배관 등을 원자로 용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미국에서 집단소송에 휘말렸다. 과장된 채용 정보를 제공해 고스펙 멕시코 이민자들을 현장직에 배치하는 등 기망행위가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해 현대모비스 사례와 동일하다는 점에서 향후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멕시코 출신 기아 조지아 공장 소속 직원들은 최근 회사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사무직으로 취업을 유도한 뒤 현장직에 투입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현재 조립 라인에 종사하거나 회사를 그만둔 상태이다. 기아가 저임금으로 고스펙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과장된 채용 정보를 제공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NAFTA(TN) 비자 프로그램을 전면에 내세웠다는 이유에서다. NAFTA(TN)은 미국 정부가 화이트칼라(사무직노동자) 이민자를 위해 만든 제도이다. 해당 프로그램에는 엔지니어와 기술자 채용 내용도 포함되지만 조립 라인 작업 등 단순 육체 노동과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그 대상이 멕시코 이민자라는 점에서 악의적인 의도가 담겼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번 소송에 참여한 이시드로 아렐라노(Isidro Arellano)는 "토레온 기술 대학교(Universidad Tecnológica d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