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인공호흡기와 호흡치료기 전문기업 멕아이씨에스가 중국 코로나 확산으로 인한 호흡치료기 600대 긴급 대응요청에 대해 출하 완료했다고 10일 밝혔다. 회사는 현재 중국 내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중국 내 자회사인 연태세종의료기계유한공사를 통해서 작년 3분기말 출하된 호흡치료기 HFT500(중국향 HFT100) 200대에 대한 판매를 12월에 완료한 바 있으며, 추가로 400대에 대한 긴급 판매가 합의된 후 1월 초부터 출하를 준비한 물량이 9일까지 전량 중국으로 출하가 완료되어 11일에는 판매가 완료될 예정이다. 멕아이씨에스 이형영 CFO는 “추가 긴급 판매 합의된 400대는 1월 20일까지 출하 예정이었으나 중국의 긴급상황을 고려하여 9일까지 전량 출하를 완료했고, 현재 추가로 공급 물량을 협의하고 있다”며, 이어 “중국이 위드 코로나 정책으로 전환하여 환자수가 급증하는 상황을 고려할 때 호흡치료기에 대한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어 기존 거래업체 외에도 중국 내 다른 업체들과도 공급을 위한 내용을 다각도로 검토 중에 있다”고 말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유일 인공호흡기 및 호흡치료기 전문기업 멕아이씨에스의 인공호흡기 MV2000이 정부의 인도적 차원 긴급 보건의료 용품 지원 품목으로 선정되어 200대를 유럽 향으로 공급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200대에 대한 공급 금액은 약 40여 억 원으로 지난 3월 50대와 4월 60대를 선 공급한 것을 포함하면 누계 310대를 공급하는 것이며, 공급액은 약 60여억원에 해당한다. 멕아이씨에스 이형영 CFO는 "이번 공급은 정부가 인도적 차원으로 인공호흡기를 유럽으로 지원하는 것에 대해 긴급하게 대응한 것으로, 현재 인공호흡기 시장은 주요 부품에 대한 공급 일정 지연으로 반도체 IC(CPU)의 경우 현재 발주 시 조달기간이 1년에 가까운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200여대의 대량 물량을 공급하는 것이 어렵다. 당사는 선 확보한 부품으로 즉시 대응하게 됐다"며 "향후 추가로 지원이 결정된다면 최우선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인공호흡기 및 호흡 치료기 전문 기업 멕아이씨에스는 인도 Allied에 인공호흡기 MV2000 250대를 SKD 형태로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멕아이씨에스는 이미 공급대금에 대한 선금을 일부 수령하였으며, 금주에서 다음 주까지 250대를 전부 출하할 예정이다. 멕아이씨에스 이형영 CFO는 "인공호흡기 공급 방식 중 하나인 SKD 공급은 2020년부터 인도에 본격적으로 진행해오고 있는데 2년여간의 기간을 통해 현재는 관련 사업구조가 안정화되었고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공급이 진행될 예정이다"라며 "또한, 인공호흡기 SKD 공급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사우디에서도 관련 사전 준비가 진행되고 있어 첫 론칭이 조만간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중남미 등 추가 국가에서도 인공호흡기 SKD 공급 관련 협의를 지속하고 있어 인공호흡기를 대리점을 통한 직접 공급과 더불어 해당국에 생산거점을 구축하고 SKD 형태로 공급하는 사업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인공호흡기 및 호흡치료기 전문기업 멕아이씨에스는 ‘창고 및 수직계열화 물류단지 조성’을 위해 40여억원 규모로 회사 인근인 파주시 능안리 토지 6800㎡를 매입 계약을 했다고 22일 밝혔다. 토지 매입 목적은 멕아이씨에스 본사 매출 증가뿐만 아니라 자회사 렌탈사업 매출 증가에 따른 창고 부지 공간확보와 ‘물류 창고 통합 인프라 구성’으로 관련 건축 인허가 절차를 사전에 준비해 왔다. 추가적으로 악세서리 및 부가제품 등의 장기적인 안정적 수급기반 확보와 시장에서의 경쟁력 향상을 통해 ‘사업기회 확대를 위한 수직계열화 추진’ 목적을 반영함으로써 여유부지 확보를 통해 ‘본사-자회사-계열사의 일괄 생산단지’ 구성을 기획할 예정이다. 멕아이씨에스 이형영 CFO는 “이번 투자는 안정적 수직계열화 구축을 통해 위험요소를 낮추고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한편 물류 이동 비용의 경쟁력과 상호 협력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 기반을 마련하여 ‘호흡케어 산업의 수직계열화’를 반드시 성공시키겠다는 의지를 가진 투자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새로운 제품과 확대된 세일즈 네크워크를 기반으로 멕아이씨에스의 향후 매출증가에 대한 안정적인 제조기반 확
[더구루=홍성일 기자] PCI 익스프레스(PCIe) 기능이 없는 USB3 표준으로 AMD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작동할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됐다. 새로운 GPU 연결 기술은 윈도우와 리눅스 뿐 아니라 애플 실리콘 컴퓨터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AMD GPU의 활용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AMD 그래픽처리장치(GPU) 소프트웨어 개발기업 타이니 코프(Tiny Corp)는 USB3 표준으로 AMD 외장 GPU를 작동시키는데 성공했다. 타이니 코프는 17세에 아이폰을 해킹한 천재 해커 조지 호츠(George Hotz)가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조지 호츠는 AMD가 좋은 칩을 생산하고 있지만 소프트웨어 지원이 부실해 시장의 선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타이니 코프를 설립했다. 타이니 호프는 현재 AMD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타이니 코프가 USB3 표준을 기반으로 한 GPU 연결 기술을 개발한 이유는 애플 실리콘 기반 맥(Mac) PC에 AMD GPU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다. 기본적으로 외장 GPU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PCle 슬롯이나 PCle 터널링을 지원하는 썬더볼트/USB4 인터페이스를 이용
[더구루=홍성일 기자] 말레이시아의 월간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입 규모가 역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 정부가 대중국 반도체 제재를 강화한 가운데 말레이시아가 'GPU 밀수 우회로'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말레이시아 정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말레이시아 GPU 수입규모가 27억4000만 달러(약 3조868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급 기록을 세운 3월(19억6000만 달러, 약 2조7650억원) 결과를 뛰어넘은 것이다. 말레이시아의 GPU 수입 규모는 올해 들어 급증하기 시작했다. 1월 11억2000만 달러(약 1조5825억원)를 수입하며 전년동기 대비 700% 가량 증가한 것. 올해 수입량이 급증하면서 연간 누적 수입 규모도 단 4개월만에 지난해 수치를 뛰어넘었다. 말레이시아의 지난해 GPU 수입액은 48억7700만 달러(약 6조8940억원)이었으며,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수입액은 64억5000만 달러(약 9조1164억원)를 기록했다. 기업별로는 엔비디아 GPU가 가장 많이 수입됐다. 말레이시아는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엔비디아 GPU를 53억3000만 달러(약 7조5371억원)어치 수입했다. 이 기간 엔비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