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투자경영 전문가 테즈칸 게길은 24일 투자전문매체 인베스터플레이스 기고를 통해 유망한 전기차 배터리 종목 4곳을 추천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전기차 배터리 스타트업 로미오파워가 현지 자동차 부품사 '보그워너'(BorgWarner)로부터 합작사 지분 전량을 인수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전기차용 배터리 회사 로미오파워가 현지 투자은행으로부터 추가 투자를 받았다. 연이은 투자 유치로 보유 자금을 확대하며 생산능력 확장에 속도를 낸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배터리 팩 회사 로미오파워가 캘리포니아에서 테스트·제조 역량을 강화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로미오파워는 캘리포니아 사이프러스에 21만5000ft² 규모의 시설을 임대했다. 여기에는 19만1000ft²의 상업 공간이 포함된다. 로미오파워는 본사 겸 테스트·생산시설로 활용할 계획이다. 테스트 용량을 두 배 늘리고 제조 능력을 확대한다. 향후 6~9개월 이내에 새 시설로 이전을 마친다. 로미오파워는 선제적인 투자로 글로벌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이 회사는 제한된 공간 안에 많은 셀을 넣고 발열을 방지하는 패키닝 소재를 개발했다. 세계 최대 트럭 제조사 피카 그룹, 미국 수소 트럭업체 니콜라와 계약을 맺으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향후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와 맞물려 고객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전기차 수요를 지난해 310만대에서 2030년 5180만대로 17배 성장할 전망이다. 배터리 수요도 같은 기간 139GWh에서 3254GWh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잔 브레넌 로미오파워 최고경영자(CEO)는 "새 연구·생산거점 구축은 로미오파워에 중요한 이정표"라며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로미오 파워가 다이넥서스 테크놀로지(Dynexus Technology, 이하 다이넥서스)와 배터리 품질 테스트에 손을 잡는다. 다이넥서스의 센서 기술을 적용해 배터리 성능을 검증하고 신뢰 확보에 매진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로미오 파워는 다이넥서스와 전기차 배터리 성능 검증에 협력한다. 다이넥서스의 iRIS(Inline Rapid Impedance Spectroscop) 센서를 활용해 초기 배터리 셀 품질 관리부터 모듈·팩 성능 진단까지 실시한다. iRIS 센서는 배터리 내부를 들여다보며 배터리 상태와 안전성, 성능 저하 등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통상 30분이 걸리는 검증 시간도 다이넥서스의 센서를 활용하면 10초 이하로 줄어든다. 로미오 파워는 자체 연구소에서 iRIS 센서를 테스트해 정확성을 확인했다. 차기 배터리에 이 센서를 적용해 우수한 품질을 보장하겠다는 전략이다. 로미오 파워는 테슬라와 패러데이퓨처 출신들이 2016년 캘리포니아에 세운 배터리 팩 회사다. 제한된 공간 안에 많은 셀을 넣고 발열을 방지하는 패키닝 소재를 개발해 주목을 받았다. 세계 최대 트럭 제조사 피카 그룹, 미국 수소 트럭 업체 니콜라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토요타그룹의 무역상사 토요타통상이 미국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이 유럽연합(EU)으로부터 승인을 확보했다. 주요국의 허가 절차를 잇따라 통과하며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과 자원 순환 체계 구축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DL이앤씨와 두산에너빌리티의 파트너사인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핵연료 제조시설 착공에 들어갔다. 지난 8월 건설 착수를 알린 엑스에너지는 그동안 부지정리 작업을 마무리한 후 지상건설에 본격 돌입했다. 엑스에너지의 핵연료 제조시설 건설로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 자국화가 가속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