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선발한 블리스(Bliss) 품종의 씨감자가 베트남에서 올해 첫 수확됐다. 오리온은 2016년부터 감자 농가의 생산성 향상과 소득 증대를 돕기 위한 '베트남 고향 감자 지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10년째다. 오리온은 '좋은 제품은 좋은 원재료에서 나온다'는 원칙 아래 상생 경영 강화, 고품질 제품 생산을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9일 오리온 베트남 법인에 따르면 현지 농가에 보급한 블리스 품종 감자의 수확을 마쳤다. 블리스는 오리온이 3년간의 시험 재배 과정을 거쳐 선발한 품종이다. 블리스는 재배 기간이 100일 정도로 짧은 편이고 질병 저항성이 강해 수확량이 좋다는 게 오리온의 설명이다. 1헥타르당 수확량은 50톤 안팎에 달한다. 현지 농가의 평가도 좋다. 블리스 품종은 일정한 크기의 감자 수확이 가능했다고 호평했다. 오리온은 베트남 토양과 기후에 최적화된 감자 품종 개발과 원료공급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10년 째 현지 감자 농가의 생산성 향상과 소득 증대를 돕고 있다. 총 13억원 상당의 농기계, 연구시설, 장학금 등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의 경우 현지 농가에 대서양 품종 감자 종자를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베트남 평판 우수 식품기업' 정상을 차지했다. 국내 식품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베트남 식품 시장을 선도하는 업체 명단에 이름을 올리면서 오리온이 현지 시장에 탄탄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11일 베트남 종합 화학기업 TDG에 따르면 오리온은 '베트남 평판 우수기업' 1위를 꿰찼다. 식품·제약·섬유·건설 등의 분야를 대상으로 화학물질 생산·공급 사업을 영위하는 TDG는 부문별 평판 우수 기업 순위를 발표하며 해당 업계 현황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기업 인지도, 생산 설비, 사업 규모 등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베트남 평판 우수 식품기업 순위를 매겼다. 오리온은 간판 초코파이를 비롯해 카스타드(현지명 쿠스타스), 포카칩(현지명 오스타), 고래밥(현지명 마린보이) 등 다양한 유명 제과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널리 알려졌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오리온 초코파이는 지난해 기준 베트남 파이 시장에서 60%가 넘는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며 독보적 시장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베트남 식문화를 반영한 현지화 초코파이 제품을 출시하며 폭넓은 제품 라인업을 갖춘 것이 성공 비결로 꼽힌다. 2023년 초코파이 라즈
[더구루=김형수 기자] 허인철 오리온 부회장이 세계 스낵 시장 격전지로 급부상한 인도를 찾았다. 지난 5월에 이어 올해 두번째 인도를 찾아 현지 시장 현황을 살폈다. 성장 잠재력이 높은 인도 시장에 직접 공들이며, 인도법인의 돌파구를 허 부회장이 글로벌 현장 경영을 통해 찾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허 부회장은 지난달 말 인도 수도 뉴델리 인근 하리아나주 구루가온(Gurugram)에 자리한 오리온 현지 법인을 긴급 방문했다. 허 부회장은 현지 스낵 시장을 살펴보고 경영진에 실적 부진 탈출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허 부회장은 출장 기간 김민우 인도법인장을 비롯한 현지경영진으로부터 업무 보고를 받았다. 성장 전략 수립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인도 시장을 반드시 잡아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인도 시장은 오리온 입장에선 '아픈 손가락'에 놓인 처지다. 2018년 인도법인 설립 이후 시장 공략을 위해 투자에 나섰지만 아직까지 유의미한 성과가 나지 않고 있어서다. 실제 오리온의 인도 성적표는 개선이 필요하다. 오리온 인도 법인은 △2021년 44억원 △2022년 117억원 △2023년 15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다음달로 다가온 베트남 최대명절 '뗏'을 앞두고 선물세트를 론칭, 대목 공략에 나섰다. 'K간식' 초코파이, 카스타드(현지명 쿠스타스) 등 대표 제과제품을 중심으로 현지 영토를 확장한다는 전략이다. 한국을 비롯한 중국과 베트남, 러시아 등 글로벌 곳곳에서 오리온 초코파이가 인기를 끌고 있다. 세계 60여 개 국가에서 오리온 초코파이의 연간 판매량은 35억개 이상이며, 총 5000억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베트남 뗏은 한국 설에 해당하는 명절이다. 뗏을 맞아 주변 사람들에게 선물을 전달하며 감사의 마음을 표시하는 현지 문화가 있어 연말연시는 관련 수요가 크게 몰리는 기간으로 꼽힌다. 