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BMW 중국 합작사가 미니 전기차 리콜에 나섰다. 이는 올들어 두 번째 리콜 사례로, 배터리 결함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독일 3대 완성차 기업으로 꼽히는 BMW의 품질 리스크가 부각되고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BMW 그룹이 상반기 전 세계에서 120만대를 넘는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전동화 모델 판매는 전년 대비 두 자릿 수 증가,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국내 판매 비중은 3.5%로 나타났다. 15일 BMW그룹에 따르면 BMW(미니·롤스로이스 포함)는 지난 상반기 전 세계에서 총 120만7388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0.5% 소폭 감소한 수준이다. 브랜드별로는 △BMW 107만814대 △미니 13만3778대 △롤스로이스 2796대로 집계됐다. 미니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17.3% 수직 상승했다. 특히 전동화 부문이 급성장하면서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상반기 전동화(BEV·PHEV) 판매량은 총 31만8949대로, 전년 동기 대비 18.5% 증가했다. 순수전기차(BEV)는 22만540대를 기록, 15.7% 늘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는 9만8339대로 28.9% 급증했다. BMW그룹 내 국내 판매 비중은 3.5%를 차지했다. BMW코리아는 상반기 국내에서 4만1797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5.6% 증가한 수치이며, 국내 수입차 시장 내 점유율은 30.2%에 달한다. △BMW 3만8020대(점유율 27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BMW·토요타가 ‘수소 동맹’을 맺고 호주 수소 모빌리티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건다. 세 업체는 공동 플랫폼을 통해 수소차·충전 인프라를 한꺼번에 확충, 배터리 전기차(BEV)로는 해결이 어려운 장거리·고하중 운송 수요까지 선점하겠다는 복안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BMW·토요타는 호주에서 ‘수소 운송 포럼(Hydrogen Transport Forum·HTF)’을 공동 설립했다. 세 회사는 15~17일 열리는 브리즈번 트럭쇼(2025 Brisbane Truck Show)에서 HTF를 시범 출범, 향후 참가 기업 범위를 에너지·인프라업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스콧 나거 현대차 호주법인 미래모빌리티 총괄은 “여러 브랜드가 공통 충전망을 이용해야 민간투자가 확대된다”며 “HTF가 수소 생태계 조성을 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HTF는 △차량·충전소 동시 배치 △플릿(대량 보유) 수요 정렬 △정부 보조금·규제 개선 제안 △업계 데이터 통합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을 수행한다. 배터리 전기차(BEV)가 해결하기 어려운 ‘장거리·고하중·신속 충전’ 운송 수요를 겨냥했다. 또한 현대차는 이번 트럭쇼에서 엑시언트(X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BMW가 중국 자동차 가격 인하 경쟁에서 발을 뺐다. 지난달 2000만 원가량 파격적인 할인을 토대로 고객몰이에 나섰지만,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가 손상될 것을 우려, 가격을 다시 인상했다. 당장 판매량보다 장기적인 입지를 고려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BMW는 최근 중국 판매 라인업 전체에 대한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모델별 3만~5만 위안(한화 약 570만~950만 원) 상향 조정했다. 지난달 현지 시장 가격 경쟁 심화로 판매 가격을 최대 10만 위안(약 1910만 원) 인하했지만, 판매 목표를 낮추고 가격을 다시 인상하는 쪽으로 시장 전략을 틀었다. 현지 운전자들 사이에서 'BMW 차량 구매 비용 17만 위안(약 3200만 원)'이 화제가 되면서 저가형 자동차 브랜드 이미지가 조성되는 조짐이 나타나서다. 현지 시장 상황은 밝지 않다. 전동화 전환이 가속화되고 로컬 브랜드의 경쟁력이 강화됨에 따라 BMW를 비롯한 아우디, 벤츠 등 프리미엄 수입차의 판매량은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BMW의 경우(미니 포함) 상반기(1~6월) 중국 시장에서 총 37만5900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4.2% 감소한 수치이다. 다만 업계는
