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캐나다 폐배터리 재활용 업체 리시온(Lithion)에 투자했다. 재활용으로 얻은 원재료를 LG에너지솔루션과의 합작사 '얼티엄셀즈'에 보내 배터리 생산에 쓰겠다는 구상이다. GM이 신규 투자자로 가세하며 아이에스동서의 투자가 대박 조짐을 보이고 있다. GM과 리시온은 투자 계열사인 GM벤처스가 리시온의 시리즈A 투자에 참여했다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2018년 설립된 리시온은 폐배터리에서 고순도의 배터리 원료를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최대 95%까지 재활용이 가능하다. 재활용 공정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해 광산에서 원재료를 추출할 때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75% 이상, 물 사용량을 9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GM은 향후 리시온의 기술을 활용해 폐배터리를 재활용해 원재료를 얻고 새 배터리에 재사용할 가능성을 검토한다. 차세대 폐배터리의 재활용 프로세스 설계를 연구하고자 합작 투자를 모색한다. GM은 이번 협력을 토대로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배터리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GM은 2025년까지 북미에서 연간 전기차 100만대를 판매하겠다고 선언하며 배터리 생산시설을 증설하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리씨온 리사이클링(Lithion Recycling·이하 리씨온)이 퀘벡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설비 투자에 속도를 낸다. 배터리 재활용 공장과 연구 거점을 구축하고 폐배터리 재활용 밸류체인을 완성한다. [유료기사코드] 리씨온은 지난 1일(현지시간) "퀘벡 정부로부터 2250만 달러(약 274억원)의 자금 지원을 받게 됐다"고 밝혔다. 1500만 달러(약 183억원)는 지분 투자, 750만 달러(약 91억원)는 보조금 형태로 제공된다. 리씨온은 조달 자금을 퀘벡 최초 상업용 스포크 건설에 쓴다. 스포크는 폐배터리를 해체하고 플라스틱과 구리, 알루미늄 등을 분류하는 시설이다. 리씨온은 2023년 가동을 목표로 연간 최대 7500t의 폐배터리를 처리할 수 있는 공장을 짓고 있다. 이는 전기차 2만5000대에 사용된 배터리를 처리할 수 있는 규모다. 아울러 배터리 연구를 주도할 첨단 기술개발 센터를 설립하고 습식제련 시설(허브) 건설을 위한 엔지니어링 연구도 수행한다. 습식제련은 용매를 이용해 광석 속에 들어 있는 목적 금속만을 선택적으로 녹여내는 기술이다. 전기로에 폐배터리를 투입해 유가금속을 추출하는 건식제련에 비해 시설비가 많이 들지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 양자 컴퓨팅 스타트업 IQM이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며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비상장 기업)에 등극했다. IQM은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미국 시장 공략에 집중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IQM은 텐 일레븐 벤처스가 주도한 시리즈B 투자 라운드를 통해 2억7500만 유로(약 4460억원)를 확보했다. 기업가치는 1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됐다. 이번 펀딩에는 핀란드 사모펀드 테시를 비롯해 엘로 뮤추얼 연금보험, 바르마 뮤추얼 연금보험, 슈바르츠 그룹, 윈보드 일렉트로닉스 코퍼레이션, 유럽혁신위원회(EIC), 바이에른 카피탈 등이 참여했다. 2018년 설립된 IQM은 IBM, 구글과 같은 초전도 양자컴퓨터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IQM이 개발한 양자칩에는 개별 큐비트의 빠른 냉각과 안정화를 위한 '양자 회로 냉장고(quantum-circuit refrigerator)'라는 기술이 적용돼 있다. 현재 IQM은 150개 고충실도 큐비트를 탑재한 래디언스 컴퓨터를 비롯해 레저넌스(Resonance)라는 클라우드 양자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QM은 2032년까지 100만 큐비트 양자
[더구루=김예지 기자] 현대차·LG전자 등이 투자한 미국 차량사물통신(V2X) 스타트업 소나투스(Sonatus)가 차량 내 인공지능(AI) 기능을 구현하는 플랫폼 'AI 디렉터(AI Director)'를 공개했다. 차량 내부에서 직접 AI를 실행하는 엣지 AI(edge AI) 방식에 기반해,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전환을 가속화할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4일 소나투스에 따르면 완성차 제조사(OEM)와 부품사들이 AI 모델의 △학습 △검증 △최적화 △배포 전 과정을 단일 플랫폼에서 처리할 수 있는 AI 디렉터를 공개했다. 기존 클라우드 중심 AI 운영 방식과 달리 차량 내에서 직접 AI를 구동해 반응 속도를 높이고, 데이터 전송 비용을 줄이며 개인정보 보호도 강화한다. 또한 다양한 차량 서브시스템에서 작동하는 AI 모델을 통합 관리해 성능 향상과 유지보수 효율화에도 기여한다. 특히 물리 기반 모델, 신경망 모델뿐 아니라 최근 각광받는 소형·대형 언어모델(SLM/LLM)까지 지원해 차량 내 다양한 AI 활용 사례에 대응 가능하다. OEM들은 기존 전자제어장치(ECU)를 교체하지 않고도 AI 기능을 확장할 수 있어 개발 기간과 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