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 럭셔리 브랜드 설화수가 태국에서 현지 여심(女心) 공략에 나섰다. 2210억 바트(약 8조1063억원)에 달하는 태국 화장품 시장에서 프로모션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선도업체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겠다는 계획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설화수는 오는 27일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온라인 쇼핑몰로 꼽히는 라자다(Lazada)를 통해 태국 소비자들을 겨냥한 '설화수 슈퍼브랜드데이'를 개최한다. 설화수는 이번 슈퍼브랜드데이에서 △자정부터 새벽 2시까지 최대 50% 할인 △최대 1000바트(약 3만6700원) 할인 △2000바트(약 7만3400원) 이상 결제하는 마스터카드 고객 대상 10% 추가 할인 △특정 시간 주문 고객 대상 퍼펙팅 파운데이션 21호 또는 23호, 윤조 에센스 무료 증정 △할인 이후 3500바트(약 12만8400원) 이상 결제 고객에게 사은품 5종 제공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아모레퍼시픽이 라자다와 손잡고 온라인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나타내는 동남아시아 사업 확대에 힘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아모레퍼시픽은 설화수가 지난해 아세안 지역에서 안티에이징 카테고리를 강화한 것이 효과를 발휘하며 20% 이상 매출이 증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의 럭셔리 뷰티 브랜드 설화수가 자음생라인 제품을 추가로 선보인다. 캐나다를 비롯한 북미 시장 공략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설화수는 캐나다에서 노화되는 피부에 탄력을 더해주는 자음생 크림,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된 자음생수, 노화 방지 및 영양 공급 기능을 갖춘 자음생 에멀전 등을 출시했다. 설화수 자음생 라인은 6000배 고농축 진세노믹스(Ginsenomics) 성분이 함유된 제품으로 구성됐다. 진세노믹스는 인삼 1000g에서 1g밖에 나오지 않는 희귀한 사포닌이다. 이 사포닌을 아모레퍼시픽이 보유한 독자 기술로 농축해서 만들어진 것이 진세노믹스다. 안티에이징 효과를 발휘한다는 설명이다. 미국을 포함한 북미는 전 세계 최대 규모의 뷰티 시장이자,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하는 지역으로 꼽힌다. 설화수는 지난 2020년 미국 세포라 매장과 세포라닷컴에 입점하며 북미 시장 공략에 첫 단추를 뀄다. 지난해 아모레퍼시픽의 북미 시장 매출은 9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늘어났다. 유럽(16%), 아시아(2%)에 비해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다. 설화수가 신규 e커머스 플랫폼에 진출한 데다 라네
[더구루=홍성일 기자] 프랑스의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시장이 기록적인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여행 등 온라인 서비스 부문 사용량이 급증하고, 음식 배달은 '필수 구매 채널'로 자리잡는 등 이커머스가 프랑스인의 일상에 깊숙이 파고들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코트라 파리 무역관에 따르면 지난해 프랑스 이커머스 규모는 1809억 유로(약 297조8680억원)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지난해에는 2022년 인플레이션 이후 처음으로 가격 상승이 아닌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 이커머스 시장은 리테일과 여행이 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여행 이커머스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652억 유로(약 107조3485억원)이었으며, 리테일 이커머스는 624억 유로(약 102조7385억원)였다. 여행 이커머스 시장은 파리 올림피 효과로 급성장했으며 부킹닷컴, 에어비앤비 등이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 다만 여행 이커머스 시장은 호텔들이 높은 플랫폼 수수료에 대항해 직접 예약 강화, 로열티 프로그램 확대 등을 하고 있고, 에어비앤비의 경우 단기 임대 규제(안티 에어비앤비 법) 강화로 불확실성이 커진 상태다. 안티 에어비
[더구루=홍성일 기자] 홍콩이 드론과 도심항공교통(UAM)을 활용하는 '저고도 경제(low-altitude economy)'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고 규제 완화·정책 지원에 나섰다. 홍콩 정부는 적극적으로 산업을 육성해 GBA(광둥·홍콩·마카오 대만구)를 아우르는 저고도 경제 허브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코트라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홍콩의 드론 수입이 증가하는 등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정부 주도로 드론 기술 발전과 다양한 응용 분야 확대로 이뤄지고 있다. 홍콩 정부는 중국 정부가 저고도 경제를 국가 전략 신흥 산업으로 육성하자 지난해부터 핵심 의제로 삼고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존 리 홍콩 행정장관은 지난해 시정연설을 통해 저고도 경제를 핵심 정책이라고 강조했으며, 11월에는 '저고도 경제 발전 실무그룹'을 출범시키기도 했다. 저고도 경제 발전 실무그룹은 출범 직후 기업들이 규제 제약 없이 드론 기술을 시험하고 상용화할 수 있도록 '저고도 경제 규제 샌드박스 시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올해 3월 시작된 1기 프로젝트에서는 긴급 구조, 물류 배송, 시설 점검 등 38건의 과제가 승인돼 실제 현장 운영에 들어갔다. 홍콩 정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