[더구루=김은비 기자] BMW 미니(MINI)가 일본에서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모델 '에이스맨(Aceman)'을 공식 출시했다. 전동화 브랜드로 대전환을 선언한 미니가 '쿠퍼', '컨트리맨'에 이어 세 번째 전기차(EV) SUV를 공개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BMW 미니는 지난 6일(현지시간) 일본에서 미니의 EV 전용 에이스맨을 공개하고 판매를 개시했다. 차량 출고는 오는 4분기 예정이다. 에이스맨의 한국 출시와 관련해서는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 에이스맨은 미니 쿠퍼와 컨트리맨 사이의 간극을 채워줄 소형 전기 SUV다. △길이 4080㎜ △전폭 1755㎜ △전고 1515㎜ △휠베이스 2605㎜다. '미니 5 도어 해치백'(길이 4025㎜)과 비슷한 사이즈다. 기본형 E와 고성능 SE 모델로 구성됐다. 외관 디자인은 △미니만의 상징적인 원형 헤드라이트와 △팔각형 그릴 △짧은 오버행(차축과 차 끝까지 거리)을 적용해 특유의 브랜드 정신을 그대로 계승했다. 내부는 최첨단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로 제작된 원형 디스플레이가 탑재됐다. 직경 240㎜로 고감도 터치를 지원한다. 그 밖에도 △증강현실(AR) 기술이 적용된 내비게이션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BMW가 중국 자동차 시장 투자 규모를 확대한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친중행보에 맞춰 BMW가 전면에서 나서 양국 간 호혜적 경제 협력 강화를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BMW는 중국 시장 투자 규모 지속해서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올리버 집세 BMW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14일 직접 밝힌 내용이다. 당시 올리버 집세 CEO는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함께 독일 기업 대표 중 하나로 중국을 방문했었다. 그는 "중국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투자를 견지하고 중국과 독일 협력강화에 더욱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BMW는 시종일관 자유무역을 중요한 기본원칙으로 여기고 있다"며 "중국 신에너지차를 수입하는 것은 유럽 자동차 산업에 실질적인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시장 공략을 고려해 브랜드 이미지를 다지기 위한 전략적인 발언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BMW 중국 투자 배경에는 숄츠 총리의 친중 행보가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이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유럽연합(EU)의 대부분의 국가들이 대중 압박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숄츠 총리는 탈중국 움직임을 거부하면서 중국과의 경제 교류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BMW가 노이클라세(Neue Klasse)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iX3' 출시를 앞두고 막바지 담금질에 들어갔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BMW는 최근 2026년 iX3 혹한기 주행 성능 테스트를 시작했다. 글로벌 자동차 전문 매체 카스파이미디어(CarSpyMedia)가 지난 9일 공식 유튜브 채널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3분24초 분량 영상을 게시했다. 여러 글로벌 매체를 통해 스파이샷이 공개된 적은 있었으나 직접적인 테스트 영상이 송출된 것은 이례적이다. 내년 유럽 시장 출시를 앞두고 막바지 담금질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BMW는 내년 유럽 시장 출시를 시작으로 이듬해인 2026년 미국 시장에도 iX3를 출시할 계획이다. 일단 생산은 헝가리 데브레첸 공장이 담당하고 2026년부터 독일과 중국 공장이, 2027년부터 멕시코 공장이 가세한다. iX3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노이클라세를 기반으로 개발된 모델이다. 노이클라세는 영어로 '뉴 클래스'(New Class)를 의미한다. 기존 BMW 전기차 브랜드인 'i'는 내연기관 모델 파생형 전기차 모델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미 i브랜드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BMW가 자체 개발한 차세대 배터리 시범생산에 성공했다. 대량 양산체제를 구축, 오는 2025년 공개할 '노이에 클라쎄(Neue Klasse·뉴 클래스)' 전기차에 탑재할 계획이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BMW가 독일 최대 모터쇼를 통해 세계 최초 방탄 전기차를 공개한다. 운전자 보호에 충실한 방탄 성능은 물론 최첨단 기능까지 갖췄다는 점에서 높은 관심이 예상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BMW는 내달 5∼10일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국제 모터쇼 'IAA 모빌리티 2023'에서 i7 프로텍션을 선보이고 오는 12월 유럽 국가에 먼저 출시할 계획이다. i7 프로텍션은 BMW의 45년 이상 경험과 노하우가 축전된 세계 최초 방탄 전기차이다. 7시리즈를 기반으로 차량 전체에 특수 차체 보강재를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18mm 탄환까지 거뜬하게 막아낸다. 독일 방탄 소재 및 구조 테스트 국제 공인 기관 VPAM으로부터 VR9 등급도 획득했다. i7 프로텍션은 2개의 전기 모터로 구동되며, 최대 544마력의 출력과 제로백 9초대의 뛰어난 순간 가속력을 자랑한다. 최고 속도는 시속 160km다. 방탄 휠 스페셜 에디션도 적용됐다. 20인치 경량 합금을 사용한 휠에 방탄 차량용으로 특별 제작된 255-740 R510 사이즈 미쉐린 런플랫 타이어 스페셜 에디션이 장착됐다. 공기압 손실에도 최대 80km/h 속도로 달릴 수 있다. 다양한 운전 편의
