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BMW가 자체 개발한 차세대 배터리 시범생산에 성공했다. 대량 양산체제를 구축, 오는 2025년 공개할 '노이에 클라쎄(Neue Klasse·뉴 클래스)' 전기차에 탑재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BMW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6일(현지시간) 뮌헨 외곽 파스도르프에 위치한 배터리셀제조역량센터(Cell Manufacturing Competence Center, 이하CMCC)에서 배터리셀 샘플 생산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직경 46mm·길이 95mm의 4695 원통형 배터리다. CMCC는 BMW가 1억7000만 유로를 투자해 1만5000㎡ 이상 부지에 조성한 시설이다. 작년 12월 완공 후 1단계 시운전에 돌입했다. 약 1년여 만에 2단계 램프업 단계에 진입해 배터리셀을 생산했다. <본보 2022년 12월 16일 참고 BMW, 獨 파스도르프 '배터리 셀 제조 역량센터’ 가동> BMW는 리튬이온배터리셀의 표준 생산을 테스트하고 미래형 고성능 배터리셀 실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CMCC를 설립했다. 배터리셀 공급사의 제품 품질과 성능은 물론 생산 비용 개선을 지원한다. BMW는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자사 기술과 차량 사양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BMW가 독일 최대 모터쇼를 통해 세계 최초 방탄 전기차를 공개한다. 운전자 보호에 충실한 방탄 성능은 물론 최첨단 기능까지 갖췄다는 점에서 높은 관심이 예상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BMW는 내달 5∼10일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국제 모터쇼 'IAA 모빌리티 2023'에서 i7 프로텍션을 선보이고 오는 12월 유럽 국가에 먼저 출시할 계획이다. i7 프로텍션은 BMW의 45년 이상 경험과 노하우가 축전된 세계 최초 방탄 전기차이다. 7시리즈를 기반으로 차량 전체에 특수 차체 보강재를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18mm 탄환까지 거뜬하게 막아낸다. 독일 방탄 소재 및 구조 테스트 국제 공인 기관 VPAM으로부터 VR9 등급도 획득했다. i7 프로텍션은 2개의 전기 모터로 구동되며, 최대 544마력의 출력과 제로백 9초대의 뛰어난 순간 가속력을 자랑한다. 최고 속도는 시속 160km다. 방탄 휠 스페셜 에디션도 적용됐다. 20인치 경량 합금을 사용한 휠에 방탄 차량용으로 특별 제작된 255-740 R510 사이즈 미쉐린 런플랫 타이어 스페셜 에디션이 장착됐다. 공기압 손실에도 최대 80km/h 속도로 달릴 수 있다. 다양한 운전 편의
[더구루=윤진웅 기자] BMW그룹이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을 위한 핵심 거점 마련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곳에서 자율주행 기술은 물론 자동 주차 대행 솔루션 개발에 집중, 브랜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BMW는 체코 소콜로프에 미래 모빌리티 개발 센터(Future Mobility Development Center, FMDC)를 마련하고 있다. 이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자율 주행 기술의 개발 및 테스트를 위한 시설로 BMW그룹이 운영하는 테스트 사이트 중 가장 큰 규모로 약 600만㎡ 부지에 차려지고 있다. 독일 뮌헨에 있는 BMW그룹 FIZ R&D 센터에서 약 280km 거리에 있으며 연내 본격 운영될 예정이다. BMW 이곳 센터 북쪽과 남쪽에 길이 25㎞, 높이 80m 슬로프를 설치하고, 6개 트랙으로 구성된 종합 테스트 사이트를 조성하고 있다. 레벨4 수준의 첨단 자율 주행 기술 및 시스템 테스트를 위한 6km 고속도로, 비포장도로, 도시 도로 교통 모듈 포함 여러 테스트를 위한 영역도 만들고 있다. 이 중 일부 테스트 트랙은 이미 작년부터 사용되고 있다. 자율주행기술 수준은 미국도로교통안전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루마니아에서 BMW와 손잡고 공동 마케팅을 펼친다.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해 양사 기술력을 알리고 소비자 경험을 개선한다는 목표다. 30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루마니아법인은 최근 BWM 루마니아법인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평범함을 넘어서다(Overtake the Ordinary)'라는 슬로건 아래 신규 마케팅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우선 삼성전자와 BMW는 공동으로 새로운 유튜브 콘텐츠 '미지의 목적지(Destination Unknown)'를 기획했다. 루마니아 방송 채널 '프로 TV'의 자동차 전문 프로그램 '슈퍼 스피드 쇼'와도 협력한다. 6명의 삼성전자 브랜드 홍보대사들이 제목처럼 미지의 목적지를 탐험하는 임무를 띄고 삼성전자와 BMW의 제품을 체험한다. 갤럭시 Z 시리즈로 BMW △8시리즈 그란쿠페 △i7 △iX 등 차량을 시승하는 모습 등을 담았다. 삼성전자는 루마니아 전역에 위치한 BMW의 쇼룸에 갤럭시 S 시리즈와 Z 시리즈를 전시한다. 여러 공간에서 갤럭시 스마트폰 성능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판매를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BMW와 색다른 공동 이벤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와 BMW 루마니
