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테슬라'로 불리는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루시드모터스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 합병을 완료하고 미국 뉴욕 증시에 정식으로 데뷔한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모터스와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한 스팩인 처칠캐피탈(Churchill Capital Corp Ⅳ)은 지난 22~23일(현지시간) 이틀간 진행된 주주총회에서 양사간 합병을 승인했다. 애초 22일 주주 투표를 통해 합병안을 처리하려 했지만 정족수 미달로 하루 지연되면서 23일 합병을 마무리했다. 이에 따라 26일부터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종목 기호 'LCID'로 거래를 시작할 예정이다. 상장 후 기업가치는 240억 달러(약 27조6360억원)로 평가를 받는다. <본보 2021년 7월 21일자 참고 : 루시드모터스 상장 진짜 승자는 사우디 왕세자…'23조' 투자대박> 루시드모터스는 이번 합병으로 44억 달러(약 5조원)의 현금을 조달했다. 올해 하반기 첫 전기차 모델인 루시드 에어의 인도를 앞두고 개발·생산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루시드모터스는 지난 2007년에 설립된 전기차 스타트업이다. 테슬라 전 부사장인 버나드 체와 오라클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모하메드 빈 살만이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루시드모터스의 상장으로 200억 달러(약 23조원)에 달하는 투자 대박을 터뜨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1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빈 살만이 주도하는 사우디 국부펀드인 공공투자펀드(PIF)는 루시드모터스 상장 이후 현재 보유 중인 이 회사의 지분 가치가 최소 225억 달러(약 26조원)로 상승할 전망이다. 앞서 PIF는 지난 2018년 당시 자금난을 겪고 있던 루시드모터스에 10억 달러(약 1조원)를 투자한 바 있다. 투자 3년 만에 700%에 달하는 수익을 낸 셈이다. PIF는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가 이끄는 사우디 국부펀드로, 쿠팡의 최대주주인 소프트뱅크 비전펀드(SVF)의 최대 출자자다. 루시드모터스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처칠캐피탈(Churchill Capital Corp Ⅳ)과 합병을 추진 중이다. 오는 22일(현지시간) 각각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합병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지난 2월 합병 계약을 맺었다. <본보 2021년 7월 1일자 참고 : 美 루시드모터스 상장 초읽기…SPAC 처치캐피탈 주총 개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루시드모터스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의 합병을 앞두고 투자자 설명회를 연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모터스와 처칠캐피탈(Churchill Capital Corp Ⅳ)은 오는 13일(미국 동부 표준시 기준) 오후 4시 30분 투자자를 대상으로 컨퍼런스콜을 진행할 예정이다. 피터 롤린스 루시드모터스 최고경영자(CEO)가 회사 개요와 사업 현황에 대해 발표한다. 다만 질의응답은 실시하지 않는다. 루시드모터스와 처칠캐피탈은 오는 22일 각각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합병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앞서 두 회사는 지난 2월 합병 계약을 맺은 바 있다. <본보 2021년 7월 1일자 참고 : 美 루시드모터스 상장 초읽기…SPAC 처치캐피탈 주총 개최>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루시드모터스는 지난 2007년에 설립된 전기차 스타트업이다. 테슬라 전 부사장인 버나드 체와 오라클 출신 샘 웽이 설립했다. 현 CEO인 피터 롤린스는 테슬라 수석 엔지니어로 모델S를 설계했다. 설립 초기 사명은 아티에바로 전기차 배터리와 파워트레인 개발에 집중했다. 이후 2016년 10월 사명을 루시드모터스로 변경하고 전
[더구루=홍성일 기자] 머리카락처럼 생긴 뇌전도(EEG) 전극이 개발됐다. 연구팀은 해당 전극을 활용하면 장시간 뇌 활동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팀은 24시 이상 연속 착용이 가능한 EEG 전극을 개발했다. 연구 내용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생체공학 분야 저널 'npj 바이오메디컬 이노베이션(npj Biomedical Innovations)'에 소개됐다. EEG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로 간질은 물론 수면 장애, 뇌 손상과 같은 질환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보통 EEG는 여러 개의 전극을 두피에 붙여 뇌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장기간 뇌파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 젤로 두피에 붙도록 만들어진 금속 전극을 활용한다. 문제는 젤이 마르거나 하는 경우 제대로 측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3D 프린팅이 가능한 생체 접착 잉크로 EEG 전극을 만들었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이 개발한 EEG 전극은 머리카락 굵기의 안테나 부분에 조그마한 점처럼 생긴 부분이 붙어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영화와 TV 시리즈 제작사를 신설했다. 구글은 영화와 TV시리즈를 앞세워 자사 제품의 이미지를 변화시킨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콘텐츠 제작사인 레인지 미디어 파트너스(Range Media Partners)와 다년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100제로스(100 Zeros)라는 새로운 영화·TV 제작사를 출범시켰다. 100제로스는 향후 구글이 투자하거나 자체 제작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굴하는 일을 담당한다. 구글의 100제로스 설립은 애플의 마케팅 전략을 벤치마킹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수년간 자체 OTT인 '애플 TV 플러스'를 통해 아이폰과 맥, 에어팟 등을 꾸준히 노출해왔다. 이를 통해 애플 제품에 대한 호감도와 가치를 높여왔다. 향후 구글도 100제로스가 제작하는 콘텐츠를 통해 자사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노출시켜 브랜드 가치와 호감도를 높일 것으로 분석된다. 구글과 애플의 차이점도 존재한다. 애플이 자체 OTT를 활용한 것과 다르게 구글은 넷플릭스와 디즈니 플러스 등 OTT업체와 파트너십을 맺고 콘텐츠를 배포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구글은 유튜브에서도 영화 등을 배포하지 않는다. 업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