[더구루=윤진웅 기자] BMW그룹이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을 위한 핵심 거점 마련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곳에서 자율주행 기술은 물론 자동 주차 대행 솔루션 개발에 집중, 브랜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BMW는 체코 소콜로프에 미래 모빌리티 개발 센터(Future Mobility Development Center, FMDC)를 마련하고 있다. 이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자율 주행 기술의 개발 및 테스트를 위한 시설로 BMW그룹이 운영하는 테스트 사이트 중 가장 큰 규모로 약 600만㎡ 부지에 차려지고 있다. 독일 뮌헨에 있는 BMW그룹 FIZ R&D 센터에서 약 280km 거리에 있으며 연내 본격 운영될 예정이다. BMW 이곳 센터 북쪽과 남쪽에 길이 25㎞, 높이 80m 슬로프를 설치하고, 6개 트랙으로 구성된 종합 테스트 사이트를 조성하고 있다. 레벨4 수준의 첨단 자율 주행 기술 및 시스템 테스트를 위한 6km 고속도로, 비포장도로, 도시 도로 교통 모듈 포함 여러 테스트를 위한 영역도 만들고 있다. 이 중 일부 테스트 트랙은 이미 작년부터 사용되고 있다. 자율주행기술 수준은 미국도로교통안전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루마니아에서 BMW와 손잡고 공동 마케팅을 펼친다.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해 양사 기술력을 알리고 소비자 경험을 개선한다는 목표다. 30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루마니아법인은 최근 BWM 루마니아법인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평범함을 넘어서다(Overtake the Ordinary)'라는 슬로건 아래 신규 마케팅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우선 삼성전자와 BMW는 공동으로 새로운 유튜브 콘텐츠 '미지의 목적지(Destination Unknown)'를 기획했다. 루마니아 방송 채널 '프로 TV'의 자동차 전문 프로그램 '슈퍼 스피드 쇼'와도 협력한다. 6명의 삼성전자 브랜드 홍보대사들이 제목처럼 미지의 목적지를 탐험하는 임무를 띄고 삼성전자와 BMW의 제품을 체험한다. 갤럭시 Z 시리즈로 BMW △8시리즈 그란쿠페 △i7 △iX 등 차량을 시승하는 모습 등을 담았다. 삼성전자는 루마니아 전역에 위치한 BMW의 쇼룸에 갤럭시 S 시리즈와 Z 시리즈를 전시한다. 여러 공간에서 갤럭시 스마트폰 성능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판매를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BMW와 색다른 공동 이벤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와 BMW 루마니
[더구루=윤진웅 기자] BMW 수소차 'iX5 하이드로젠(Hydrogen)이 중동 국가 최초로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에 출격한다. 사우디를 시작으로 전체 중동 수소차 시장으로 영토를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BMW그룹은 지난 23일 사우디에 iX5 하이드로젠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iX5 하이드로젠은 X5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수소차이다. 지난 2019년 아이 하이드로젠 넥스트(i Hydrogen Next) 콘셉트로 시작됐다. 전기차와 함께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바탕으로 친환경차 개발을 지속해온 BMW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 현대차와 글로벌 수소차 시장 1·2위를 다투고 있는 토요타와 협력을 통해 제작됐다. 총 시스템 출력은 370마력이다. 연료 전지만으로는 170마력의 성능을 내지만 필요 시 소형 전기모터가 힘을 더하며 출력을 끌어올리는 방식이다. 회생제동을 통한 에너지 저장 효과도 있다. 충격에 강한 두 개의 탄소섬유 탱크는 총 6.23kg의 수소를 채울 수 있다. 외관은 X5와 흡사하다. 다만 수소차를 알릴 수 있도록 헤드라이트, 범퍼, 림 등에 구분이 가능한 표식을 넣었다. 실내도 마찬가지로 포인트마다 수소차를 알릴 수 있도록 조
[더구루=정예린 기자] 보스턴다이내믹스의 4족 보행 로봇 '스팟(Spot)'이 팔과 한쪽 다리를 이용해 무거운 타이어를 굴리는 데 성공했다. 강화학습을 통해 복잡한 물리 상호작용을 스스로 익히며 로봇이 인간처럼 힘과 균형을 동시에 다루는 기술 수준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고강도 제재 속에서 '반도체 자립'을 추진 중인 중국이 반도체 설계와 테스트 분야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 미국의 반도체 제재가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