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이스라엘 의료장비 기술기업 '나녹스(Nano-x)'가 SK스퀘어 인사를 이사회 멤버로 임명했다. 이와함께 나녹스는 1분기 실적도 공개했다. 나녹스는 19일(현지시간) SK스퀘어가 추천한 신소영 대표를 이사회 멤버로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신 대표 이사회 멤버 승인은 16일(현지시간) 진행된 이사회를 통해 결정됐다. 신 대표는 SK스퀘어 아메리카스 CEO로 15년간 SK텔레콤에서 다양한 경력을 쌓아왔다. 신 대표는 나녹스의 2023년 정기주주총회까지 이사회 멤버로 활동하게 된다. 나녹스의 이사회 멤버 선임은 지난해 11월 단행된 SK스퀘어의 인적분할에 따른 후속조치다. SK텔레콤은 지난해 11월 인적분할을 통해 SK스퀘어를 신설법인으로 출범시켰다. SK스퀘어는 반도체와 ICT기반의 투자전문회사로 SK하이닉스, SK쉴더스, 11번가, 티맵모빌리티, 원스토어, 콘텐츠웨이브, SK플래닛 등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2월 14일 SK스퀘어 인적분할 과정에서 보유하고 있던 나녹스의 지분 모두를 SK스퀘어로 이전했다. SK텔레콤은 지난 2019년 6월과 2020년 6월 두차례에 걸쳐 총 2300만 달러(약 250억원)을 투자해 나
								[더구루=오소영 기자] "획기적인 사고에 기반한 공격적인 전략이 기업 가치를 높인다" 박정호 SK스퀘어 대표가 지난 26일 영국 금융지 유로머니(Euromoney)와의 인터뷰에서 "재벌이 자본을 독점하는 시대는 끝났다"며 이같이 조언했다. 박 대표는 최태원 회장의 고려대 후배이자 최측근으로 그룹 내 인수·합병(M&A) 전략통이다. ADT캡스(현 SK쉴더스), 도시바메모리, 하이닉스반도체(현 SK하이닉스) 등 굵직굵직한 인수를 주도해왔다. 박 대표는 성공적인 M&A 비결로 인수 대상에 제약을 두지 않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정 기업이나 산업에 선입견을 품지 말아야 한다는 뜻이다. 하이닉스반도체 인수가 대표 사례다. 하이닉스반도체는 채권단 관리를 받던 부실기업이었고 반도체 업황은 치킨 게임이 지속됐다. 모두가 하이닉스반도체 인수를 최악의 거래로 평가할 때 박 대표의 생각은 달랐다. 그는 반도체가 SK의 미래 핵심 산업이 되리라 확신하고 3인조로 팀을 꾸려 인수를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박 대표는 "사람들은 과거를 마치 현재 정보인 것처럼 이야기하지만 당신은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골라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치열한 분석 끝에 향후 10년간 반도체
									
									
									
									
									
									
									
									
									
									
									
									
									
									
									
									
									
									
									
									
									[더구루=이꽃들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유엔(UN)의 새로운 환경 이니셔티브인 '딜리버리-E 연합(Deliver-E Coalition)'에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대폭 강화한다. 이번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팽창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 Tech, 이하 고션)가 스페인에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고션은 새로운 소재 공장을 기반으로 파트너사인 이노뱃(InoBat)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