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 회사와 합병을 추진 중인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가 증권법 위반 혐의와 관련해 미국 증권당국과 합의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합병이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나스닥에 상장된 스팩인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증권법 위반 혐의에 대해 잠정적으로 합의했다고 5일 밝혔다. 이에 DWAC는 1800만 달러(약 230억원)의 벌금을 낼 예정이다. DWAC는 앞서 지난 2021년 10월 트럼프가 설립한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TMTG)과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이후 증권법 위반 혐의 등이 불거지면서 2년 가깝게 지연되고 있다. 양사가 합병 계약을 체결하기 전인 2021년 3월부터 논의를 시작했다는 의혹을 제기됐다. 미국 증권법은 스팩이 증시에 상장하기 전 합병 파트너 간 논의를 금지하고 있다. DWAC는 그해 9월 말 상장했다.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관련 의혹을 조사 중이다. TMTG는 지난해 2월 소셜미디어(SNS) 서비스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출시했다. 이는 작년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 회사와 합병을 추진 중인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가 나스닥 상장폐지 조치에 항소한다. [유료기사코드] 나스닥에 상장된 스팩인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은 1일(현지시간) "나스닥 상장폐지 통지에 대해 항소하기로 결정했다"며 "일부 미납한 수수료를 지불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DWAC는 트럼프가 설립한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TMTG)과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지난 2021년 10월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증권법 위반 혐의 등이 불거지면서 1년 반째 합병이 지연되는 상황이다. 양사는 합병 계약을 체결하기 전인 2021년 3월부터 논의를 시작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미국 증권법은 스팩이 증시에 상장하기 전 합병 파트너 간 논의를 금지하고 있다. DWAC는 같은 해 9월 말 상장했다.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관련 의혹을 조사 중이다. TMTG는 작년 2월 소셜미디어(SNS) 서비스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출시했다. 이는 작년 1월 트럼프가 지지자들의 미 의회 폭동 사건 후 트위터와 페이스북으로부터 퇴출당한 데 따른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증권당국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 회사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간 합병 거래에 대해 조사를 확대하고 있다. 이에 합병 무산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스팩인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은 13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TMTG)과 거래와 관련해 더 많은 정보를 요청했다"며 "이로 인해 거래가 지연될 수 있다"고 밝혔다. SEC는 DWAC와 TMTG이 사전 합의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작년 말 조사를 시작했다. 양사는 작년 10월 합병 계약을 체결했는데, 이에 앞서 3월부터 이미 논의를 시작했다는 주장이 일각에서 나왔다. 미국 증권법은 스팩이 증시에 상장하기 전 합병 파트너 간 논의를 금지하고 있다. DWAC는 지난해 9월 말 상장했다. TMTG는 지난 2월 소셜미디어(SNS) 서비스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출시했다. 이는 작년 1월 트럼프가 지지자들의 미 의회 폭동 사건 후 트위터와 페이스북으로부터 퇴출당한 데 따른 것이다. 퇴출 당시 트럼프는 트위터 팔로워 8900만명, 페이스북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인 '트루스 소셜(Truth Social)'과 합병을 추진 중인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가 올해 하반기 상장을 완료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스팩인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에서 기존 투자자들의 보유한 최대 1억주를 상장지분 사모투자(PIPE)를 통해 재판매할 계획이라하고 공개했다. 트루스 소셜 운영사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TMTG)과 디지털월드애퀴지션은 앞서 작년 10월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 트럼프는 지난해 1월 지지자들의 미 의회 폭동 사건 후 트위터와 페이스북으로부터 퇴출당했다. 퇴출 당시 트럼프는 트위터 팔로워 8900만명, 페이스북 팔로워 3500만명에 달했다. 한편, SEC는 작년 말 두 회사의 합병과 관련해 규정 위반 조사를 시작했다. 합병 소식이 알려진 직후 두 회사가 지난해 3월부터 합병을 논의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미국 증권법은 스팩이 증시에 상장하기 전 합병 파트너 간 논의를 금지하고 있다. DWAC는 9월 말 상장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 합병을 추진 중인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설립한 소셜 미디어(SNS) 플랫폼이 실제 매출 없이도 기업가치가 최대 13조원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척 존스 포브스 칼럼니스트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최근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이 공개한 투자 안내서를 보면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TMTG)은 기업공개(IPO)를 통해 10억 달러(약 1조1900억원)의 상장지분 사모투자(PIPE)를 유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실제 IPO에 성공하면 발행 주식은 현재 3720만주에서 최대 2억2500만주까지 늘어난다"면서 "지난달 29일 종가(51.91달러) 기준 DWAC와 TMTG의 가치는 19억 달러(약 2조2600억원) 수준인데 발행 주식이 2억2500만주로 늘면 시가총액은 117억 달러(약 13조9200억원)까지 치솟게 된다"고 분석했다. 존스는 "TMTG는 수익 창출 첫해인 2023년 매출 1억1400만 달러(약 1400억원)에서 2026년 37억 달러(약 4조4000억원)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한다"면서 "다만 이러한 전망은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설립한 소셜 미디어(SNS) 플랫폼 회사와 합병을 추진 중인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가 사기 혐의로 소송을 당했다. 