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프랑스 자동차 부품업체 발레오(Valeo)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oftware-Defined Vehicles, SDV) 개발에 나선다. 발레오는 AWS의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해 개발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효율성을 높인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프랑스 자동차 부품업체 발레오(Valeo)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oftware-Defined Vehicles, SDV) 개발에 나선다. 발레오는 AWS의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해 개발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효율성을 높인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구축하고 있는 복합문화공간 '슈퍼차저 다이너(Supercharger Diner)'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공개됐다. 일론 머스크의 브랜드 전략이 집약된 공간으로 일컬어지는 슈퍼차저 다이너는 하반기 정식 오픈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 슈퍼차저 다이너의 영업시간이 '24시간 연중무휴'로 결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사실은 차량 인포테인먼트 이용자 인터페이스(UI) 전문 기업 어베러띠어터닷컴(ABetterTheater.com)의 소유자인 아론 캐시(Aaron Cash)가 촬영한 사진을 통해 전해졌다. 아론캐시는 지난 15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에 "테슬라 다이너가 24시간 연중무휴로 영업한다"며 사진을 게재했다. 해당 사진에는 슈퍼차저 다이너의 내부 모습 일부와 출입문에 적힌 'Open 24/7'이라는 글자를 확인할 수 있다. 테슬라 슈퍼차저 다이너의 내부는 최근 엑스 이용자인 소이어 메릿(Sawyer Merritt)에 의해서 모습을 드러냈다. 소이어 메릿이 지난 9일 공개한 슈퍼차저 다이너 사진에는 전통적 형태의 바테이블과 현대적 디자인의 원형 소파와 결합된 다이너 테이블 등의 모습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신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결해온 일본 반도체업계가 저가형 신기술로 반도체 제조장비 시장을 선도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반도체기업 키옥시와와 캐논, 다이니폰 프린팅(DNP), 후지필름 4개사가 도장을 찍는 것처럼 첨단 반도체 회로를 만드는 기술인 '나노임프린팅 리소그래피' 기법을 실용화하기 위해 협력한다. 이들 기업은 20년이 걸린 나노 임프린팅을 반도체 양산에 적용될 수 있을지 여부를 판단한다. 캐논은 나노 임프린팅 장비를, 인쇄회사인 다이니폰프린팅은 마스크 또는 템플릿으로 알려진 석영 회로 마스터를, 후지필름은 템플릿을 서로 눌러 회로 패턴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감광성 액체 수지(레지스트)를 담당한다. 캐논은 2000년대부터 거의 20년 동안 나노 임프린팅 개발에 참여해 왔다. 키옥시아는 캐논의 나노 임프린트 장비 개발을 도왔다. 나노임프린트는 EUV 보다는 파장이 길긴 하지만, 비용이 저렴해서 주목을 받는 노광 장비다. 노광공정 일부를 생략할 수 있어 EUV에 비해 공정 제조 비용 40%, 소비전력 90%를 절감할 수 있다. 제조공정에 나노임프린팅을 도입하면 고가의 일부 장치가 불필요하고, 설비 투자액도 줄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