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지난해 미국 증시에 상장한 브라질 최대 인터넷전문은행 누뱅크가 주가 하락과 보호예수(락업) 기간 종료에도 투자자 이탈 우려가 없음을 자신했다. [유료기사코드] 다비드 벨레즈 누뱅크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19일 로이터통신에 "락업 기간이 만료된 후에도 대부분 투자자들이 계속 주식을 보유할 것이란 의사를 내비치고 있다"고 밝혔다. 누뱅크는 작년 12월 미국 증시에 상장한 이후 주가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18일 현재 주가는 3.82달러로 공모가 대비 60% 넘게 하락했다. 이런 가운데 이주 초 락업 기간이 끝나면서 투자자 이탈 우려가 제기됐다. 누뱅크는 1분기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누뱅크는 1~3월 신규 고객이 570만명 늘었다. 이에 전체 고객은 5960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다. 1분기 총매출은 8억7720만 달러(약 1조1170억원)로 전년보다 226% 늘었다. 총이익은 2억9410만 달러(약 3750억원)로 전년 대비 131% 증가했다. 조정 순이익은 1010만 달러(약 130억원)로 전년 같은 기간 순손실에서 흑자 전환했다. 누뱅크는 2013년 5월 영업을 시작한 인터넷은행이다. 현재 4800만명 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워런 버핏이 투자한 브라질 최대 인터넷전문은행 누뱅크가 약 8000억원에 이르는 자금을 확보했다. 멕시코, 콜롬비아 등 중남미 지역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누뱅크는 모건스탠리와 씨티그룹, 골드만삭스, HSBC 등 글로벌 투자은행(IB)로 구성된 대주단과 6억5000만 달러(약 8000억원) 규모 신용한도 약정을 맺었다. 이번 신용한도 약정은 멕시코 페소와 콜롬비아 페소로 이뤄졌다. 누뱅크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멕시코와 콜롬비아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기술·상품 개발, 고객 기반 확대, 고용 등에 투입할 예정이다. 누뱅크는 멕시코와 콜롬비아에서 각각 140만명, 11만4000명의 고객을 보유 중이다. 누뱅크는 2013년 5월 영업을 시작한 인터넷은행이다. 현재 4800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한 브라질 최대 인터넷은행으로 성장했다. 브라질 상파울루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멕시코, 콜롬비아 등에 진출했다.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가 지난해 6월 이 회사에 5억 달러(약 6160억원)를 투자하며 주목을 받았다. 이외에더 글로벌 벤처캐피털
[더구루=홍성환 기자] 세계 최대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가운데 하나인 갈라게임즈가 발행한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가 올해 들어 4만% 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가장 주목을 받았던 암호화폐인 도지코인은 3000%로 13위에 머물렀다. 30일 브라질 인터넷전문은행 누뱅크(Nubank)가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코인시황 중계사이트 코인마켓캡에서 갈라(GALA) 코인은 올해 들어 지난 17일까지 4만4390%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세계 암호화폐 가운데 가장 큰 상승폭이다. 갈라 코인은 갈라게임즈가 발행한 암호화폐다. 액시인피니티(AXS) 코인이 1만5647%로 2위에 올랐다. 이 코인은 베트남 블록체인 게임업체 스카이마비스가 개발한 대체불가능한토큰(NFT)이다. 엑시인피니티는 이더리움 기반 블록체인 게임으로, '엑시'라고 불리는 게임 캐릭터를 NFT로 만들어 거래할 수 있다. 이어 △샌드박스(SAND) 1만2970% △폴리곤(MATIC) 1만1260% △테라(LUNA) 9598% △솔라나(SOL) 9238% △팬텀(FTM) 7944% △카데나(KDA) 7458% △하모니(ONE) 4481% △디센트럴랜드(MANA) 3555% 순으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자회사 미국 보스턴다이내믹스의 4족 보행 로봇 '스팟(Spot)'이 미국에서 경찰특공대로 변신했다.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스팟이 적용 범위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루이지애나주 레이크찰스 경찰은 스팟을 새로운 SWAT(Special Weapons And Tactics) 다목적견으로 도입했다. 스팟은 정찰, 화학물질 탐지 등 특수 임무에 투입된다. 레이크찰스 경찰은 이전부터 스팟을 도입해 운용하고 있었다. 지난해 8월에는 지역 행사를 통해 공개한 바 있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레이크찰스 경찰에 투입된 스팟은 1개의 팔과 360도 감시가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돼 있다. 팔에는 물건을 집을 수 있도록 집게형태의 손이 연결됐다. 스팟은 해당 손과 팔을 통해 문도 열고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스팟은 4개의 다리를 통해 걷고, 앉고, 기어가기 등이 가능하다. 지난달 보스턴다이내믹스가 공개한 영상에 따르며 상부에 별도의 장비가 장착되지 않은 스팟은 사이드플립(옆돌기), 백플립(뒤돌기) 등이 가능하다. 조종 편의성도 높였다. 이번에 공급된 스팟은 휴대용 게임기와 같은 형태의 컨트롤러로 조정할
[더구루=김예지 기자] 애플에 얼굴 인식용 센서 웨이퍼를 공급하는 영국의 복합 반도체 제조업체 IQE가 실적 부진으로 회사 매각 가능성을 공식 검토 중이다. 글로벌 스마트폰 수요 둔화와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관세 부담이 겹치며 수익성에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유료기사코드] IQE는 9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증권거래소(LSE)를 통해 "지속적인 전략 검토의 일환으로 회사 매각을 포함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다. 잠재 매수자들과도 초기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영국 카디프에 본사를 둔 IQE는 미국과 대만에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무선통신 부품 사업이 세계 스마트폰 수요 둔화의 직격탄을 맞아 실적 부진에 빠졌다. 여기에 미국 정부의 반도체 관세 정책까지 부담으로 작용하며, 당분간 어려움이 계속될 전망이다. 이에 IQE는 부채 부담 완화와 관세 영향 최소화를 위해 일부 생산 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부터 이어져 온 외국 기업의 미국 내 생산 확대 유도 정책과 맞물려 있다. IQE는 올해 예상 실적을 수정해, 270만 달러(약 37억원)의 이익을 내거나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