최근 스팩 합병 규정 위반 의혹에 대한 미국 규제당국의 조사가 시작된 데 이어 악재가 겹쳤다. [유료기사코드]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브라이언 셰블랜드 블루스톤캐피탈매니지먼트 최고경영자(CEO)는 패트릭 올랜도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 CEO를 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셰블랜드는 자신이 트럼프미디어앤드테크놀로지그룹(TMTG)와 DWAC 간 합병 계약을 성사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에도 올랜도가 애초 합의를 위반해 그를 합병기업의 이사 자리에서 제외했고 주식도 사취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지난 10월 TMTG와 DWAC를 합병하고 자체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출범시킬 것이란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트럼프는 지난 1월 6일 지지자들의 미 의회 폭동 사건 후 트위터와 페이스북으로부터 퇴출당했다. 퇴출 당시 트럼프는 트위터 팔로워 8900만명, 페이스북 팔로워 3500만명에 달했다. 한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두 회사의 합병과 관련해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소셜미디어(SNS)와 합병을 추진 중인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가 월가 큰손들에게 투자 구애를 시작했다. 10일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나스닥에 상장된 스팩인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은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TMTG)과의 합병과 관련해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상장지분 사모투자(PIPE) 기업설명회(IR)를 추진 중이다. DWAC는 PIPE를 통해 5억 달러(약 58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앞서 지난달 20일 TMTG과 DWAC을 합병하고 자체 SNS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출범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소식이 알려진 직후 DWAC 주가가 폭등하면서 지난달 22일 94.20달러(약 11만780원)를 기록, 이틀새 10배 가깝게 뛰었다. 다만 9일 현재 주가는 57.30달러(약 6만7380원)로 최고점 대비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6일 지지자들의 미 의회 폭동 사건 후 트위터와 페이스북으로부터 퇴출당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트위터 팔로워 8900만명, 페이스북 팔로워 350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소셜미디어(SNS)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간 합병과 관련해 증권법 위반 가능성이 제기됐다. 스팩이 미국 증시에 상장되기 이전부터 양측 간 협상이 시작됐다는 의혹이 나온 것이다. 미국 뉴욕타임즈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트럼프와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 설립자인 패트릭 올랜도가 최소 지난 3월부터 합병 거래를 논의하며 증권법을 위반했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앞서 지난달 20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기업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TMTG)과 나스닥에 상장된 스팩인 디지털월드애퀴지션을 합병하고 자체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출범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6일 지지자들의 미 의회 폭동 사건 후 트위터와 페이스북으로부터 퇴출당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트위터 팔로워 8900만명, 페이스북 팔로워 3500만명에 달했다. 이 소식이 알려진 직후 주가가 폭등하면서 지난달 22일 10배 가깝게 치솟았다. 이후 등락을 반복하며 지난 29일 현재 67.75달러(약 7만9550원)로 20일 이후로 580%나 상승했다. 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IE)로부터 '호라이즌' 지식재산권(IP) 표절로 소송을 당한 텐센트가 논란이 된 게임의 핵심 홍보 자료를 조용히 수정·삭제했다. 소송 제기 직후 이뤄진 조치가 향후 재판에서 텐센트에 어떻게 작용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Light of Motiram)'의 스팀 페이지의 주요 이미지와 트레일러, 게임 설명 등을 대거 수정했다. 텐센트가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주요 이미지 등을 수정한 배경에는 SIE와의 소송이 있다. SIE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텐센트의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이 자사의 대표작인 호라이즌 시리즈를 표절했다며 저작권·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고소장에 따르면 SIE는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캐릭터, 기계 생명체 디자인, 아트 스타일, 세계관 등 많은 부분이 호라이즌과 유사하다며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설명했다. SIE는 거대 로봇이 지배하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 붉은 머리의 여성 주인공, 귀에 착용하는 '포커스'와 유사한 장치 등 구체적인 유사점을 증거로 제시했다. 또한 텐센트가 호라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오픈AI의 최신 인공지능(AI) 모델 'GPT-5' 출시를 기점으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 샘 알트만 오픈AI CEO 간의 설전이 벌어졌다. AI패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는 기업 수장 간의 설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CEO는 최근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오픈AI가 MS를 산 채로 잡아먹게 될 것"이라는 경고성 글을 올렸다. 이를 두고 MS가 막대한 투자를 통해 키운 오픈AI에게 결국 주도권을 빼앗길 것이라는 의미가 담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론 머스크의 글은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GPT-5를 도입했다고 발표한 내용을 공유하며 작성됐다. 나델라 CEO는 8일(현지시간) X를 통해 "GPT-5를 MS 365 코파일럿, 깃허브 코파일럿, 애저 AI 등 자사 플랫폼 전반에 탑재했다"며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금까지 가장 유능한 모델을 선보이게 됐다. 놀라운 발전 속도"라고 소개했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일론 머스크의 조롱 섞인 반응에 대해 여유로운 반응을 보였다. 나델라 CEO는 "사람들은 50년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