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펄어비스의 오픈월드 액션 어드벤처 신작 '붉은사막'이 닌텐도 스위치2에서도 출시될 것이라는 루머가 등장했다. 펄어비스는 오는 4분기 출시를 앞두고 붉은사막의 막바지 개발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게임유통업체 게임스탑(Gamestop)은 닌텐도 스위치2 출시 예정 게임 목록에 붉은사막을 추가했다. 게임스탑은 포켓몬 레전드:Z-A와 프로젝트 007, 메트로이드 프라임 4: 비욘드 등과 함께 붉은사막을 '커밍순(Coming Soon)'으로 분류했다. 북미 최대 게임판매업체인 게임스탑이 붉은사막의 스위치2 출시를 언급하면서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오는 6일(현지시간)부터 9일까지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진행되는 서머게임페스트(SGF) 2025에서 발표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제작사인 펄어비스가 붉은사막을 스팀(Steam)과 애플 맥(Mac), 플레이스테이션(PS) 5, 엑스박스 시리즈 X|S에서 출시한다고 밝힌만큼 오류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특히 화려한 액션 등을 특징으로한 붉은사막의 게임성과 스위치2가 어울리지 않는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는 상
[더구루=홍성일 기자] 국내 대표 게임사 넷마블, 펄어비스, 스마일게이트가 유럽 최대 게임쇼인 '게임스컴 2021' 참가한다. 게임스컴은 9일(현지시간) 올해 행사에 참가할 추가 파트너를 7곳을 공개했다. 특히 넷마블, 펄어비스, 스마일게이트 웨스트 등이 참가 파트너 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먼저 참가를 확정지은 게임빌컴투스를 포함해 한국 게임사는 총 4곳이 참가를 확정지었다. 넷마블은 이번 게임스컴을 통해 오는 25일 출시되는 모바일 오픈월드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마블 퓨처 레볼루션 등을 선보일 것으로 보인다. 펄어비스는 MMORPG 검은사막과 함께 최근 출시가 연기된 차기작 붉은사막의 추가정보가 공개될 지 주목받고 있다. 스마일게이트는 아마존과 손잡고 글로벌 출시하는 MMORPG 로스트아크를 전면에 내세울 것으로 전망되며 차기작에 대한 정보가 공개될 지도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 게임사 외에도 코나미를 비롯해 데달릭, 프론티어 디벨롭먼츠, 미디어토닉 등도 참가한다. 코나미는 이번 게임스컴 2021을 통해 대표 축구게임인 위닝 시리즈의 차기작 'e풋볼 2022'를 선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게임스컴은 유럽 최대 게임쇼로 올해 행사는 코로나19
[더구루=홍성일 기자] 펄어비스의 PC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검은사막' 터키 서버 신규 유저가 대폭 늘어났다. 특히 태국, 동남아 서버에 이은 증가폭을 보여 향후 검은사막의 주요시장으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펄어비스 '검은사막' 터키&MENA 서버의 신규 유저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이후 417% 급증했다. 복귀 유저도 113%가 증가했다. 이런 유저의 급상승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출시된 신규 클래스 '커세어'와 '썸머시즌' 업데이트의 효과가 시너지를 내면서다. 실제로 신규 콘텐츠 업데이트 이후 검은사막 스팀 신규 이용자가 500%나 증가했다. 또한 여름맞이 프로모션으로 스팀에서 판매가격을 90% 인하해 1달러에 구매할 수 있었던 것도 큰 효과를 발휘했다. 한국에서도 신규 이용자 157%, 복귀 이용자 139% 증가했으며 일본, 대만, 러시아, 태국, 동남아 지역에서도 신규 및 복귀 이용자가 크게 상승했다. 특히 태국은 신규 이용자가 769%, 동남아 지역은 618%로 급증했다. 터키 지역은 그 뒤를 이어 세번째로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이에따라 향후 터키·중동 시장이 동남아 시장과 함께 펄어비스의 새로운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 정부가 원전 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에 나선다. 관련 부처·기관의 협업을 통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을 준수하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 전환에 한 걸음 다가가고자 원전 사업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말레이시아 에너지전환수자원부(PETRA)와 월드뉴클리어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신규 원전 도입을 위한 타당성조사를 시작한다. PETRA 산하 마이파워 코퍼레이션(MyPOWER Corporation)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에 따라 준비 작업을 주도한다. 각 부처와 관련 기관들이 협업하며 IAEA 마일스톤 접근법(Milestones Approach)을 따른다. 이 접근법은 처음으로 원전 도입을 검토하거나 계획하는 국가를 지원하고자 IAEA에서 권고하는 단계적 접근 방식이다. 원전 준비와 건설, 운영, 폐기 등 단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단계별로 필요한 활동과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제도적 기반 수립과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인적 자원 개발,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 등을 담고 있다. PETRA는 이번 조사를 통해 국제 표준을 충족하는 원전을 개발한다는 계획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포스트 5G·6G 시대를 겨냥한 고용량·고속 플래시 메모리 모듈 시제품을 개발하며 기술 한계를 뛰어넘었다. 대규모 인공지능(AI) 처리, 실시간 데이터 분석, 스마트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키옥시아에 따르면 5TB 용량과 초당 64기가바이트(GB) 전송 속도를 동시에 구현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 모듈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일본 국가 연구개발기관 '신에너지산업기술개발기구(NEDO)'가 위탁한 '5G 이후 정보통신 시스템 인프라 강화 R&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시제품은 기존 D램 기반 메모리에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대용량과 고속 전송을 동시에 구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키옥시아는 각 메모리 보드에 컨트롤러를 체인처럼 연결하는 '데이지 체인' 구조를 적용, 플래시 메모리 수가 많아져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했다. 데이터를 더 빠르게 읽을 수 있는 '프리페치 기술'을 활용해 신호 왜곡을 보정하며 저전압 신호를 사용하는 기술로 메모리 대역폭을 높였다. 데이터 전송에는 기존 병렬 방식이 아니라 4레벨 전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