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이 2028년 7조원을 넘긴다. 재생에너지 시장의 성장과 정부 지원으로 ESS 시장이 폭풍 성장하며 한국 기업들에 수혜가 예상된다. 21일 코트라 콜카타무역관과 인도 시장조사기관 모르도르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인도 ESS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이 11%를 초과해 2028년 52억7000만 달러(약 7조16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인도가 140~200GW에 달하는 세계 최대 ESS 설비용량을 보유할 것으로 예상했다. 인도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는 기업은 일본 도시바와 미국 AES, 대만 델타 일렉트로닉스, 인도 아마라 라자 등이다. AES와 일본 미쓰비시, 인도 타타파워는 델리에 10㎿급 BESS를 설치했다. 인도 마힌드라 수스텐은 구자라트주에 6㎿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15㎿급 BESS를 연동하는 사업을 수행했다. 인도 SECI(Solar Energy Corporation of India Limited)는 라자스탄 지역에 500㎿/1000㎿h 규모 독립형 BESS를 설치할 예정이다. NTPC 리뉴얼 에너지도 동일한 지역에 250㎿/500㎿h 규모 ESS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ESS
[더구루=오소영 기자] 도시바 인수전의 주요 후보인 일본산업파트너스(JIP)가 일본 국부펀드인 일본투자공사(JIC)와 결별했다. JIP는 일본 생명보험사 닛폰생명보험을 포함해 전력·철도회사 등 일본 기업들로만 구성된 대규모 컨소시엄을 꾸리고 JIC는 해외 기업들과 협력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JIP는 도시바 인수를 위한 JIC와의 협력을 중단했다. 양사는 컨소시엄을 꾸려 입찰에 나섰고 지난 7월 적격인수후보(쇼트리스트)에 선정된 바 있다. 1차 관문을 통과한 곳은 JIP 컨소시엄을 포함해 미국 베인캐피털, 영국 CVC캐피털파트너스, 캐나다 인프라 전문 펀드인 브룩필드 등 4곳이다. JIP와 JIC는 도시바의 구조조정안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양사가 헤어지며 JIP는 일본 내 다른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꾸릴 것으로 예상된다. JIP는 앞서 일본 대형 전력회사 주부전력과 종합 금융그룹 오릭스, 철도회사 JR도카이 등 현지 기업 10곳에 참여를 요청했다. 닛폰생명보험과도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출자가 확정되면 각각 수십억 엔에서 약 1000억엔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JIC는 쇼트리스트에 포함된 해외 기업들과 협력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세계 10대 사모펀드인 미국 베인캐피탈이 일본 도시바 인수에 성공하면 회사를 쪼개지 않고 현 경영진을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 사모펀드의 인수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달래고자 애를 쓰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유지 스기모토(Yuji Sugimoto) 베인캐피탈 아시아 사모펀드 공동 대표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일본 니케이아시아에서 "도시바 사업을 유지하고 자산 처분을 자제하겠다"며 "해체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베인캐피탈은 (도시바) 그룹을 발전시키고자 현 경영진과 함께 개혁을 추진할 준비가 돼 있다"며 인수 의지를 피력했다. 향후 도시바 운영 계획에 대해서도 "비용 절감보다 사업 확대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도시바는 2015년 회계 부정과 이듬해 미국 원전 자회사의 손실 등으로 위기에 처했다. 기업가치를 제고하고자 반도체 담당 디바이스와 인프라서비스 사업 등 2개로 분할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지난달 임시주주총회에서 행동주의 펀드 등의 반대로 무산됐다. 도시바의 최대 주주인 에피시모캐피털을 비롯한 행동주의 펀드들은 통매각을 주장해왔고 베인캐피탈이 인수 의사를 내비쳤다. 베인캐피탈은 에피시모캐피털과 주식 공개매수(TOB) 시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의 핵심 공급망 업체인 중국의 럭스쉐어(Luxshare Precision Industry)가 홍콩 증권거래소(HKEX)에 2차 상장을 신청했다. 럭스쉐어는 이번 상장을 통해 고객사 다변화와 기술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자본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홍콩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럭스쉐어는 18일(현지시간) HKEX에 상장 신청 서류를 제출했다. 럭스쉐어는 현재 중국 선전거래소에 상장돼 있으며, 이번에 HKEX에서는 2차 상장을 진행하게 됐다. 2차 상장은 기존에 상장된 거래소 외 새로운 거래소에 상장하는 것으로 자금조달, 시장 평가, 거래량 등 다양한 이유로 추진되고 있다. 2차 사장은 이미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1차 상장에 비해 심사가 상대적으로 덜 엄격해, 빠른 상장이 가능하다. 럭스쉐어는 중국 본토 기업 중 유일한 아이폰 조립 업체로, 에어팟과 비전프로 헤드셋 등 애플 제품을 다수 생산하고 있다. 럭스쉐어는 대만 위스트론(Wistron) 중국 쿤산 공장을 인수하며 아이폰 생산을 시작했다. 2024년 기준 아이폰 70% 가량은 폭스콘이 생산하고 있으며, 2대 생산업체인 럭스쉐어는 25%를 생산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s, EHR) 솔루션 기업 에픽시스템즈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자회사와 손잡고 인공지능(AI) 기반 자동 문서 작성 도구를 출시한다. 에픽시스템즈가 뒤늦게 AI 기능을 추가하지만, EHR 시장 지배력을 앞세워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에픽시스템즈는 MS의 의료솔루션 자회사 뉘앙스(Nuance), 의료용 음성 인식 AI 솔루션 기업 에이브릿지(Abridge)와 손잡고 새로운 의료용 AI 자동 무선 작성 도구를 개발하고 있다. 의료용 AI 자동 무선 작성 도구는 AI스크라이브라고 불린다. 에픽시스템즈의 AI스크라이브는 기존 EHR 솔루션에 뉘앙스와 에이브릿지의 기능을 탑재하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구체적인 작동 방식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에이브릿지의 AI 음성 필사 기능을 바탕으로, 자동으로 의료기록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 전 과정에서 작성되는 문서를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에픽시스템즈는 이미 일반적인 AI스크라이브 시장이 포화 상태에 있는만큼 더욱 강력한 자동화 솔루션이 필요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