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광산기업 '필바라 미네랄스(Pilbara Minerals, 이하 필바라)'가 중국 청신리튬과 리튬 정광 공급 계약을 연장했다. 공급량도 총 38만5000톤(t)으로 확대했다. 고객사들의 견조한 수요를 토대로 리튬 정광 증설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청신리튬이 스위스에 해외주식예탁증서(GDR)를 발행해 리튬 사업 재원을 마련한다. LG화학과 SK온, 포스코퓨처엠 등 국내 고객사들의 리튬 확보를 지원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네시아가 니켈 수출에 대해 누진세를 부과할 계획이라 중국 철강업계는 물론 전기차 배터리 업계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칭산홀딩그룹(Tsingshan Holding Group, 이하 칭산)이 청신리튬그룹(Chengxin Lithium Group, 이하 청신)과 인도네시아에서 리튬 합작 공장을 짓는다. 해외 영토를 확장해 배터리 재료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는다는 전략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칭산은 청신과 인도네시아에 3억5000만 달러(약 4150억원)을 투자해 연간 생산량 6만t의 리튬 합작 공장을 짓는다. 칭산이 35%, 청신이 65% 지분을 보유한다. 30%는 자체 자금으로 충당하고 70%는 대출을 받을 예정이다. 착공 일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양사는 연간 45만t의 리튬 정광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해외 광산에서 리튬 정광을 수입해 활용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산 니켈은 품위가 낮은 라테라이트 니켈로 대부분 스테인리스와 니켈선철(NPI)에 쓰인다. 전기차 배터리의 소재로 쓰이는 니켈은 황화광 니켈이다. 청신은 아르헨티나와 짐바브웨 광산에 투자했으며 중국 쓰촨성에서 리튬 광산을 개발 중인 후이롱 마이닝의 지분도 보유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정부에 셰브첸키브스키와 도브라 리튬 광산의 탐사권도 신청했다. 광산 개발을 확대해 안정적으로 리튬 정광
[더구루=길소연 기자] 폭스바겐 그룹이 전기차(EV) 시장의 새로운 주도권을 잡기 위해 전기차 가치 사슬의 핵심인 스페인 배터리 셀 제조 설비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폭스바겐은 독일 잘츠기터(Salzgitter) 공장을 시작으로 스페인 발렌시아(Valencia), 캐나다 세인트 토마스(St. Thomas) 등에 기가팩토리를 구축, 표준화된 프로세스·장비·워크플로우를 적용해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세계 최초로 거점 간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에어택시 상용화가 속도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