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SK가 작년 3월 자회사인 SK팜테코를 통해 인수한 프랑스 유전자·세포치료제 원료의약품 위탁생산업체 이포스케시(Yposkesi)가 생산라인 증설에 맞춰 미국 사업을 담당할 신규 임원을 발탁하며 사업 확대에 힘쓰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5000㎡ 규모의 이포스케시 유전자·세포 치료제 제2공장 건설은 오는 7월 마무리될 전망이다. 미국과 유럽의 기준을 준수하도록 설계된 해당 공장은 내년 중반까지는 가동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포스케시는 유전자·세포 치료제의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렇다 할 치료 옵션을 찾기 힘든 환자들에게 치료 가능성을 제공하는 의약품을 개발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신규 공장이 들어서면 이포스케시의 유전자·세포 치료제 생산 능력을 두 배로 늘어난다. 임상시험을 실시하거나 신약을 상업화하고 싶으나 생산 역량이 부족한 제약업체들의 수요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포스케시는 생산 역량을 강화하는 데 발맞춰 중국 제약업체 포톤 어드밴스드(Porton Advanced)에서 사업개발 담당부서를 이끌었던 코리 훌텐(Corrie Hulten)을 사업개발 담당 상무이사로 영입했다. 하버드대학교에서 생명
[더구루=오소영 기자] 프랑스 세포·유전자 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이포스케시가 내년 4분기 제2공장 가동에 돌입한다. 생산량을 확대하는 동시에 대주주인 SK팜테코와 협력을 확대해 고객사를 늘린다. [유료기사코드] 알아인 람프로예(Alain Lamproye) 이포스케시 최고경영자(CEO)는 25일(현지시간) 영국 바이오 전문지 바이오파마 리포터(BioPharma Reporter)와의 인터뷰에서 "프랑스 파리 외곽 코르베유에손(Corbeil-Essonnes)에 위치한 신공장을 2023년 4분기부터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신공장은 5000㎡ 규모로 약 5800만 유로(약 800억원)가 투입됐다. 이포스케시는 작년 6월 건설을 시작했다. 완공되면 프랑스 제1공장과 함께 유럽 최대 규모인 1만㎡ 규모의 유전자·세포 치료제 생산 역량을 갖추게 된다. 람프로예 CEO는 "신공장은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거나 개발하는 초기 단계부터 후기 임상·시장 승인까지 전 단계에서 우리 고객과 프로젝트를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요 증가에 따른 추가 투자 가능성도 시사했다. 람프로예 CEO는 "향후 2~3년간 비즈니스가 어떻게 발전하는지, 확장이 필요한지 여부를 보게
[더구루=김다정 기자] SK팜테코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시설확장을 추진하면서 글로벌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 확대에 고삐를 죈다. 이를 통해 오는 2023년을 목표로 하는 기업공개(IPO)도 탄력을 받을 정망이다. 27알 업계에 따르면 SK팜테코는 한국에 공장, 프랑스에 세포 및 유전자 치료 시설, 미국 캘리포니아에 2개의 원료의약품(API) 생산라인을 구축해 시설 전반에 걸쳐 확장하고 있다. 일례로 앰팩은 미국 필수 의약품 비영리법인인 플로우(Phlow)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을 통해 해당 사업에 참여하면서, 지난 5월 약 340억원을 들여 대규모 공장 증설을 추진하고 있다. 증설 작업은 내년에 마무리될 전망이다. 앰펙은 현재 피터즈버그 공장에서 30~50가지의 의약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번 증설을 통해 생산 가능한 품목 수는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본보 2021년 5월 6일자 참고 'SK 인수' 美 제약업체 앰펙, 대규모 증설> SK㈜는 현재 미국 새크라멘토에 설립한 통합법인 SK팜테코를 통해 앰팩(미국)과 SK바이오텍(한국), SK바이오텍아일랜드의 CDMO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최근 프랑스 바이오 CMO 이
[더구루=김다정 기자] SK바이오텍 아일랜드가 부사장 겸 총괄 책임자였던 조이스 피츠해리스(Joyce Fitzharris)를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SK팜테코가 2023년을 목표로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는 가운데 내부사정에 정통한 전문가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하면서 중장기 경영전략을 책임있게 수행하기 결정으로 풀이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조이스 피츠해리스(Joyce Fitzharris)가 SK 바이오텍 아일랜드의 새 사장으로 임명됐다. 아슬람 말리크 SK팜테코 최고경영자(CEO)는 "조이스는 2019년 12월부터 소워즈에 기반을 둔 아일랜드 사업을 이끌고 있다"며 "그녀의 리더십 아래 SK바이오텍 아일랜드는 재정적으로 성장했고, 비즈니스와 조직 모두를 변화시켰다"고 평가했다. 원료의약품(API) 업계에서 30년의 경험을 가진 조이스는 2019년부터 아일랜드 더블린의 스워즈(Swords)에 위치한 SK바이오텍 아일랜드 공장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총책임자로 일하고 있다. SK바이오텍 아일랜드는 SK팜테코의 자회사다. 스워즈 공장은 지난 2018년 세계적 제약사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에게 인수한 생산시설이다. 한국 제약기업이 글로벌 제약사와의 크로스보더
[더구루=홍성일 기자] 올해 미국에서 새로 추가되는 발전 설비 용량의 절반 이상을 '태양광'이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데이터센터 확장으로 막대한 전력이 필요한 빅테크 기업들이 태양광 발전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면서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올해 미국에 신설될 발전 용량 64기가와트(GW) 중 33GW를 태양광 발전이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태양광 발전은 올해 상반기 12GW 추가됐으며 하반기에 21GW가 추가로 설치될 예정이다. 올해 신규 발전 용량은 2002년 58GW를 넘어서는 역대 최대 기록이다. 태양광 설비 확장은 텍사스 주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텍사스 주에는 상반기에만 미국 전체 신규 용량의 27%에 달하는 3.2GW의 태양광 설비를 설치됐으며, 연말까지 9.7GW가 추가로 구축된다. 또한 텍사스 주는 태양광 발전의 핵심 설비인 배터리저장장치(ESS) 신규 설치 규모에서도 2위를 차지했다. 태양광 설비가 빠르게 늘어나는 데에는 빅테크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가 있다. 최근에도 메타가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100메가와트(MW) 규모 태양광 발전소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 메타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생성형 AI 기업 앤트로픽이 약 14조원에 달하는 자금을 조달할 전망이다. 싱가포르 투자청(GIC), 카타르 투자청(QIA) 등이 투자를 저울질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앤트로픽은 기업가치 1700억 달러(약 240조원)를 목표로 100억 달러(약 14조원)를 조달할 계획이다. 애초 50억 달러를 목표로 설정했는데, 투자자 관심이 높아져 두 배로 증액됐다. 이번 투자는 미국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털(VC) 아이코닉 캐피털이 주선하고 있다. TPG,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 스파크 캐피털, 멘로 벤처스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앤트로픽은 GIC·QIA와 투자 참여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앤트로픽은 올해 3월 기업가치 615억 달러(약 90조원)로 평가받고, 35억 달러(약 4조9000억원)를 조달한 바 있다. 앤트로픽은 전직 오픈AI 연구원들이 주축이 돼 2021년 설립된 AI 스타트업이다. 이 회사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AI의 안전성과 윤리적 사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현재 오픈AI의 챗GPT 시리즈와 경쟁하는 '클로드(Claude)' 시리즈를 개발하고 있다.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