베트남 정부는 내년 1월25일부터 2월2일까지 9일을 뗏 연휴 기간으로 지정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오리온은 베트남에 여러 종류의 뗏 선물세트를 론칭했다. 개인 고객, 기업 고객 등 소비자 특성에 맞춰 다양한 선물세트를 준비했다. 베트남 전역에 자리한 슈퍼마켓·대형마트 등 오프라인 채널, 현지 대형 온라인쇼핑몰 쇼피·틱톡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해서 판매하고 잇다. 오리온은 △오리지널 초코파이 △초코파이 복숭아맛 △초코파이 수박맛 등 간판 초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글로벌 베스트셀러 꼬북칩을 토고 온라인 쇼핑몰에 입점시키고 아프리카 제과시장 공략에 나섰다. 아시아, 유럽 등에 이어 아프리카까지 전세계를 연결하는 '꼬북칩 K스낵 로드' 구축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27일 글로벌 전자상거래기업 유바이(Ubuy)에 따르면 오리온은 유바이 토고 온라인쇼핑몰에 입점해 다양한 꼬북칩을 판매하고 있다. 꼬북칩 초코츄러스맛을 비롯해 △꼬북칩 콘스프맛 △꼬북칩 트러플솔트맛 △꼬북칩 핫라임맛 △꼬북칩 마라맛 등이다. K열풍으로 해외 현지 유튜버들의 꼬북칩, 포카칩 등 제품 후기가 줄줄이 올라오면서 자사 제품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아프리카에서도 성공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판단 아래 이번 유바이 입점을 추진한 것으로 풀이된다. 해외 바이어들의 러브콜도 쏟아지고 있다. 유바이는 지난 2013년 설립된 이커머스 기업으로 쿠웨이트 수도 쿠웨이트시티에 본사를 두고 있다. 중동, 아프리카, 유럽, 북미 등 전세계 180여개국을 대상으로 온라인 쇼핑몰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오리온이 지난 2017년 론칭한 꼬북칩은 지난 3월 글로벌 누적 매출액 4800억원을 돌파하며 히트상품으로 등극했다. 오리온 간판 초코파이의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러시아에 오렌지맛을 강조한 초코파이 신제품을 론칭하고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섰다. 간판 초코파이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현지 신규 수요를 창출한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6일 러시아 리뷰전문 사이트 아이리커맨드(IRECOMMEND)에 따르면 오리온은 러시아에 초코파이 오렌지맛을 론칭했다. 초코파이 오렌지맛은 오리온이 지난해 1월 인도에 론칭한 제품으로 이번 러시아 출시에 따라 판매 국가가 확대됐다. 러시아 전역에 자리한 대형마트, 식료품점 등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오리온은 초코파이 오렌지맛이 초코파이 케이크 속 마시멜로 안에 신선한 오렌지로 만든 오렌지잼이 들어간 제품이라고 소개했다. 초콜릿의 달콤한 맛과 상큼한 오렌지 특유의 풍미가 조화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오리온은 패키지 전면에 초코파이 오렌지맛 제품 이미지와 오렌지 사진 등을 적용해 오렌지가 들어갔다는 제품 특징을 표현했다. 패키지 디자인에 오렌지를 연상시키는 주황색을 적용했다. '오렌지잼이 들어간 초코파이 신제품을 맛보세요'라는 의미의 문구도 러시아어로 새겨넣었다. 러시아 소비자들이 즐겨먹는 과일을 활용해 개발한 초코파이를 연달아 선보이며 현지 시장 공략에 박차
[더구루=김형수 기자] 연매출 3조원 달성을 눈앞에 둔 오리온이 북미를 겨냥한 영토 확장에 나섰다. 미국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초코파이를 비롯한 다양한 제과 제품을 선보이며 현지 사업을 확대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3일 미국 역직구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플랫폼 마이K마켓(myKmarket)에 따르면 오리온은 △초코파이 오리지널 △초코파이 하우스(딸기앤크림·초코앤크림) △고래밥 △후레쉬베리 등 대표 제과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마이K마켓은 지난 2019년 설립된 국내 스타트업 브랜드리스가 운영하고 있다. 미국 소비자들에게 현지에서 구입하기 어려운 국내 상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식품·뷰티·육아·주방·스포츠 등 13개 카테고리에 걸쳐 약 1만1000여개에 달하는 상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초코파이는 지난 1974년 론칭돼 반세기 역사를 지니고 있는 오리온 간판 제품이다. 지난 1997년 중국을 시작으로 베트남, 러시아, 인도 등에 연달아 출시됐다. 지난 2017년 출범한 글로벌 연구소 주도로 진출 국가별 시장 특성을 반영해 딸기, 복숭아, 요거트 등을 활용해 개발한 현지화 초코파이가 인기를 끌며 글로벌 히트 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는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베트남에 한국의 매운맛을 강조한 스윙칩(현지명 스윙) 신제품을 론칭한다. 