[더구루=윤진웅 기자] BMW 수소차 'iX5 하이드로젠(Hydrogen)이 중동 국가 최초로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에 출격한다. 사우디를 시작으로 전체 중동 수소차 시장으로 영토를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BMW그룹은 지난 23일 사우디에 iX5 하이드로젠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iX5 하이드로젠은 X5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수소차이다. 지난 2019년 아이 하이드로젠 넥스트(i Hydrogen Next) 콘셉트로 시작됐다. 전기차와 함께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바탕으로 친환경차 개발을 지속해온 BMW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 현대차와 글로벌 수소차 시장 1·2위를 다투고 있는 토요타와 협력을 통해 제작됐다. 총 시스템 출력은 370마력이다. 연료 전지만으로는 170마력의 성능을 내지만 필요 시 소형 전기모터가 힘을 더하며 출력을 끌어올리는 방식이다. 회생제동을 통한 에너지 저장 효과도 있다. 충격에 강한 두 개의 탄소섬유 탱크는 총 6.23kg의 수소를 채울 수 있다. 외관은 X5와 흡사하다. 다만 수소차를 알릴 수 있도록 헤드라이트, 범퍼, 림 등에 구분이 가능한 표식을 넣었다. 실내도 마찬가지로 포인트마다 수소차를 알릴 수 있도록 조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BMW가 고급 요트 전문 제조기업 타이드(TYDE)와 손잡고 호화 전기 요트를 제작했다. 이미 개인용과 상업용으로 나눠 생산할 준비를 마쳤다. 육상교통에 이어 해상교통에서도 탄소배출 제로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약속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BMW는 지난 16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된 76회 칸영화제를 통해 전기 요트 '아이콘'을 공개했다. 그룹 자회사 디자인웍스가 디자인을 담당하고 BMW 전기구동 시스템을 탑재하는 등 BMW가 개발을 주도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브랜드 전기차 i시리즈에 탑재하는 배터리를 장착한 점이 특징으로 꼽혔다. 아이콘 크기는 길이 약 13m, 너비 약 4.5m이다. 100kW급 전기 모터 2개와 6개의 배터리로 구성됐으며 최고 속도는 56km/h를 자랑한다. 1회 충전 주행 거리는 최장 560km에 달한다. 선박 내부에는 태블릿PC를 활용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설치됐다. 음성 명령으로 날씨·정보 검색 기능을 쓸 수 있고, 돌비 애트모스를 활용한 음향 시스템을 지원한다. 무엇보다 유명 음악가 한스 짐머가 작곡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한스 짐머는 영화 '라이언 킹'과 '캐리비안의 해적' 등 주제곡을 작곡한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BMW그룹이 중국 럭셔리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 차세대 전기차 모델 현지 생산에 나선다. 이를 위해 중국 합작법인인 화천바오마(華晨寶馬·BMW Brilliance Automotive, BBA)가 운영 중인 현지 공장과 연구개발(R&D) 센터를 확장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BMW그룹에 따르면 BBA는 오는 2026년 중국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시에 위치한 자동차 생산 공장에서 BMW 차세대 EV를 생산한다. 이를 위해 총 100억 위안(한화 약 1조8885억 원)을 투자, 공장 규모를 축구장 약 34개 규모인 24만㎡까지 확장하는 것과 더불어 연구개발센터 2단계 확장 프로젝트를 공식 출범하기로 했다. 현지 신에너지차(NEV) 시장 공략을 위한 EV 100% 현지화와 개발 및 검증 역량 강화 차원에서다. 이는 BBA 20주년 기념식을 통해 밝혀진 내용이다. BBA는 BMW와 중국 화천그룹(華晨集團)이 선양에 합작 설립한 자동차 업체이다. 연간 76만대 생산 능력을 갖춘 2개의 자동차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선양 공장의 경우 자동차 공장과 R&D 센터, 파워트레인(동력전달장치) 공장을 두루 갖춘
