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베이징젠광자산관리(JAC캐피털) 컨소시엄이 현지 반도체 회사 칭화유니에 인수 대금을 모두 지불했다. 새 주인의 지원에 힘입어 칭화유니가 재건에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JAC캐피털과 중국 사모펀드 와이즈로드캐피털이 이끄는 컨소시엄은 칭화유니에 인수 대금 약 600억 위안(약 11조원)을 최근 완납했다. 칭화유니는 지난 1일(현지시간) 이를 채권자들에 통보했다. JAC캐피털과 와이로즈드캐피털은 중국 국무원 산하 국부펀드인 중국투자유한책임공사가 지분 절반을 보유하고 있다. 반도체 장비·재료 회사들의 투자를 추진하며 칭화유니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올해 1월 최종 인수자로 선정된 후 인수 대금을 분할 납부해왔다. 당초 지난달 31일까지 잔금 146억 위안(약 2조원)을 내야 했으나 마감 기한을 놓쳐 다음날 지불을 완료했다. 칭화유니가 JAC캐피털 컨소시엄에 인수되며 부채 상환과 구조조정에 추진 동력이 붙었다. 회생에 본격적으로 착수해 중국 반도체 자립 전략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계열사인 YMTC가 애플에 메모리칩 샘플을 공급해 시험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칭화유니의 회생과 함께 YMT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가 반도체 공장 건설 계획을 철회했다. 모회사 칭화유니그룹이 과도한 부채로 파산 구조조정에 돌입한 여파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YMTC는 D램과 3차원(3D) 낸드플래시 팹 투자 일정을 폐기했다. YMTC는 지난 2017년 300억 달러(약 36조원)를 투자해 D램과 3D 낸드플래시 생산시설을 짓겠다고 발표했었다. 이후 여러 차례 검토를 거쳤다. 공장 위치 변경, 투자액 증가 우려로 현재까지 실현되지 않았다. 모회사 칭화유니그룹의 파산으로 YMTC의 투자는 더욱 불투명해졌다. 칭화대를 대주주로 둔 칭화유니그룹은 한때 중국을 대표하는 반도체 회사였다. 반도체 회사 20여 곳을 인수하고 공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했지만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2020년 11월 첫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알렸고 작년 7월 파산 절차에 들어갔다. 칭화유니는 최근 이사회에서 파산 구조조정안을 가결하고 현지 법원의 승인을 받았다. 이로써 오는 3월 말까지 베이징즈루자산관리·베이징젠광자산관리가 주축인 컨소시엄의 품에 안기게 됐다. 칭화유니가 유동성 문제를 겪으며 YMTC의 투자는 삐걱거렸다. 재정적 어려움이 지속되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메모리 반도체 기업 칭화유니의 새 주인 후보가 7곳으로 좁혀졌다. 지난달 전략적 투자자 모집을 끝낸 후 협상에 진전을 보이며 예상보다 빠르게 구조조정이 진행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칭화유니는 18일(현지시간) 현지 최대 메신저 위챗에서 "투자 의향을 밝힌 전략적 투자자 7곳과 협의하고 있다"며 "실사를 진행 중이다"라고 밝혔다. 회사명은 언급하지 않았지만 지난달 전략적 투자자 모집에 참여한 14곳 중 논의를 거쳐 절반으로 축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칭화유니는 지난해 연간 총자산이 500억 위안(약 9조2140억원) 이상 또는 순자산이 200억 위안(약 3조6850억원) 이상인 회사를 조건으로 내걸었다. 베이징정부의 베이징전자, 알리바바 등이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본보 2021년 7월 27일 참고 '무너진 中반도체 굴기' 칭화유니 매각 시동…투자자 모집> 당시 업계에서는 칭화유니 전부를 살 회사를 찾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했다. 회사 규모가 크고 칭화유니가 거느리는 반도체 사업이 넓어서다. 재무구조 개선과 생산량 강화에 드는 수십조원의 자금도 무시하기 어렵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칭화유니가 협상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파산 구조조정을 밟고 있는 중국 반도체 기업 칭화유니가 잠재적 투자자 모집에 나섰다. 오는 9월 5일까지 신청을 받으며 청산을 피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7일 중국 전국기업파산정보공개플랫폼(全國企業破産信息披露平台·NEBIDP)에 따르면 칭화유니는 전체 사업을 이어받을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다. 잠재적 투자자는 지난해 연간 총자산이 500억 위안(약 8조8710억원) 이상 또는 순자산이 200억 위안(약 3조5480억원) 이상이어야 한다. 5억 위안(약 887억원)을 칭화유니에 선입금해야 한다. 