생감자 스낵 라인업을 확대하고 신규 수요를 창출해 현지 시장 1위 자리를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오리온은 베트남에 '스윙맥스 고추장맛'을 출시했다. 베트남 전역에 자리한 식료품점·대형마트 등 오프라인 채널, 대형 온라인 쇼핑몰 쇼피와 틱톡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스윙맥스 고추장맛 출시에 따라 오리온에 베트남에서 판매하는 스윙 제품군은 총 6종으로 늘어났다. 오리온은 △스윙 뉴욕식 스테이크맛 △스윙 오사카 데리야키치킨맛 △스윙 K팝 그릴드 해초맛 △스윙맥스 흑후추 소고기맛 등을 선보이고 있다. 오리온은 스윙맥스 고추장맛이 한국을 대표하는 양념 고추장을 이용해서 개발한 제품이라고 소개했다. 다만 매운맛에 익숙하지 않은 베트남 소비자들도 부담감없이 즐길 수 있도록 매운맛 정도를 조절했다. 기존 스윙맥스 제품에 비해 스윙맥스 고유의 물결모양을 4배 더 구불거리게 만든 것도 특징이다. 이를 통해 이전 제품에 비해 바삭바삭한 식감을 더 살리고, 풍미를 보다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는 것이 오리온의 설명이다. K드라마, K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베트남 평판 우수 식음료 기업' 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보다 한 단계 상승했다. 지난 2021년 이후 4년 연속 '톱3'를 기록, 베트남 시장 내 입지를 공고히 했다는 평가다. 25일 베트남 기업평가기관 베트남리포트(Vietnam Report)에 따르면 오리온은 '베트남 평판 우수 기업' 제과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다. 베트남리포트는 △브랜드 경쟁력 △지속가능한 성장 △재무 역량 △언론 평판 등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 오리온의 강력한 브랜드 파워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오리온 대표 제품 초코파이는 현지 파이 시장에서 60%가 넘는 점유율을 차지하며 선두를 질주하고 있다. 지난 4월 제품 무게는 기존 33g에서 36.3g으로 10% 늘렸음에도 가격은 동결한 초코파이 제품을 출시하고 가격 경쟁력을 제고했다.<본보 2024년 4월 3일 참고 오리온 초코파이, 베트남서 용량 키우고 가격은 그대로> 앞서 지난해 10월 베트남에 '초코파이 트로피컬 망고맛'을 론칭하고 초코파이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기도 했다. 초코파이 라즈베리, 초코파이 블루베리맛에 이어 초코파이 트로피컬 망고맛을 선보이며 신규 수요를 창출하
[더구루=김형수 기자] 팜 민 찐(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가 오리온 현지 스마트 팩토리 건설 프로젝트에 대해 엄지를 추켜세웠다. 오리온이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베트남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다. 박세열 베트남 법인 대표이사는 지난 12일(현지 시간) 하노이 소재 베트남 정부 청사에서 개최된 '국가 디지털 전환의 날' 행사에 참가해 팜 민 찐 총리와 회동을 가졌다. 이날 팜 민 찐 총리는 오리온이 보여준 효과적인 기업 투자 노력과 사회 공헌 활동을 높이 평가, 향후 오리온이 진행중인 투자와 미래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베트남 정부는 국가 차원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그 이행 속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지난 2020년 10월10일을 '국가 디지털의 날'로 선포했다. 올해는 '디지털 인프라의 보편화와 디지털 애플리케이션 혁신을 통한 경제 발전-경제 성장 및 노동 생산을 위한 새로운 원동력'을 주제로 기념 행사가 열렸다. 팜 민 찐 총리 이외에도 레 탄 롱(Le Thanh Long) 부총리, 응웬 만 훙(Nguyen Manh Hung) 정보통신부 장관, 르엄 떰 꽝(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베트남에서 동심(童心)을 겨냥한 캐릭터 마케팅을 선보인다. 인기 애니메에션 도라에몽 콜라보 제과 제품을 추가 출시하고 캐릭터를 활용해 어린이들에게 사랑받는 건강식품 브랜드로 친근하게 자리 잡겠다는 계획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오리온은 베트남에 도라에몽 콜라보 고래밥(현지명 마린보이·Marine Boy)을 론칭했다. 오리온은 적극적으로 동심 마케팅을 전개해 어린이들과 가까운 기업이란 이미지를 확고히 할 계획이다. 베트남 전역에 자리한 대형마트, 소매점 등의 채널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도라에몽 콜라보 고래밥에는 도라에몽·도라미 등 도라에몽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와 요술장갑·요술봉 등 도라에몽이 사용하는 요술장비를 본따서 디자인한 7종의 과자가 들어있다. 