[더구루=오소영 기자] 세계 4위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와 독일 BMW가 일본 파나소닉과 북미 배터리 합작 생산시설 설립을 모색하고 있다. 북미에서 배터리 생산량을 늘려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대비하려는 행보로 분석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스텔란티스와 BMW는 파나소닉과 북미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을 논의 중이다. 스텔란티스는 이미 2개의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작년 6월 LG에너지솔루션과 합작사 '넥스트스타 에너지'를 출범하고 약 4조8000억원을 투자해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시에 공장을 짓고 있다. 2024년 상반기 양산을 시작, 2026년까지 연간 45GWh의 생산능력을 확보한다. 삼성SDI와도 배터리 합작사 '스타플러스 에너지'(StarPlus Energy)를 설립했다. 미국 인디애나주 코코모시에 2025년 1분기 가동을 목표로 공장을 건설한다. 연간 23GWh로 시작해 33GWh까지 확장하며 총투자비는 약 31억 달러(약 4조680억원)다. 스텔란티스는 북미에 배터리 합작공장 추가를 예고한 바 있다. 마크 스튜어트 스텔란티스 북미지역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작년 10월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로이터 주최로 열린 '오토모티브 USA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BMW가 주력 중형 모델 5시리즈 전기차 버전인 i5 출시를 앞두고 최종 담금질을 마무리했다. 연내 국내 출시를 앞둔 모델인 만큼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BMW는 최근 스웨덴 아르예플로그(Arjeplog)에 위치한 BMW그룹 윈터 테스트 센터에서 진행한 i5 겨울 드라이빙 테스트를 마무리했다. 1년여간 독일 뮌헨에서 아르예플로그까지 3000km 로드 트립을 진행한 데 이어 스웨덴과 독일 딩골핑(Dingolfing) 공장이 인근에서 테스트를 병행하는 등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전자 장치와 배터리 냉난방 시스템 성능을 확인했다. 가장 최근 스웨덴에서 진행된 테스트에서는 최종적으로 모든 파워트레인 및 섀시 제어 시스템을 미세 조정했다. 특히 'DSC(Dynamic Stability Control)' 시스템 조정을 통해 얼음과 눈 위에서 성능을 극대화했다는 설명이다. DSC는 BMW의 차체제어장치로, 차량이 급격히 중심을 미끄러질 때 자동 개입해 차체를 안정적으로 컨트롤하는 기능을 말한다. i5 국내 출시는 올 4분기 예정돼 있다. 차량 사양에 따라 싱글 또는 듀얼 모터, 95~100kWh급 배터리팩이 탑재돼 약 40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BMW가 브랜드 전동화 전략에 따라 모델명 체계를 새롭게 정립한다.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을 단순화해 모델별 특성을 보다 직관적으로 알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다만 BMW가 알파벳 'i', 'X'를 조합, 현대자동차 i10, i20, i30 등 'i 시리즈'와의 간섭 효과가 우려된다. 30일 독일 특허청에 따르면 BMW는 최근 특허청에 자동차 모델명 48개를 등록했다. 브랜드 전동화 전략에 따라 모델명 체계를 새롭게 정립하기 위해서다. 새로운 모델명은 알파벳 'i'와 'X', 'iX' 등 3가지를 접두사로 활용한다. i는 전기차, X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의미한다. 두 알파벳이 결합된 iX의 경우 전기 SUV라는 뜻을 가진다. 이들 알파벳 뒤에는 차종과 엔진 성능을 알리는 숫자가 결합된다. 예를 들어 i750은 5000cc급 전기 모터를 탑재한 대형 세단 7시리즈 기반 전기차를, X750와 iX750은 대형 SUV 모델 X7 모델(내연기관)과 전기차 모델을 구분한다. 기존 사용하던 모델명 체계는 파기한다. 그동안 BMW는 모델 시리즈와 엔진 출력 수준, 전원 공급 장치를 뜻하는 숫자와 알파벳 조합을 사용해왔다. 320d의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이브 에너지(EVE Energy)가 BMW에 공급할 원통형 배터리셀 성능이 테슬라의 4680 배터리보다 앞선다고 자신했다. 오는 2025년 출시될 BMW의 차세대 전기차에 탑재될 예정으로, 전기차 순위에 지각변동이 일어날지 관심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이브 에너지는 지난 20일(현지시간)부터 23일까지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인터내셔널 배터리 세미나'에서 BMW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 '노이에 클라쎄(Neue Klasse·뉴 클래스)' 기반 차량에 장착될 배터리 스펙을 발표했다. 라인업 중 세단용으로 직경 46mm·높이 95mm의 4695 배터리를 채택했다. 4695 배터리셀의 높이는 4680 배터리셀보다 15mm 높지만 같은 길이와 너비의 배터리팩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게 EVE 에너지의 설명이다. 