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르노의 전기차 자회사 암페어와 첨단 팩 디자인인 '셀투팩(Cell-to-Pack, CTP)' 개발에 힘을 합친다. CTP 기반 LFP를 올해 말부터 5년 동안 약 39GWh 공급한다. CTP 양산 전부터 선제적으로 고객사를 확보해 기술 리더십을 증명했다. 2일 르노에 따르면 암페어는 LG에너지솔루션과 CTP 기술 기반 파우치형 LFP 개발에 협력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폴란드 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공급한다. 2025년 말부터 2030년까지 총 5년 동안 약 39GWh를 납품한다. 이는 순수 전기차 약 59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CTP는 '셀-모듈-팩'으로 이어지는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모듈을 생략하는 기술이다. 셀을 팩 내부에 직접 조립해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부품 수가 줄어 비용 절감에 유리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3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에서 파우치형 CTP를 최초로 공개했다. 이 배터리는 무게당 에너지 밀도를 약 5% 수준으로 높게 설계할 수 있다. 팩강성을 높이고 검증된 열 전이 방지 기술을 적용해 안정성도 향상됐다. 내년 양산을 목표로 완성차 고객사들과도 활발히 공급
[더구루=오소영 기자] 프랑스 르노그룹이 현지 전기차 배터리 스타트업 '베르코어'로부터 배터리를 공급받는다. 연간 12GWh 규모로 조달해 2025년 생산 예정인 프리미엄 신차에 탑재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프랑스 완성차 업체 르노와 미국 수소 회사 플러그파워의 합작사 '하이비아'(HIVIA)가 내년부터 수소차 3종 판매를 시작한다. 5분 이내 충전이 가능한 급속 충전소도 개발하고 유럽 시장을 공략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카드가 르노삼성 지분 매각을 추진하는 가운데 삼성과 프랑스 르노의 결별이 양사 모두에게 이익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은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며 배터리와 전장 등 '미래 먹거리'에 힘을 실을 수 있게 됐다. …글로벌데이터 애널리스트 분석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데이터(GlobalData)의 바카르 사딕 아관(Bakar Sadik Agwan) 애널리스트는 2일 삼성카드의 르노삼성 지분 처분에 대해 "삼성과 르노 모두에게 윈윈(Win-Win)"이라고 평가했다. 삼성카드는 지난달 르노삼성 지분 19.9%를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르노삼성은 삼성카드와 르노그룹(80.04%), 우리사주조합(0.06%)으로 구성된다. 아관 애널리스트는 "삼성의 탈퇴는 그룹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사업 구조조정의 일환"이라며 "대주주인 르노도 매출 감소와 제조비, 인건비 증가 등으로 위축되고 있는 내수 사업의 최적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완성차 사업을 26년간 지속해온 삼성의 매각 결정에 주목했다. 아관 애널리스트는 "2020년은 한국의 르노삼성에 힘든 한 해였다"며 "내수 판매는 2004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수출은 약
[더구루=오소영 기자] 프랑스 르노가 호주 벌칸 에너지(Vulcan Energy)와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을 공급받는다.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확보해 전기차 업체로의 탈바꿈에 속도를 낸다. 르노는 2일(현지시간) "세계적인 리튬 개발업체 벌칸 에너지와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르노는 벌칸 에너지로부터 2026년부터 연간 6000~1만7000t의 리튬을 수급한다. 계약 기간은 5년으로 상호 합의 하에 연장 가능하다. 벌칸 에너지는 독일 남서부 라인강에서 지열발전소로 이용한 리튬 추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깊은 암석층에 뜨거운 물을 넣어 리튬을 용해하는 저공해 방식을 활용해 주목을 받고 있다. 2024년 생산을 목표로 17억 유로(약 2조3210억원)를 투자했다. 지난달에는 LG에너지솔루션과 1만t 공급 계약을 맺은 바 있다. 글로벌 4위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와도 리튬 공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르노는 이번 계약으로 50kWh 배터리 기준 300~700㎏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2050년 탄소 중립 목표에 한걸음 다가서게 됐다. 리튬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전기차 전환에 전력투구한다. 르노는 2025년까지 전기차 모델 10종
[더구루=오소영 기자] 프랑스 르노가 중국계 기업 엔비전AESC, 프랑스 스타트업 베르코(Verkor), ACC(Automotive Cells Company)와 전기차 배터리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 공급망을 다변화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수급하고 전기차 기업으로의 변신에 총력을 기울인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르노와 엔비전AESC의 배터리 공급 계약 체결이 임박했다. 르노의 전기차 생산기지가 있는 프랑스 북부 두에에 엔비전AESC가 배터리 공장을 만들어 제품을 납품한다. 투자비는 약 29억 달러(약 3조2800억원)로 배터리 공장은 연간 43GWh 생산용량을 갖출 전망이다. 공장에서 만든 배터리의 절반은 프랑스 자동차 제조사에 공급된다. 엔비전AESC는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에 배터리를 공급한 바 있다. 과거 거래 이력을 토대로 르노에 공급량을 늘리며 전기차 허브 지원군으로 떠오르고 있다. 르노는 베르코에 지분 투자도 모색하고 있다. 지난해 설립된 베르코는 프랑스에서 배터리 16GWh 규모의 배터리 생산시설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연내 공장이 들어설 지역을 공개할 계획이다. 엔비전AESC, 베르코와 함께 프랑스 푸조시트로엥그룹(PSA)과 토탈의 자회사
[더구루=오소영 기자] 완성차 업체 르노가 '메이드 인 프랑스(Made IN France)' 전략을 강화한다. 프랑스 북부 주요 사업장 3곳을 전기차 관련 시설로 바꾸고 연간 40만대를 생산한다.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공장에서 만든 배터리를 탑재하며 돈독한 파트너십을 이어간다. 르노는 9일(현지시간) 전기차 전략의 일환으로 '르노 일렉트릭시티(Renault ElectriCity)'를 발표했다. 이는 프랑스 두에와 모브쥬, 루츠 사업장을 중심으로 2025년까지 연간 40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하는 구상을 담는다. 전기차 투자로 2024년까지 700개 일자리를 창출한다. 르노는 두에 공장에서 메간 E-테크 일렉트릭(이하 메간E)와 후속 모델로 B·C세그먼트(소형·준중형) 차량을 생산할 예정이다. 모브쥬 공장에선 다목적 전기 밴 '캉구'(Kangoo)를 만든다. 메르세데스-벤츠와의 합작품인 시탄처럼 캉구를 개량한 차량도 2023년까지 전기차 버전으로 양산한다. 루츠는 전기 부품 생산시설로 활용된다. 르노의 계획은 현지 노조에 환영을 받고 있다. 르노는 노조와 세 사업장 개조를 승인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하고 전기차 공장으로의 전환을 순탄하게 진행하고 있다. 배터리
[더구루=홍성일 기자] 프랑스가 유럽 최강 성능의 군용 슈퍼컴퓨터 '아스가르드(Asgard)'를 본격 가동하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아스가르드를 활용해 군사 인공지능(AI) 개발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텍사스주가 데이터센터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페르미 아메리카와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주요 기업들이 투자를 추진하며 한국 기업들의 현지 진출이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