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호주 전기차 충전 솔루션 기업 트리튬(Tritium)이 업계 최초로 미국 국가 전기차 인프라 프로그램(NEVI·National Electric Vehicle Infrastructure)에 따라 고속 충전기를 공급한다. [유료기사코드] 트리튬은 NEVI 1차 라운드로 하와이에 급속 충전기를 제공한다고 14일 밝혔다. NEVI 자금 지원을 통해 급속 충전기 주문을 확보한 것은 트리튬이 최초다. NEVI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2030년까지 전국 전역에 50만개 이상의 충전소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한 프로그램이다. 미국 정부는 이 프로그램에 따라 2022~2026년 매년 약 10억 달러씩 총 50억 달러를 전기차 충전 기반시설 확충에 투자할 계획이다. 제인 헌터 트리튬 최고경영자(CEO)는 "하와이는 지속가능성과 관련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전기차 전환에 가장 선두에 있다"면서 "하와이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에 기여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트리튬은 2001년 설립한 기업으로 최신 직류 급속 충전기를 제작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설계·제조한다. 현재 미국 테네시주와 호주 브리즈번에 생산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호주 전기차 충전 솔루션 기업 트리튬(Tritium)이 뉴질랜드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글로벌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트리튬은 친환경 에너지 충전·연료 인프라 기업 점프 차징(Jump Charging)과 뉴질랜드 급속 전기차 충전 인프라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뉴질랜드는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전기차 판매를 촉진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뉴질랜드에서 판매된 경차 10만대 가운데 20%가 전기차였다. 다만 전기차 충전 인프라는 아직 부족한 수준이다. 작년 말 기준 뉴질랜드 공공 충전소는 약 350곳으로 전기차 200대당 하나꼴로 나타났다. 이에 뉴질랜드 정부는 고속도로 75㎞마다 급속 충전기를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제인 헌터 트리튬 최고경영자(CEO)는 "파트너사에 최첨단 충전 기술을 비롯해 유지·관리, 교육 등을 제공함으로써 뉴질랜드가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EV 충전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트리튬은 2001년 설립한 기업으로 최신 직류 급속 충전기를 제작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설계·제조한다. 현재 미국 테네시주
[더구루=홍성환 기자] 호주 전기차 충전 솔루션 기업 트리튬(Tritium)이 영국 석유 메이저 BP(브리티시페트롤리엄)와 설립 이래 최대 규모 공급 계약을 맺었다. 글로벌 시장 진출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트리튬은 BP와 전기차 충전 솔루션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18일 밝혔다. 구체적인 계약금은 공개하지 않았다. BP는 전기차 충전 사업부인 BP펄스(BP Pulse)의 확장 계획에 따라 트리튬에서 공급받은 전기차 충전 솔루션을 영국과 유럽, 미국, 호주 등에 설치할 예정이다. 리차드 바틀렛 BP펄스 최고경영자(CEO)는 "BP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전 세계적으로 확장함에 따라 트리튬와 협력하기로 했다"며 "충전기는 3개 대륙에서 작동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제인 헌터 트리튬 CEO는 "BP펄스의 고속 충전 네트워크 확장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트리튬은 2001년 설립한 기업으로 최신 직류 급속 충전기를 제작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설계·제조한다. 현재 미국 테네시주와 호주 브리즈번에 생산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다. 테네시주에서 생산한 제품은 미국과 유럽 시장에 공급할 예정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호주 전기차 충전 솔루션 기업 트리튬(Tritium)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다. 트리튬은 미국 전기차 공급장비 제조업체 DC-아메리카와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DC-아메리카는 트리튬의 전기차용 직류 급속 충전기를 활용해 다목적 충전소 인프라를 제공하게 된다. 제인 헌터 트리튬 최고경영자(CEO)는 "양사는 접근이 용이한 충전 네트워크를 구축해 전국적으로 수송 수단에 전기를 공급한다는 공통 목표를 갖고 있다"며 "미국에서 제조된 충전 시스템에 대해 업계 혁신가와 협력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트리튬은 2002년 설립한 기업으로 최신 직류 급속 충전기를 제작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설계·제조한다. 트리튬은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바이 아메리칸(Buy American)' 정책에 맞춰 테네시주에 첫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이 공장에서 전기차 충전기를 연간 3만개씩 생산할 계획이다. 미국 정부는 국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법(NEVI),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현지 제조한 충전기에 보조금을 제공한다. 다만 보조금을
[더구루=김은비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첨단 배터리 제조사 SES AI 코퍼레이션(이하 SES AI)가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나섰다. 상업·산업용 ESS 전문기업 UZ에너지 인수를 완료하면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운영 데이터까지 통합한 풀라인업 솔루션 역량을 갖추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SES AI는 최근 약 2550만 달러(약 350억 원)에 UZ에너지 지분 100%를 매입했다. UZ에너지는 2013년 중국 선전에 설립된 ESS 전문기업으로, 전 세계 60여 개국에 500MWh 이상 설치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고전압 ESS 제품군과 국제 품질·안전 인증을 기반으로 주거용부터 유틸리티급까지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글로벌 시장 입지를 넓혀왔다. SES AI는 이번 인수로 ESS 전 과정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 특히 자체 플랫폼 ‘몰리큘러 유니버스(Molecular Universe)’와 UZ에너지 기술을 결합, AI 기반 통합형 ESS 솔루션을 선보인다. ‘몰리큘러 유니버스’는 배터리 소재를 원자 단위에서 분석·예측하는 독자 플랫폼이다. UZ에너지의 설치·운영 데이터가 더해지면서 △배터리 수명 예측 △실시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전기차 기업 리비안이 비밀리에 개발해 온 전기자전거의 모습이 노출되면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에 따르면 리비안의 마이크로모빌리티 자회사 ALSO는 최근 공개한 홍보 영상에서 다음달 공개 예정인 전기자전거를 노출했다. 해당 영상은 전기자전거 홍보 영상을 촬영하는 현장의 모습을 담은 비하인드 영상으로, 현재는 삭제된 상태다. ALSO에서 개발하고 있는 자전거는 약 20인치 휠, 전후방 서스펜션 등이 장착되며, 디자인은 전기자전거와 엔진이 달린 자전거인 모페드의 중간 형태를 가지고 있다. 자전거 가운데에는 사각형 형태의 박스가 위치하고 있으며, 리비안의 디자인 테마가 반영된 대형 헤드라이트도 확인할 수 있다. ALSO는 첫 번째 전기자전거를 내달 22일 공개할 계획이다. 공개 전까지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등 SNS 채널을 통한 홍보를 진행할 계획이다. 업계는 ALSO 전기자전거의 성공은 가격정책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고있다. 실제로 과거 세련된 디자인과 강력한 성능으로 힙한 제품으로 관심을 받았던 네덜란드의 밴무프(VanMoof)는 높은 가격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며 대중화에는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