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일렉트라 배터리 머터리얼스(Electra Battery Materials·이하 일렉트라)가 새로운 재무 총괄 임원을 영입했다. 유동성 위기를 탈출하고 대규모 자본 조달을 추진, 사업 확장에 고삐를 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일렉트라에 따르면 회사는 오는 4일(현지시간)자로 데이비드 앨런을 최고재무책임자(CFO)로 신규 선임한다. 신임 CFO는 건전한 재무 구조를 구축하고 새로운 금융 전략을 수립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앨런 CFO는 30년 이상 기업 재무·회계 관련 부서에 몸 담아온 '재무통'이다. 일렉트라에 합류하기 직전 캐나다 블록체인 기술 개발사 ‘탈(TAAL)’에서 CFO를 역임했다. △캐나다 구스 △아나에르기아 △알고마 센트럴 코퍼레이션 등에서 재무 관리 담당자로 근무했다. 일렉트라는 앨런 CFO가 온타리오주 황산코발트 제련소 증설 프로젝트를 위한 자금을 확보하는 데 적임자라고 판단했다. 총 약 2억 달러 규모 예상 비용 중 6000만 달러의 추가 자본 조달이 필요한 가운데 조만간 신규 펀딩 라운드를 실시할 계획이다. 올해 정부 보조금 지원까지 더해 건설 비용을 충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앞서 일렉트라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일렉트라 배터리 머터리얼스(Electra Battery Materials·이하 일렉트라)'가 현지 원주민들을 대표하는 경제 단체와 손을 잡았다.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공동 추진해 통합 전기차 공급망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일렉트라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온타리오주 원주민 단체 '쓰리 파이어스 그룹(Three Fires Group)'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리튬이온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위한 합작 공장을 설립하기로 뜻을 모았다. 일렉트라는 쓰리 파이어스 그룹과 의기투합하며 향후 신공장 건설 등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들을 선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됐다. 그동안 많은 기업들이 공장 설립 과정에서 원주민들과 갈등을 빚어 일정 지연 등의 어려움을 겪어왔다. 매입 부지에 원주민들의 거주 지역이 포함돼 정부 승인에 반대를 표하고 법적 싸움까지 이어지는 등의 사례가 빈번했었다. 일렉트라는 이같은 우려를 덜기 위해 원주민 부족과 동맹을 맺었다. 일렉트라와 쓰리 파이어스 그룹은 폐배터리 재활용 합작 공장을 짓기 위해 부지를 물색하고 있다. 온타리오주 남서부 지역이 유력하다. 쓰리 파이어스 그룹은 엔지니어링, 조달,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배터리 핵심 원재료 공급사가 새로운 재활용 시설 시운전에 돌입한다. 생산량을 빠르게 늘려 고객사 수요에 적기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캐나다 일렉트라 배터리 머터리얼스(Electra Battery Materials·이하 일렉트라)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온타리오주 북동부에 건설중인 배터리 재료 산업 단지 부지 내 블랙매스 재활용 실증 공장을 구축, 테스트를 시작했다. 연내 시운전을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정상 가동할 예정이다. 일렉트라는 새로운 생산기지에 재료 공급 처리 시스템과 석회 전달 시스템의 두 가지 핵심 회로를 설치하며 본격 가동 준비에 착수했다. 이는 수명이 다하거나 버려진 리튬이온배터리를 재활용하는 데 필수적인 설비다. 확보한 블랙매스 규모에 따라 연간 최대 75t의 재료를 처리할 계획이다. 일렉트라는 독자 개발한 습식 제련 재활용 공정을 적용해 니켈, 코발트, 리튬, 망간, 구리, 흑연 등 고부가가치 원소를 회수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블랙매스는 배터리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과 폐배터리 등 폐기물을 수거·분쇄해 만들어진 중간가공품이다. 검은 분말 가루 형태로 리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퍼스트코발트가 북미에 전기차 배터리 소재 공장 설립을 추진한다. 사명도 바꾸고 새로운 출발을 알린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퍼스트코발트는 북미에 양극 화학 물질과 같은 전기차 배터리 재료를 생산하기 위해 자사 첫 전문 시설을 설립한다고 지난 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회사명도 일렉트라 배터리 머터리얼스(Electra Battery Materials·이하 일렉트라)로 변경했다. 이미 북미에 니켈, 코발트 등 일부 배터리 금속 소재를 생산하고 있지만 전기차 배터리 재료 전용 시설로는 이번 공장이 처음이다. 북미 지역 배터리의 양극 부품에 대한 니켈, 코발트, 전구체 화학 물질 등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트렌트 멜 일렉트라 최고경영자(CEO)는 "일렉트라는 확장된 습식 제련 배터리 재활용 시설이 5000t의 코발트를 생산하는 내년 4분기까지 황산코발트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한편 일렉트라는 오는 2024~2025년 니켈을 확보하기 위해 니켈 황산염 시설 관련 협상을 진행 중이다. 단기 코발트 생산량과 결합하면 연간 150만 대 이상의 전기차를 제작할 수 있는 수준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일각에서 불거진 지포스 RTX 50 시리즈 파운더스에디션(FE) 단종설을 부인했다. 엔비디아는 단순히 재고가 소진된 것으로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 대변인은 지포스 RTX 50 시리즈 FE 단종설에 대해 "해당 제품은 계속 생산되고 있다. 한정판 제품이므로 당사 웹사이트에서 수시로 품절됐다가 재입고 시 다시 판매된다"고 밝혔다. FE 제품군은 엔비디아에서 직접 생산한 그래픽카드로, 레퍼런스 그래픽카드라고도 불린다. 다수의 그래픽카드는 엔비디아나 AMD 등에서 생산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을 애드 인 보드(add-in board, AIB) 파트너사에 공급하며, 해당 회사들은 보유하고 있는 냉각 기술 등을 더해 그래픽카드를 만들어낸다. 반면 FE 제품군은 엔비디아가 설계해 제작되며, 통상 한정판으로 판매된다. RTX 50 시리즈 FE 제품 단종설이 나온 이유는 엔비디아 홈페이지 내에서 판매 페이지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엔비디아가 RTX 50 슈퍼 시리즈를 조만간 출시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기존 제품군 중 일부를 단종할 것이라는 루머가 더해졌다. 슈퍼 시리즈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영국에 최대 6GW(기가와트) 규모 소형원전을 개발할 계획이다. 두산에너빌리티, DL이앤씨 등 국내 파트너사와의 동반 진출 기대감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엑스에너지는 15일 영국 에너지 기업 센트리카(Centrica)와 소형원전 공동개발협약(JDA)을 맺었다. 이번 계약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영국 국빈방문을 계기로 이뤄졌다. 양사는 영국 전역에 최대 6GW 규모로 소형원전을 건설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대형 원전 기준으로 4~6기 수준에 해당하는 전력 생산량이다. 경제적 가치는 최소 540억 달러(약 75조원)로 추산된다. 양사는 우선 프랑스 국영 전력공사(EDF)와 협력해 영국 하트풀 원전 부지에 소형원전을 구축할 계획이다. EDF가 운영하는 이 원전은 오는 2028년 폐쇄될 예정이다. <본보 2023년 3월 15일자 참고 : 엑스에너지, 英 소형원전 부지 확정…DL·두산 수혜 기대감> 두 회사는 해당 부지에 최대 960㎿(메가와트) 규모 소형원전 Xe-100 12기를 배치한다. 이를 통해 15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고, 150억 달러(약 21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