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동남아시아 최대 차량 호출, 물류 기업으로 성장한 그랩이 일본 자본들과 함께 소매금융회사 홈크레디트(Home Credit) 동남아시아·인도 자산 인수 최종 후보 명단에 포함됐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동남아의 우버'로 불리는 차량공유 및 배달 서비스 업체 그랩(Grab)이 나스닥에 성공적으로 상장했다. 2일(현지시간)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한 그랩은 8.75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그랩 주식은 'GRAB'이라는 종목 코드로 거래를 시작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그랩은 증시 상장을 위해 미 투자회사 알티미터가 출범한 스팩 '알티미터 그로스'와 합병했다. 그랩은 2012년 말레이시아에서 차량 호출 서비스로 출발했다. 이후 배달 서비스는 물론 금융, 간편결제, 쇼핑, 예약, 보험 가입 등을 망라한 종합 경제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애초 라이벌 기업인 인도네시아 '고젝'과 합병을 추진하기도 했지만, 협상이 결렬되면서 IPO로 방향을 바꿨다. 그랩이 상장에 성공하면서 이 회사에 투자한 국내 기업들(SK, 현대차, 미래에셋증권, 네이버) 또한 큰 수익을 거둘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8년 SK는 그랩에 2억3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018년 그랩에 2억7500만 달러를, 미래에셋증권과 네이버는 공동 조성한 미래에셋-네이버 아시아그로쓰 펀드를 통해 1억5000만 달러를 그랩에 투자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동남아의 우버'로 불리는 차량공유 및 배달 서비스 업체 그랩(Grab)이 미국 증시 입성을 눈앞에 뒀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그랩과 합병을 추진 중인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알티미터그로스(Altimeter Growth)는 오는 30일(현지시간)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두 회사의 합병안을 처리할 예정이다. 이 안건이 주총을 통과하면 그랩은 내달 초 나스닥에서 거래를 시작하게 된다. 그랩은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40억 달러(약 4조7480억원)의 상장지분 사모투자(PIPE)를 포함해 총 45억 달러(약 5조3420억원)의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 합병기업의 가치는 400억 달러(약 47조4800억원)로 예상된다. 그랩은 2012년 말레이시아에서 차량 호출 서비스로 출발한 기업이다. 배달 서비스는 물론 금융, 간편결제, 쇼핑, 예약, 보험 가입 등을 망라한 종합 경제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그랩은 애초 라이벌 기업인 인도네시아 고젝과 합병을 추진했지만, 협상이 결렬되면서 IPO로 방향을 바꿨다. <본조 2021년 3월 12일자 참고 : "쿠팡에 자극?" 그랩, 美 상장 속도…SPAC 합병 검토> 그랩이 상장
[더구루=김다정 기자] 그랩이 월트디즈니와 손을 잡고 동남아시아 사용자를 위한 현지화된 공동 브랜드 캠페인을 진행한다. 그랩은 1일(현지시간) 월트디즈니 컴퍼니 동남아시아와 제휴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의 그랩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디즈니 테마 보상과 이벤트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모든 시장의 그랩 플래티넘 사용자는 그랩 리워즈 카탈로그에서 마블 스튜디오에서 최근 개봉한 영화 '이터널스' 무료 티켓을 받을 수 있다. 싱가포르 그랩 사용자은 앱 챌린지를 통해 디즈니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인 디즈니플러스를 구독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 사용자는 그랩 리워즈와 빌페이 프로모션을 통해 구독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안드로이드 사용자만 가능하다. 또 인도네시아 그랩 드라이버 파트너에게는 특별 디즈니플러스 구독 프로모션을 제공한다. 그랩과 디즈니는 그랩 사용자가 증강 현실 체험을 토해 '겨울왕국'과 '토이스토리' 한정판 상품을 받을 수 있는 이벤트를 포함해 현지화된 공동 브랜드 캠페인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는 인도네시아는 제외한 모든 시장에 출시된다 태국에서는 '미키 러브 타이 푸드'(Mickey Loves Thai Food) 캠
[더구루=김다정 기자] '동남아 우버'로 알려진 싱가포르 차량 공유 및 배달서비스 업체 그랩(Grab)이 상장을 앞둔 상황에서 지난 2분기 8억 달러 이상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그랩은 올해 2분기 전년동기 대비 매출이 두 배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더 큰 손실을 기록했다. 6월 30일자로 마감된 2분기 실적에서 그랩은 8억1500만 달러(약 9552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 7억1800만 달러(약 8415억원) 순손실을 넘어서는 수준이다. 반면 매출은 1억8000만 달러(약 2110억원)로 늘었다.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라이드 헤일링'(승차호출) 매출은 128% 증가한 1억1800만 달러(약 1383억원)였다. 배송 부문은 92% 증가해 4500만 달러(약 527억원)에 도달했다. 금융 서비스 부문은 600만 달러(약 70억원)를 기여했다. 그랩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지자 몇 가지 주요 지표에 대한 연간 예측을 하향 조정했다. 당초 4월에는 순매출을 23억 달러로 예상했으나, 현재는 이보다 감소한 연간 21억~22억 달러 수준으로 보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서비스 부분 폐쇄
[더구루=길소연 기자] 동남아시아 최대 승차공유 및 배달 업체인 그랩(Grab)과 푸드판다(Foodpanda)가 말레이시아에서 불공정 행위 논란에 휘말렸다. 거래자와 소비자, 배달 라이더에게 혼선을 야기 하지 않도록 배송비 등 수수료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푸드판다 말레이시아와 그랩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시아 통상소비자부(KPDNHEP)에 14일 이내 답변서 제출을 요청받았다. 말레이시아 당국이 수수료에 대한 회사 측 입장을 요구한 것이다. 답변서는 수수료 포함 3가지 문제에 대한 피드백을 요구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실시된 이동통제명령(MCO) 기간과 국가부흥단계에서 배달 업체들이 부과하는 수수료율과 관련해 다양한 민원과 전반적인 사업 운영 및 비용 구조에 대한 문제제기가 발생하자 이같은 답변서를 요구한 것이다. 다투크 세리 알렉산더 난타 링기 말레이시아 무역소비부 장관은 "배달업체 행정 조치는 소비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회사는 거래자, 소비자, 라이더에게 제공하는 명확하고 질서 있는 커뮤니케이션 계획이 필요하다"며 "14일 이내 거래자와 소비자에게 혼란을 주지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공유오피스업체 위워크(WeWork)가 '동남아 우버'로 알려진 싱가포르 차량 공유 및 배달서비스 업체 그랩(Grab)과 손을 잡는다. 그랩의 비즈니스 고객 모집을 위해 위워크 워킹 공간 제공 등 혜택을 제공하고, 위워크는 경영 돌파구를 마련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위워크는 그랩과 파트너십을 맺고 '그랩 포 비즈니스(Grab for Business)' 고객 선정을 위한 기간한정 할인 서비스에 나선다. 양측은 한달간 위워크 워킹공간 무료 이용과 멤버십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특히 그랩 고객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필리핀 전역에서 위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그랩X위워크 패스'(GrabxWeWork Pass)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위워크 공간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이들이 특별 제휴를 맺은 건 그랩 포 비즈니스 고객 확보를 위해서다. 그랩 포 비즈니스는 운전사의 이동 경로를 추적해 운전사의 불필요한 이동과 비용을 줄여준다. 그랩은 또 운전사 확보를 위해 무료 와이파이와 커피를 제공한다. 그랩 포 비즈니스 포털을 통해 관리해 팀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회사 정책을 자동화한다. 결제를 디지털화해 원활하게 예약하고 비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