오리온은 도라에몽 콜라보 고래밥에 펀(Fun) 요소를 적용했다. 도라에몽 콜라보 고래밥 상자 안에는 도라에몽, 도라미 등 캐릭터와 초자연적 현상 등을 상징하는 52종의 그림카드가 들어있다. 이들 카드를 모아 가위바위보, 우노 등 여러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이 오리온의 설명이다. 오리온이 도라에몽 콜라보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베트남 어린이 고객을 겨냥한 마케팅에 박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리온이 일본에 '마켓오 브라우니'의 이색 콜라보 메뉴를 출시하고 열도 디저트족 공략에 나선다. 초코파이 등 간판 제품에 이어 마켓오 브라우니를 내세운 마케팅을 강화하며 일본 시장 내 K과자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오리온은 일본 외식업체 '야키니쿠 킹'(焼肉きんぐ)과 손잡고 오는 9일 현지에 '구루구루 마제떼네 킹 스로피 초코 브라우니'(ぐるぐるまぜてね きんぐスロッピー〜チョコブラウニー·이하 구구루 브라우니)를 선보인다. 오는 12월 중순까지 기간 한정으로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야키니쿠 킹은 지난 1969년 설립된 일본 외식업체 스토리 코퍼레이션이 운영하고 있는 뷔페 스타일의 야키니쿠 전문점이다. 도쿄, 나가노, 나고야, 히로시마, 오사카 등 일본 전역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야키니쿠 킹을 방문해 킹 코스 또는 프리미엄 코스로 뷔페를 이용하는 경우 구루구루 브라우니를 맛볼 수 있다. 구루구루 브라우니는 야키니쿠 킹의 인기 디저트 구루구루 마제떼네 킹 스로피와 오리온이 출시한 마켓오 브라우니를 조합해 개발한 메뉴다. 오리온 마켓오 브라우니는 깊은 카카오 풍미와 갓 구워낸 것 같은 크러스트의 쫀득한 식감이 특징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매사추세츠주가 신규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확대한다. 매사추세츠주 필그림 원전에 SMR(소형모듈원자로) 도입을 검토 중인 홀텍에도 호재가 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매사추세츠 주의회에 따르면, 모라 힐리 매사추세츠 주지사는 최근 에너지 자원 다각화와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한 에너지 법안을 발의했다. 법안의 주요 내용은 신규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확대 허용하는 것이 골자다. 무분별한 원전 확대를 막기 위해 지난 1982년 제정된 보호 조치도 폐지하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1982년 제정된 보호 조치는 신규 원전 개발시 주 전체 투표를 통해 주민 승인을 받도록 강제하고 있다. 또한 연방 방사성 폐기물 저장 시설이 마련될 때까지 신규 원자로 건설을 금지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힐리 주지사의 법안이 통과될 경우 홀텍의 SMR 사업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예상된다. 홀텍은 현재 폐쇄된 매사추세츠주 필그림 원전의 해체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곳에 SMR 도입도 검토 중이다. 패트릭 오브라이언 홀텍 대변인은 “필그림 원전이 여전히 전력 송전선을 유지하고 있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해 주는 만큼 새로운 원자로 추가에 매력적인 사이트라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알리바바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안경을 공개한다. 알리바바의 참전으로 AI기반 스마트안경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중국 경제매체 36Kr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AI 안경 제품을 이번주 공개한다. 36Kr에 따르면 알리바바의 새로운 AI 안경에는 시중에 출시된 다른 제품과 같이 음성 지원, 음악 재생, 통화, 실시간 번역 등의 기능이 제공된다. 알리바바는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큐웬(Qwen)을 기반으로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타사 제품과 다른 점으로는 아맵, 알리페이, 타오바오 등 알리바바 지도와 결제, 쇼핑 생태계와도 결합됐다는 점이 꼽힌다. 알리바바는 렌즈 부분에 디스플레이가 없는 모델과 디스플레이가 장착돼 AR 기능이 제공되는 모델을 출시한다. 알리바바는 AR기능이 더해진 모델을 주력 제품으로 판매한다. 또한 알리바바의 AI 안경에는 퀄컴의 AR1 프로세서와 베스테크닉에서 개발한 BES2800 프로세서를 결합한 듀얼 칩 아키텍처가 적용된 것으로 알려져 관심을 받고 있다. 알리바바는 새로운 AI안경을 앞세워 'AI to C' 전략을 공고히 한다. 알리바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