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 "1거래소-1은행 룰 깨자"…무분별한 투자 늘어나면 어쩌나

업비트·우리은행, 케이뱅크 제휴 종료 앞두고 "규제 완화" 요구
금융당국 "업비트 독과점 심화·자금세탁방지 체계 약화 우려"

 

[더구루=진유진 기자] 국내 가상자산 시장 1위 거래소 업비트가 '1거래소-1은행' 규제 철폐를 요구하고 나섰다. 무분별한 가상자산 투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일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5대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 중 업비트만이 '1거래소-다은행' 체제 전환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냈다.

 

여러 은행과 제휴를 맺으면 가상자산 고객 기반이 넓어진다. 업비트를 이용한 가상자산 투자자가 늘어날 수 있다. 여기에 하반기부터는 상장법인과 전문투자자의 가상자산 투자가 허용된다. 시중은행 제휴를 통해 대규모 거래와 투자자 유입에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변동성이 심한 가상자산 투자가 무분별하게 늘어날 수 있다. 기존에는 K뱅크 계좌를 가진 고객만 업비트를 통한 가상자산 거래가 가능했는데 다른 은행의 고객까지 손쉽게 가상자산 투자에 뛰어들 수 있다. 

 

업비트와의 제휴에는 우리은행이 가장 애를 쓰고 있다. 정진완 우리은행장이 최근 정치권에 "1거래소-다은행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빗썸은 KB국민은행, 코빗은 신한은행 등과 제휴를 맺었는데 우리은행은 아직 제휴를 맺은 거래소가 없다. 현재 업비트와 제휴 중인 케이뱅크 전체 예금 27조원6200억원 중 6조4000억원이 업비트 관련 자금이다. 이 자금을 우리은행이 그대로 가져올 수 있다. 

 

금융당국은 아직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업비트의 독과점 구조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다. 현재 업비트의 점유율은 약 80%로 2위 빗썸 20%와 격차가 크다. 여기에 한 거래소를 통해 여러 은행 고객이 거래하다 보면 자금세탁방지(AML) 대응 체계도 취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