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스페인 자동차 시장에서 선전했다. 다만 기아는 다소 주춤했다. 현대차는 다치아를 제치고 현지 판매 순위 2위를, 토요타와 선두 경쟁을 펼쳐온 기아는 4위를 기록했다. 3일 스페인 자동차제조업체협회(Anfac)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8월 한달간 스페인 자동차 시장에서 총 3779대를 판매, 브랜드별 판매 순위에서 2위를 차지했다. 기아는 3522대를 판매, 4위를 차지했다. 시장 점유율은 각각 7.2%와 6.7%를 기록했다. 기아의 경우 2위권을 유지했으나 현대차와 르노그룹 다치아에 밀렸다. 그러나 다치아와의 판매 격차가 31대 수준에 그친다. 지난달 월간 판매 1위는 5595대를 판매한 토요타가 차지했다. 폭스바겐(3115대) 5위를 시작으로 △르노(3059대) △세아트 (2903대) △메르세데스-벤츠(2759대) △아우디(2546대) △BMW(2419대) 순으로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현대차·기아의 판매 실적은 브랜드 인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이 견인했다. 현대차 투싼과 기아 스포티지 총 2종이 베스트셀링카 '톱10' 목록에 올랐다. 현대차 투싼은 올들어 8월 누적 1385대 판매, 베스트셀링카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스페인 축구 명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 대한 후원을 이어간다. 지난 2018년 7년 연속이다. 현대차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스페인을 비롯해 유럽에서 역동적이고 강인한 현대차 브랜드 이미지를 부각시킨다는 방침이다. 27일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시즌에 이어 스페인 라리가 2024~2025시즌에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공식 파트너사로 후원한다. 현대차는 이번 스폰서십 연장으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남녀 1군 선수단에 △투싼 및 △아이오닉5 △코나 △싼타페 등 최신 차량을 제공한다. 시즌 동안 경기장 내 광고 화면에 현대차 브랜드를 노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선수가 착용하는 유니폼 왼쪽 소매에도 현대차 CI(기업이미지)를 부착할 예정이다. 지난 1903년 창단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레알 마드리드 △FC바르셀로나와 함께 스페인 3대 명문 축구팀이다. 라리가 우승 11회, 코파 델 레이(국왕컵) 우승 10회, UEFA 유로파리그 우승 3회에 빛나는 라리가를 대표하는 강팀이다. 특히, 아르헨티나 출신 디에고 시메오네 감독이 2011년 지휘봉을 잡은 이래 트로피를 대거 획득하며 구단의 ‘전성기’를 열었다는 평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인공지능(AI) 패권을 두고 미국과 경쟁하고 있는 중국이 자국산 반도체의 기술적 한계라는 벽에 부딪혔다. 딥시크의 자국 칩 사용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상당기간 중국이 미국 기술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딥시크가 당초 5월 출시 예정이던 최신 거대언어모델(LLM) R2 출시를 당분간 미뤘다. 딥시크 R2 출시가 지연된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권고에 따라 도입한 화웨이 어센드(Ascend) 프로세서의 성능 문제가 있었다. 딥시크는 R2의 훈련 과정에 화웨이 어센드 칩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도입했다. 문제는 어센드 칩 시스템이 단 한 번의 학습과정도 완료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화웨이 어센드 시스템은 R2 훈련에 필요한 막대한 양의 연산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딥시크는 R2의 학습은 엔비디아 칩, 추론은 화웨이 어센드 칩을 활용하는 것으로 전략을 수정해야만 했고 출시도 지연될 수 밖에 없었다. AI 모델 개발에서 훈련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며 모델을 만드는 가장 연산 집약적인 단계이며, 추론은 이미 학습된 모델을 활용해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하드웨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앱)의 폭발적인 성장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비게임 앱의 지출 규모가 게임을 앞질렀다. AI 기술의 발전이 모바일 앱 시장의 지출 지형도를 바꾸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모바일 데이터 분석기업 센서타워의 '2025년 2분기 디지털 시장 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모바일 인앱결제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한 410억 달러(약 57조3430억원)를 기록했다. 센서타워는 조사를 시작한 이래 분기 수익으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비게임 앱 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나 급증한 211억 달러(약 29조5100억원)를 기록, 200억 달러(약 27조9700억원)에 머문 모바일 게임 부문을 사상 처음으로 넘어섰다. 10년 전 게임 부문 매출은 비게임 앱에 6배에 달했었다. 비게임 앱의 매출 성장은 구독 모델의 보편화와 숏폼 플랫폼 틱톡의 수익화 전략 성공 등으로 모바일 결제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낮아진 것이 일차적인 이유로 꼽힌다. 틱톡은 인앱 결제를 통해 크리에이터에게 보낼 가상 선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해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