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정예린 기자] 프랑스가 배터리 생산 공장부터 원재료 공급망까지 전기차 배터리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해외기업 의존도를 줄인다는 전략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프랑스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를 미래 핵심 산업으로 낙점하고 관련 기술 연구부터 생산시설, 원료 공급망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우선 유럽연합(EU) 차원에서 배터리 기술 개발과 생산공장 설립을 적극 독려하고 있다. 프랑스는 올 상반기 유럽연합의 의장국 역할을 맡는다. 마크롱 대통령은 작년 12월 유럽연합 의장국 활동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에서 "수소, 배터리, 안보, 반도체와 관련된 강력한 산업 분야를 구축해야 한다"며 회원국 간의 정상회담을 제시한 바 있다.
유럽연합은 12개 회원국이 참여한 29억 유로 규모의 배터리 기술혁신 투자 프로젝트 '공동 이해관계 프로젝트(IPCEI)'를 실시하고 있다. 각종 보조금을 지원하고 규제를 완화해주는 것이다. 프랑스는 프로젝트 예산의 15억 유로를 확보하고 올해 북부 지역에 배터리 생산 공장을 갖추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르노는 엔비전AESC, 스텔란티스와 협력해 프랑스 두아이에 전기차 허브를 조성한다. 30억 유로를 투자해 전기차 배터리 기가팩토리 등을 건설한다. 프랑스 배터리 스타트업 베르코어도 그르노블에 파일럿 생산시설을 짓는다.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료인 리튬, 니켈, 코발트 등 주요 광물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도 적극 추진한다. 현재 주요 광물의 대부분을 중국 등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프랑스 정부는 지난달 원료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보고서는 희귀 광물 수요가 향후 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프랑스가 중국 등에 비해 핵심 광물 밸류체인에서 20년 이상 뒤쳐져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민관 투자 펀드를 조성해 에너지 전환을 위한 금속 활용 전략연구 지원 △북부 던케르크에 배터리용 금속 산업 플랫폼, 남부 라크에 전기발전용 희귀광물 자석 특화 산업 플랫폼 구축 △차세대 배터리용 금속 관련 민관 협동 연구개발(R&D) 등을 주문했다.
업계 관계자는 "프랑스를 비롯해 유럽 곳곳에서 배터리 기술 개발 및 생산에 있어 해외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며 "우리 기업들은 프랑스 현지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간접적으로 프랑스 정부의 각종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으므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프랑스 시장 진출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