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미국 핀테크 기업 머니라이언(MoneyLion)이 기업고객용 인베디드 금융 플랫폼을 새로 선보였다. [유료기사코드] 머니라이언은 기업고객용 인베디드 금융 플랫폼 '엔진 바이 머니라이언(Engine by MoneyLion)'을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2월 인수한 핀테크 기업 이븐파이낸셜(Even Financial)의 플랫폼을 리브랜딩한 것이다. 임베디드 금융은 비금융 회사가 금융회사의 금융 상품을 중개·재판매할 뿐만 아니라 자사 플랫폼에 핀테크 기능을 내장하는 것을 말한다. 비금융회사는 임베디드 금융을 통해 고객 데이터를 수집한 뒤 이를 상품 판매에 이용할 수 있다. 또 고객의 자사 플랫폼 의존도를 높이는 효과도 얻게 된다. 미국의 자산관리회사 라이트이어 캐피탈은 임베디드 금융의 세계 시장규모가 2020년 225억 달러(약 29조원)에서 2025년 2300억 달러(약 298조원) 규모로 10배 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디 추비 머니라이언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모든 사람이 금융 서비스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미국 핀테크 기업 머니라이언(MoneyLion)이 말레이시아 이슬람금융 전문 인터넷전문은행 면허를 따냈다. [유료기사코드]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중앙은행(BNM)은 이온·머니라이언 컨소시엄을 이슬람금융 전문 인터넷은행 사업자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이들 컨소시엄은 앞으로 2년 내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풍치문 머니라이언 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신용 인수, 사기 탐지, 디자인, 제품 운영에 이르기까지 엔드 투 엔드(end-to-end) 솔루션을 지원하는 최신의 인공지능 기술에 투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머니라이언은 2013년 설립한 핀테크 기업으로 대출·주식 투자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암호화폐 거래 기능도 도입했다. 지난해 1억6490만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4160만 달러 순손실에서 적자 폭이 4배 확대했다. 작년 말 기준 이용자 수는 330만명으로 1년 전보다 129% 증가했다. 한편,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머니라이언·이온 컨소시엄을 비롯해 △부스트홀딩스·RHB은행 컨소시엄 △GXS은행·곽브라더스 컨소시엄 △씨그룹·YTL디지털캐피탈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미국 핀테크 기업 머니라이언(MoneyLion)의 창업자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한 상장이 애초 목표보다 두 배 이상 지연된 이유를 설명했다. 디 추비(Dee Choubey) 머니라이언 최고경영자(CEO)는 투자전문매체 배런스와 인터뷰에서 "처음에는 증시 상장까지 90~100일 정도 소요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는 두 배 이상 걸렸다"며 "스팩은 불완전한 기업공개(IPO) 프로세스"라고 밝혔다. 머니라이언은 지난 2월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돼 있던 스팩인 퓨전애퀴지션(Fusion Acquisition)과 합병 계약을 맺었고, 지난달 22일 거래를 완료하고 상장했다. 추비는 "수많은 스팩이 IPO 서류를 제출했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변호사들이 이 모든 볼륨을 처리하는 데 훨씬 더 많은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그는 "IPO에 성공해 매우 흥분된다"면서 "우리는 사업을 자본화했고, 미래 혁신과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자원에 접근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사모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이제는 실시간으로 자본 시장에 접근할 수 있다"고 덧붙였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최대 배터리 제조사인 엑사이드 인더스트리(Exide Industries, 이하 엑사이드)가 현대자동차와 진행하는 전기차(EV)용 배터리 공동 개발 프로젝트가 순항하고 있다. 현대차는 엑사이드 뿐만 아니라 인도 배터리 제조사 다수로부터 '메이드 인 인디아' 배터리를 공급받아 현지 공급망 체계를 지속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엑사이드는 최근 진행된 투자자콜에서 "자회사인 엑사이드 에너지와 현대차의 계약에 따라 배터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지난해 4월 엑사이드 에너지와 인도 전용 EV 배터리셀 현지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12월에는 MOU의 연장선으로 구속력 있는 배터리 셀 공급 계약도 체결했다. 공시된 자료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법인은 엑사이드 에너지로부터 계약서에 명시된 가격으로 배터리를 공급받는다. 엑사이드 에너지의 배터리 공급은 내년 초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엑사이드 에너지는 현재 벵갈루루에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엑사이드 에너지는 내년 1분기 중으로 해당 공장의 1단계 상업생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공장의 1단계
[더구루=진유진 기자] 캐나다 광산기업 퍼스트 퀀텀 미네랄(First Quantum Minerals)이 파나마의 구리 광산 재가동에 대해 "조심스럽게 낙관적"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이 광산은 한국광해광업공단(KOMIR)이 공동 투자한 사업으로, 지난 2023년 11월부터 1년 5개월째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퍼스트 퀀텀은 코브레 파나마 광산 법인을 통해 파나마 정부를 상대로 제기했던 국제 중재 소송을 지난 달 자진 철회한 이후, 파나마 정부와의 협상 여건이 개선될 수 있다는 기대를 드러냈다. 최근 파나마 당국은 광산에 비축된 구리 정광 수출과 퍼스트 퀀텀이 운영 중이던 화력 발전소 재가동을 허용하는 방안을 두고 법적 논의를 시작했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광산을 국가 자산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민관 파트너십 모델을 검토 중이다. 그는 "광산 영구 폐쇄에는 최대 15년이 걸릴 수 있다"며 "우리가 이미 보유한 광산으로부터 파나마 국민이 최대한의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현명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초 환경 감사에서 시작된 광산 재검토는 재무적 측면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BMO 캐피털 마켓의 매트 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