신청 마감일은 오는 9월 5일 오후 5시로 두 명 이상의 투자자가 컨소시엄을 꾸려 참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칭화유니는 지난 18일 채권자인 휘상은행이 신청한 파산·중정(법정관리) 신청서가 베이징 제1중급인민법원에서 승인이 나며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칭와유니 경영진은 구조조정안을 마련해 6개월 내 법원과 채권단에 내야 한다. 정당한 사유가 있다는 전제 하에 최대 3개월 연장이 가능하다. 칭화유니의 선택지 중 하나는 매각이다. 칭화유니는 알리바바 저장성 국유자산관리위원회(국자위), 항저우시 국자위, 알리바바그룹 등과 매각을 논의해왔다. 다만 수익성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2위 반도체 설계업체 유니SOC(UniSOC·紫光展锐)이 상장을 앞두고 모기업인 칭화유니그룹과의 결별설이 대두되고 있다. 칭화유니가 20조원이 넘는 부채를 갚지 못해 파산 구조조정 절차를 밟으며 유니SOC의 기업 가치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유니SOC는 칭화유니의 지분 35.2%를 살 투자자를 찾고 있다. 희망 매각액은 약 200억 위안(약 3조5480억원)이다. 유니SOC의 전신은 스프레드트럼이다. 2013년 칭화유니가 스프레드트럼을 인수하며 자회사로 편입됐다. 5년 넘게 지속한 관계가 소원해진 배경에는 칭화유니의 경영 악화와 무관하지 않다. 칭화유니는 시진핑 국가 주석이 나온 명문 칭화대가 51% 지분을 보유한 반도체 설계·제조사다. 파운드리 업체인 SMIC와 중국을 대표하는 반도체 회사로 꼽혔지만 투자 대비 실적이 미미하고 막대한 빚을 떠안으며 파산 구조조정 기업으로 전락했다. 칭화유니의 채무는 1567억 위안(약 27조원)으로 절반 이상의 만기가 1년 미만이었다. 결국 채권자인 후이상은행이 파산 구조조정 신청을 냈고 중국 법원은 이를 받아들였다. 칭화유니는 308억 달러(약 35조원) 이상의
[더구루=정예린 기자] 화웨이가 스마트폰 멀티태스킹 기술에 대한 특허를 유럽에서 거절당했다. 유럽 시장에서 기술 차별성을 입증하지 못하며 향후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유럽 특허청(EPO)에 따르면 EPO 항소심판원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화웨이의 '비디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터미널의 전체 화면 표시 중 작은 창을 빠르게 조정하는 방법(METHOD FOR QUICKLY ADJUSTING OUT SMALL WINDOW IN FULLSCREEN DISPLAY DURING VIDEO, GRAPHIC USER INTERFACE AND TERMINAL)'이라는 제목의 특허 출원을 최종 기각했다. 기존 기술과 유사해 화웨이가 독점적 권리를 가질 수 없다고 판단했다. EPO 항소심판원은 화웨이의 특허가 △발명 단계 △청구 항목의 명확성 △기술적 기여 등의 측면에서 모두 부족하다고 봤다. 기존 기술에 기반한 단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에 불과하다는 게 심판원의 설명이다. 화웨이의 특허는 터치스크린을 갖춘 단말기에서 전체 화면을 유지한 채로 호버링 윈도우(다른 앱 위에 겹쳐 띄워지는 작은 팝업창)를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와 테라파워, 영국 롤스로이스 등 주요 소형 원전 기업들이 영국 안보·넷제로부 고위 인사와 만났다. 영국 보수당 주최의 원탁회의에서 소형모듈원자로(SMR) 구축을 위한 협력을 모색했다. 탄소중립 실현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SMR을 활용하려는 영국에서 기회를 발굴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영국 원전 회사 커뮤니티 뉴클리어 파워에 따르면 뉴스케일파워와 테라파워, 롤스로이스는 최근 그림자 내각의 앤드류 보위 에너지 안보·넷제로부 장관 대행 초청으로 열린 원탁회의에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영국 보수당이 주최하는 연례 회의로, 에너지 안보와 기후 위기 등 에너지 정책 전반에 대해 업계 의견을 모으는 자리다. 런던 웨스트민스터궁에서 개최됐으며 현지 정부와 원전 업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올해 회의의 주요 화두는 SMR이었다. 참석자들은 영국 SMR 시장의 잠재력과 SMR 도입 과제를 집중 논의했다. SMR 구축을 위해 영국 정부의 지원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전달했다. 영국 원자력청은 2050년까지 현재 6.5GW 수준인 원전 발전용량을 24GW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원전을 통해 전력 수요의 약 4분의 1을 충당할 계획이다. 지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