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사 서클(Cirble)이 미국 증시 상장을 내년으로 연기했다. 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 시장 부진과 암호화폐 위축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진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한 스팩인 콩코드 애퀴지션(Concord Acquisition)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서클과의 합병 거래를 내년 1월 말로 연기한다고 1일(현지시간) 밝혔다. 서클이 합병을 연기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앞서 양사는 올해 초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면서 합병 기한을 기존 4월 3일에서 올해 말까지로 한 차례 연기한 바 있다. 양사는 작년 7월 합병하기로 처음 합의했다. 미국 보스턴에 기반을 둔 서클은 미국 달러화 연동 스테이블 코인인 USDC 발행사다. 스테이블코인은 달러화 등 법정화폐에 가치를 고정시킨 암호화폐로 비트코인 등과 달리 변동성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한국산 스테이블코인인 테라와 루나가 붕괴하면서 USDC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 이에 대해 서클 측은 자산을 공개하며 붕괴설을 일축했다. <본보 2022년 7월 5일자 참고 : 'USDC 발행사' 서클 "테라·루나와 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사 서클(Cirble)이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상에서 확산하는 USDC 붕괴설을 일축했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제레미 알레어 서클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인 SNS를 통해 "서클은 재정적으로 가장 강력한 위치에 있으며 우리는 계속해서 투명성을 높일 것"이라며 "서클과 같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신뢰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새로운 규제 프레임워크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고 전했다. 이어 "많은 회사가 근본적인 도전과 위험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우리는 회사와 USDC에 대한 정보 제공을 강화했다"며 "테라가 붕괴된 이후 새로운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서클의 수익률은 담보가 많고 공인된 투자자에게 증권 형태로 제공하며 매우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서클에 따르면 USDC의 준비금은 현금과 3개월 이하 만기의 미국 국채로 구성돼 있다. 지난 5월 13일 기준 준비금 규모는 △현금 116억 달러(15조원·22.9%) △미국 국채 390억 달러(51조원·77.1%) 등 총 506억 달러(약 66조원)에 이른다. 현재 USDC 유통량은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달러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사 서클(Cirble)이 미국 금리인상 수혜 기업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는다. 금리인상으로 달러화의 강세가 예상됨에 따라 USDC의 가치도 높아질 것이란 기대감이 나오고 있어서다. 미국 증시 상장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클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인상을 본격화함에 따라 오는 2023년까지 23억 달러(약 2조7900억원)의 추가 이자 수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서클은 일반적인 은행과 마찬가지로 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에 더 많은 수익을 거둔다. 서클이 새롭게 USDC를 발행하면 고객은 서클 측에 달러를 송금한다. 그런 다음 서클은 USDC의 전환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해당 달러를 현금이나 단기 국채 등과 같은 포트폴리오에 투자한다. 현재 USDC의 미결제액은 530억 달러(약 64조원)로 미국 중형은행에 맞먹는 수준이다. 서클이 발행하는 USDC는 달러화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이다 .스테이블코인은 달러화 등 법정화폐에 가치를 고정시킨 암호화폐로 비트코인 등과 달리 변동성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글로벌 긴축 우려로 암호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뉴욕증시에서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인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사 서클(Cirble)이 기업가치를 두 배로 확대했다.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 시장에서 실물자산과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이 주목을 받으면서 성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클은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콩코드 애퀴지션(Concord Acquisition)과 기업가치를 기존 45억 달러(약 5조3900억원)에서 90억 달러(약 10조7800억원)로 늘린 새로운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앞서 작년 7월 합병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이 계약의 만료일은 오는 4월 3일까지로, 기한 내 합병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선제적으로 계약 갱신에 나선 것이다. 새로운 계약에 따라 연내 합병을 완료할 방침이다. 미국 보스턴에 기반을 둔 서클은 미국 달러화 연동 스테이블 코인인 USDC 발행사다. 스테이블코인은 달러화 등 법정화폐에 가치를 고정시킨 암호화폐로 비트코인 등과 달리 변동성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기준 USDC의 시가총액은 525억
[더구루=홍성환 기자] '돈나무 언니' 캐시 우드가 암호화폐 기업 서클(Circle)과 합병을 추진 중인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에 840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기사코드]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캐시 우드가 이끄는 미국 자산운용사 아크인베스트는 최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한 스팩인 콩코드 애퀴지션(Concord Acquisition) 주식 693만주를 매수했다. 투자 규모는 7060만 달러(약 840억원)에 이른다. 미국 보스턴에 기반을 둔 서클은 미국 달러화 연동 스테이블 코인인 'USDC' 발행사다. 스테이블 코인은 미국 달러와 1:1로 가치 연동을 목표로 하는 가상자산이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15일 현재 USDC의 시가총액은 454억2970만 달러(약 54조600억원)로 전체 암호화폐 가운데 7번째로 크다. 서클은 현재 스팩 합병을 통한 우회 상장을 추진 중이다. 합병기업의 가치는 45억 달러(약 5조3550억원)로 평가를 받는다. 서클은 지난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상장 신청서를 제출하면서 "서클은 전국적인 가상자산 은행으로 거듭날 것"이라며 "대규모 민간 부문 달러 연동 디지털화폐가 가져올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일각에서 불거진 지포스 RTX 50 시리즈 파운더스에디션(FE) 단종설을 부인했다. 엔비디아는 단순히 재고가 소진된 것으로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 대변인은 지포스 RTX 50 시리즈 FE 단종설에 대해 "해당 제품은 계속 생산되고 있다. 한정판 제품이므로 당사 웹사이트에서 수시로 품절됐다가 재입고 시 다시 판매된다"고 밝혔다. FE 제품군은 엔비디아에서 직접 생산한 그래픽카드로, 레퍼런스 그래픽카드라고도 불린다. 다수의 그래픽카드는 엔비디아나 AMD 등에서 생산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을 애드 인 보드(add-in board, AIB) 파트너사에 공급하며, 해당 회사들은 보유하고 있는 냉각 기술 등을 더해 그래픽카드를 만들어낸다. 반면 FE 제품군은 엔비디아가 설계해 제작되며, 통상 한정판으로 판매된다. RTX 50 시리즈 FE 제품 단종설이 나온 이유는 엔비디아 홈페이지 내에서 판매 페이지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엔비디아가 RTX 50 슈퍼 시리즈를 조만간 출시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기존 제품군 중 일부를 단종할 것이라는 루머가 더해졌다. 슈퍼 시리즈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영국에 최대 6GW(기가와트) 규모 소형원전을 개발할 계획이다. 두산에너빌리티, DL이앤씨 등 국내 파트너사와의 동반 진출 기대감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엑스에너지는 15일 영국 에너지 기업 센트리카(Centrica)와 소형원전 공동개발협약(JDA)을 맺었다. 이번 계약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영국 국빈방문을 계기로 이뤄졌다. 양사는 영국 전역에 최대 6GW 규모로 소형원전을 건설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대형 원전 기준으로 4~6기 수준에 해당하는 전력 생산량이다. 경제적 가치는 최소 540억 달러(약 75조원)로 추산된다. 양사는 우선 프랑스 국영 전력공사(EDF)와 협력해 영국 하트풀 원전 부지에 소형원전을 구축할 계획이다. EDF가 운영하는 이 원전은 오는 2028년 폐쇄될 예정이다. <본보 2023년 3월 15일자 참고 : 엑스에너지, 英 소형원전 부지 확정…DL·두산 수혜 기대감> 두 회사는 해당 부지에 최대 960㎿(메가와트) 규모 소형원전 Xe-100 12기를 배치한다. 이를 통해 15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고, 150억 달러(약 21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