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한세실업이 중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수장 교체에 이어 현지 기업과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현지 생산 역량을 끌어올리고 중미를 넘어 미국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겠다는 계획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한세실업은 지난해 연말 김경 부사장을 신임 대표로 선임했다. 기존 김익환·조희선·김경 대표 3인 체제에서 김익환·김경 대표 2인 체제로 전환했다. 글로벌 시장 공략에 힘을 싣는 '핀셋' 인사로 풀이된다. 김경 대표는 수출 관련 업무를 오랜 기간 담당한 해외사업 전문가로 꼽힌다. 그는 한세실업에서 수출1본부 본부장, 수출1부문 부문장, 생산혁신부문(해외) 부문장 등을 역임했다. 김 대표는 중남미 수직계열화 프로젝트를 전개하며 '한세 2.0' 비전을 실현시키는 중책을 맡았다. 지난 1986년부터 2004년까지 신성통상에서 근무하다 한세실업으로 자리를 옮겼다. 아울러 한세실업은 현지화로 비용 절감과 함께 현지 시장 내 입지를 다져 나갈 방침이다. 과테말라 섬유회사 임페리얼그룹(Imperial Group)과 지난해 10월 협력을 통해 원사 확보도 마쳤다. 지난 1960년 설립된 임페리얼그룹은 자체 방적시설을 보유한 과테말라의 주요 니트웨어 공급업체 가
[더구루=김형수 기자] 한세실업이 대규모 투자를 통한 과테말라 생산역량 확대에 나선다. 중미와 더불어 미국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한세실업은 △올드 네이비(Old Navy) △갭(Gap) △H&M 등의 바이어로부터 주문을 받아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제조업자개발생산(ODM) 등의 방식으로 수출하는 패션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과테말라, 니카라과, 아이티 등 중미 지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 아시아 지역에 진출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한세실업은 오는 2026년까지 과테말라 미차토야 지역에 3억달러(약 3960억원)를 투자해 친환경 방적, 편직, 염색 생산설비를 갖추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중미 시장은 물론 미국 시장을 노리고 생산 역량 강화를 위한 공격 투자에 나섰다. 한세실업은 중미 생산기지가 미국 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좋고 관세 혜택이 있으며 의류 제조 인프라 투자에 각국 정부가 적극적인 곳이라고 평가했다. 한세실업은 내년까지 과테말라에서 방적, 편직, 염색을 아우르는 수직계열화 확장과 고도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하루 5만kg에 달하는 생산 역량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내걸었다. 디지털 기술에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세예스24홀딩스와 한세실업이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블랙리스트에서 제외됐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노르웨이 중앙은행 투자관리청(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NBIM)은 한세예스24홀딩스와 한세실업을 '관찰 대상'에서 해제했다. 앞서 지난 2017년 6월 관찰 대상에 오른 지 5년 만이다. 당시 NIBM 윤리위원회는 "한세실업이 베트남 공장 노동자에게 불법 초과 근무를 강요하고 화장실 사용을 제한하는 등 조직적으로 인권을 침해했다"며 "한세예스24홀딩스와 한세실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할 것"을 권고했었다. 이에 NBIM은 이들 2곳을 관찰 대상으로 지정했다. 한세예스24홀딩스는 한세실업과 인터넷 서점인 예스24 등을 자회사로 둔 지주사다. 한세실업은 의류 OEM(주문자 상표 부착 방식) 기업으로 베트남과 미얀마 등의 해외 공장에서 현지인을 채용하고 있다. 1990년 설립된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8700억 달러(약 1100조원)의 자산을 가진 세계 최대 국부펀드 가운데 하나다.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중시하고 이를 투자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2006년 만든 윤리위원회를 통해 인권 침해
[더구루=홍성일 기자]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EPFL) 연구팀이 초파리 연구로 차세대 로봇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EPFL 연구팀은 초파리 연구로 주변 환경을 파악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파반 람디아(Pavan Ramdya) 박사가 이끄는 EPFL 신경공학 연구팀은 로봇공학에 활용하기 위해 노랑초파리의 신경계를 연구하고 있다. 람디아 박사를 필두로 14명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2017년부터 초파리 신경계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초파리 뇌를 역공학해 로봇 공학에 활용할 수 있는 모델링을 개발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팀은 지난해 초파리가 앞으로 걷고, 더듬이 손질을 하고, 뒤로 걸을 때 뉴런이 어떻게 신호를 전달하는지를 보여주는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파반 람디아 박사가 초파리의 뇌를 연구하기로 한 배경은 초파리의 뇌가 너무 단순하거나 복잡하지 않기 때문이다. 람디아 박사는 "뉴런이 더 단순한 동물도 있지만 그만큼 배울 것이 없다. 반면 파리는 다리를 이용해 걷고, 몸을 닦고, 장애물을 움직인다"며 "연구하기에 충분히 단순하면서도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파리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텍스트 만으로 로봇을 설계할 수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등장했다. 연구팀은 컴퓨터와 3D프린터, 아이디어만 있으면 누구나 로봇을 설계·제작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듀크대학교 연구팀은 텍스트2로봇(Text2Robot)이라는 생성형 AI 플랫폼을 공개했다. 연구 내용은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공개됐다. 텍스트2로봇은 말 그대로 생성형 AI에 자연어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로봇을 설계해주는 AI모델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용자가 자신이 만들고 싶은 로봇에 대한 설명을 텍스트로 입력하면, AI모델은 이를 인식해 3D 렌더링 이미지를 만든다. 이후 AI모델은 이미지화 된 로봇 본체에 실제 작동에 필요한 부품을 배치한다. 연구팀은 실제 텍스트2로봇 모델로 '개구리 로봇'을 설계·제작하고 실제 작동하는 모습까지 담은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추가 개발을 통해 휴머노이드 등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만들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한다. 현재 텍스트2로봇은 4족보행 로봇만 제작할 수 있다. 연구팀 관계자는 "텍스트2로봇 기술은 로봇 제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