최종적으로 4695 배터리를 조합한 배터리팩을 전기차에 탑재할 경우 약 40% 더 늘어난 주행거리를 제공한다. EVE 에너지는 NCM(니켈·코발트·망간)을 양극재로 사용한 두 가지 버전의 4695 원통형 배터리를 납품한다. 각각 에너지밀도 260, 280Wh/kg를 갖췄다. 에너지밀도가 234Wh/kg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BMW그룹이 친환경차 판매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특히 국내 판매를 책임지는 BMW코리아가 공격적인 판촉활동과 신차 라인업 확대에 나서며 올해 판매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BMW그룹, 지난해 239만9632대… 4.8% ↓ 14일 업계에 따르면 BMW그룹은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총 239만9632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252만1514대) 대비 4.8% 감소한 수치다. 수주 강세를 토대로 높은 수요를 확보하고 있으나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중국 봉쇄 등으로 주문량 소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반면 친환경 자동차 판매량은 대폭 늘었다. 같은해 전년 대비 32.1% 증가한 43만3792대를 판매했다. 전체 판매량에서 친환경차 판매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18.1%에 달했다. 특히 순수 전기차(BEV) 판매량은 전년 대비 107.7% 세 자릿수 수직성장한 21만5752대를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브랜드별 판매량은 BMW와 미니가 각각 전년 대비 5.1%와 3.1% 감소한 210만689대와 29만2922대, 롤스로이스와 모터사이클 사업부인 모토라드가 전년 대비 각각 7.8%와 4.4% 성장한 60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리튬 사우스 디벨롭먼트 코퍼레이션(Lithium South Development Corporation, 이하 리튬 사우스)'가 아르헨티나에서 진행중인 리튬 생산 프로젝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정 시추를 첫 성공한 데 이어 당초 예상 대비 약 3배에 달하는 리튬 매장량을 확인했다. 5일 리튬 사우스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10월 아르헨티나 살타주 소재 광산 개발 계획인 '옴브레 무에르토 노르테 리튬 프로젝트(Hombre Muerto North Lithium Project, 이하 HMN 프로젝트)'에 첫 번째 유정을 시추했다. 60m 깊이까지 구멍을 뚫고 펌프 테스트를 실시할 예정이다. 개발 과정에서 리튬 자원이 초기 추정치 대비 약 175% 많이 매장돼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HMN 프로젝트가 개발중인 광산에는 캐나다 매장량 기준(NI 43-101) 평균 등급 756mg/l의 리튬 158만3100톤(t)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작년 파악한 매장량은 756mg/l 등급 리튬 57만1000t이었다. HMN 프로젝트는 대량 리튬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5687헥타르 규모 면적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9개의 채굴권으로
[더구루=정예린 기자] 노르웨이 'REC실리콘'이 내년 1분기 미국 공장에서 생산한 폴리실리콘을 한화솔루션에 첫 납품한다. 시설 안정화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생산량 확대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4일 REC실리콘에 따르면 커트 레반스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워싱턴주 모지스레이크 공장 운영 현황을 공유하며 "우리는 2024년 1분기 고순도 폴리실리콘 첫 납품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C실리콘이 생산한 제품은 전량 대주주인 한화솔루션에 공급된다. 모지스레이크 공장은 지난달 가동을 재개했다. 미·중 무역 분쟁 여파로 2019년 5월 잠정 폐쇄한지 약4년여 만이다. 당시 중국이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로 미국산 태양광 폴리실리콘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며 시장이 위축되자 공장 운영 중단을 결정했었다. REC실리콘은 기존 생산능력을 회복하고 제품 품질을 개선하는 데 주력하는 동시에 증설 프로젝트도 차질없이 수행한다는 방침이다. 램프업(생산량 확대) 일정과 속도를 앞당길 수 있는 기회를 평가하기 위한 작업도 별도 진행 중이다. 모지스레이크 사업 재개를 통해 안정적인 미국 태양광 산업 공급망 구축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가동을 중단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