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영화 '빅쇼트'의 실제 주인공 마이클 버리가 투자를 늘린 민영 교정시설 운영기업 지오그룹에 대한 증권가의 눈높이가 올라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이민 중단 조치 완화로 수혜 기대감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IB) 웨드부시는 지오그룹 투자 등급을 '중립(Neutral)'에서 '아웃퍼폼(Outperform·시장수익률 상회)'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와 함께 목표 주가로 10달러에서 14달러로 높였다. 29일 현재 지오그룹 주가는 11.89달러로 최근 한달새 40% 넘게 상승하며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올해 연간 상승률은 51.46%다. 웨드부시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이민 중단 조치가 잠재적으로 철회된 가운데 최근 구금 조치의 대안으로 부채 구조조정과 정치적 정서 개선이 주목받으면서 이 회사의 고수익 전자 모니터링 사업이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지오그룹은 연방정부의 위탁을 받아 사설 교정시설을 운영하는 기업이다. 현재 미국 내에서 50여개 교도소를 운영 중이다.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에도 진출했다. 최근 마이클 버리가 투자를 확
[더구루=홍성환 기자] 영화 '빅쇼트'의 실제 주인공 마이클 버리가 민영 교도소 운영업체 '지오그룹'의 비중을 크게 확대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버리가 이끄는 자산운용사 사이언에셋(Scion Asset Management)은 지난 3분기 지오그룹(GEO Group) 주식 151만7790주를 매수했다. 이에 보유 주식량은 50만1360주에서 201만9150주로 4배 늘었다. 14일 종가(8.80달러)를 반영하면 지분 가치는 1780만 달러(약 240억원)에 이른다. 현재 사이언에셋 포트폴리오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앞서 버리는 지난 2분기 △알파벳 △애플(풋옵션) △부킹홀딩스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 △시그나 △디스커버리 △메타(옛 페이스북) △스텔란티스 등 기존 보유 중이던 주식을 전부 정리하면서 지오그룹에 새로 투자한 바 있다. 지오그룹은 연방정부의 위탁을 받아 사설 교정시설을 운영하는 기업이다. 현재 미국 내에서 50여개 교도소를 운영 중이다.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에도 진출했다. 지오그룹 주가는 올해 들어 12.1% 상승했다. 버리는 이와 함께 다른 민영 교도소 기업인 코어시빅(CoreCivic) 주식도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견해 큰돈을 벌었던 영화 '빅쇼트'의 주인공 마이클 버리가 지난 2분기 포트폴리오를 대거 정리했다. 증시 부진이 장기간 이어질 것이란 전망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대신 민간 교도소 운영업체인 지오그룹에 새로 투자했다. 16일 버리가 이끄는 운용사 사이언에셋(Scion Asset Management)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주식 보유 현황 자료(13F)를 보면 이 운용사는 지난 4~6월 △알파벳 △애플(풋옵션) △부킹홀딩스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 △시그나 △디스커버리 △메타(옛 페이스북) △스텔란티스 등 기존 보유 중이던 12개 주식을 전량 매도했다. 이 회사는 1분기 말 기준 1억6500만 달러(약 2200억원) 규모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다. 사이언에셋은 대신 민간 교도소를 운영하는 지오그룹 주식 50만1360주를 새로 매수했다. 지분 가치는 15일(현지시간) 종가(7.60달러)를 반영하면 380만 달러(약 50억원) 수준이다. 지오그룹은 연방정부의 위탁을 받아 사설 교정시설을 운영하는 기업이다. 현재 미국 내에서 50여개 교도소를 운영 중이다.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에도 진출했다. 이 회사의 주가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견해 큰 돈을 벌었던 영화 '빅쇼트'의 주인공 마이클 버리가 미국 증시 폭락에 앞서 지난해 대부분 주식을 처분해 주목을 받는다. [유료기사코드] 28일 미국 경제매체 마켓인사이더에 따르면 마이클 버리가 이끄는 자산운용사 사이언에셋(Scion Asset Management)은 작년 3분기 보유 종목을 20개에서 6개로 대폭 축소했다. 이에 따라 보유 주식의 평가가치도 1억4000만 달러(약 1700억원)에서 4200만 달러(약 500억원)로 낮아졌다. 실제로 그가 지난해 처분한 골든오션·매리너스 파마슈티컬즈·스콜피오탱커스·젠코 등은 매도 이후 최대 60% 넘게 하락했다. 작년 3분기 말 기준 버리가 보유 중인 종목은 △코어시빅 △CVS헬스 △지오그룹 △록히드마틴 △나우 △사이넥시스 등이다. 마이클 버리는 지난해 미국 증시에 대해 "사상 최대 거품"이라고 거듭 주장해 왔다. 그는 "지금은 1920년대보다 투기가 더 많고 1990년대보다 주가가 과대평가돼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증시가 1929년 경제 대공황 직전이나 1990년대 말 닷컴버블보다 거품이 심하다는 의미다. 버리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배경으로 한 영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이 2030년에는 대만보다 더 큰 파운드리 생산력을 갖추게 될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이 경제 논리가 아닌 지정학적 논리로 재편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일 프랑스 시장조사기관 욜그룹(yolegroup)에 따르면 오는 2030년 중국의 파운드리 생산능력은 전세계 시장의 30%를 점유하며, 대만을 제치고 1위에 오를 것으로 분석했다. 욜그룹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세계 파운드리 생산 능력 중 23%를 대만이 보유하고 있다. 그 뒤를 중국(21%), 한국(19%), 일본(13%), 미국(10%), 유럽(8%)순이다. 욜그룹은 대만 파운드리 산업에 대해서 23%의 생산능력을 점유하고 있지만 자체 수요는 4%에 불과하다며, 생산역량 대부분을 미국 팹리스 생태계를 지원하는데 투입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경우에는 생산능력과 수요가 모두 19%라며, 국내 수요만으로도 충분히 파운드리가 운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욜그룹은 글로벌 파운드리 산업의 아시아 집중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미국의 규제에 대응하고 있는 중국이 자체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면서, 생산 능력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우크라이나가 이란제 자폭 드론 샤헤드(Shahed)의 요격체를 대량 생산한다. 요격기에 한국산 배터리를 탑재해 샤헤드의 드론 공격에 대한 방어능력과 공격력을 강화한다. 한국산 배터리는 드론 비행시간을 연장시키고 극한 기후에서도 작동이 가능해 드론 활용을 확대하고 있는 전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우크라이나 군사전문매체 밀리타니(Militarnyi)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드론 제작 업체인 와일드호넷츠(Wild Hornets)는 샤헤드 계열의 공격용 드론을 요격하기 위한 요격 드론을 대량 생산했다. 우크라이나 최대 규모 은행 중 하나인 모노뱅크와 우크라이나 스테르넨코 커뮤니티 재단이 협력해 실시한 대공 드론 제작 지원 모금 캠페인으로 자금을 확보해 요격 드론을 대량 생산했다. 세르히 스테르넨코(Serhii Sternenko) 우크라이나 사회운동가는 "기부자들의 아낌없는 지원 덕분에 이번 캠페인은 8500만 우크라이나 흐리우냐(UAH, 약 27억8000만원)라는 금액이 모금됐다"며 "이 자금은 샤헤드 드론에 대응하기 위한 요격 드론 395대와 적 정찰 무인기를 공격하기 위한 FPV 대공 드론 1500대 구매에 사용될 예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