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조선업계 신조선가가 200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선박 수요 증가와 인플레이션 압박에 따른 결과다. 6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 리서치(Clarksons Research)에 따르면 신조선가 지수가 최근 156포인트로 2020년 11월 최저치 대비 25%나 상승했다. 또 2009년 이후 최고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선박 건조가가 급격히 상승하는 가운데, 지난 16개월 동안 신조선가 지수에 나타난 오름폭은 동일한 기간 기준으로 2005년 이후 가장 가팔랐다. 선가 급상승세는 폭발적인 선박 수요와 인플레이션 압박에 따라 가격이 올랐다. 선가 상승만큼 건조 일감도 늘어났다. 지난해 시작된 선박 발주 붐을 바탕으로 조선업계의 일감이 CGT 기준 2019년 11월 2.4년치에서 2.9년치로 늘어났다. 컨테이너선과 가스운반선 수요가 급상승함에 따라 조선소들의 드라이도크 공간에 제한이 가해져 일부 조선소들의 인도 선표가 2025년 이후까지 찼다. 원자재 가격 상승도 선가 상승을 부추긴다. t당 중국산 강판(steel plate) 가격의 경우, 지난 2020년 4월 250달러 수준에서 현재는 800달러 이상으로 치솟았다. 선
[더구루=길소연 기자] 싱가포르 양대 조선소인 케펠 코퍼레이션(Keppel Corporation)과 샘코프마린(Sembcorp Marine)이 사업 통합이 이달 안에 최종 합의에 도달한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싱가포르 케펠은 산하 케펠O&M(Keppel Offshore & Marine Ltd) 사업부와 샘코프마린 간 기업 결합 논의를 이달 말 진행한다. 양사 모두 기업 결합 진행을 위해 적지 않은 자원을 투입하고는 있으나, 신중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밝히면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기업결합을 위해서는 △실사 완료 △거래 조건에 대한 상호 합의 △최종 법적 문서 마무리 등 사안이 남아있다. 케펠은 지난해부터 샘코프마린과 구속력이 없는 양해각서(MOU)를 체결, 산하 케펠O&M 사업부와 샘코프마린을 통합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본보 2021년 7월 3일 참고 싱가포르 2개 조선소 합병 '속도'…경쟁력 강화> 케펠O&M과 샘코프마린 모두를 위해 보다 큰 규모의 결합 사업체와 지속가능한 가치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수 년 동안 석유 탐사와 개발 활동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O&M 부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친환경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2척을 수주한다. 탄소 배출 제로인 VLCC 건조로 친환경 운송 통로를 개척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지난 4일(현지시간) 로이드 선급협회(Lloyd's Register)와 말레이시아 선주 MISC 자회사 AET와 함께 탄소 무배출 연료로 운항할 수 있는 초대형 원유운반선 2척을 개발·건조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법적 구속력이 없는 MOU지만, 이번 협약으로 3사의 사업적 협력을 구체화한다. 카스토르 이니셔티브(Castor Initiative)의 창립 멤버인 3사는 추진 연료로 녹색 암모니아 사용을 장려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이를 위해 이중 연료 탱커 중 첫 번째는 2025년 말, 두 번째는 2026년 초에 취역을 목표로 한다. 카스토르 이니셔티브는 선박 설계연구와 발주, 건조, 항로 투입 등 조선업과 관련한 모든 분야에 걸쳐 관계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3사 외 △독일 엔진 제조사 만에너지솔루션(MAN Energy Solution) △싱가포르 해양항만청 △노르웨이 화학회사 야라(Yara) △싱가포르 항구 JP(Jurong Port) 등이 함께 한다. 3사가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의 인도네시아 합작사 크라카타우포스코(PTKP) 지분 부분 매각이 완료됐다. 이로써 포스코의 합작사 지분 투자 비중은 70%에서 50%로 축소됐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인도네시아 법인 PT크라카타우 포스코(PTKP)는 합작사 지분 20%를 PT 크라카타우 스틸(Krakatau Steel Tbk, KRAS)에 매각했다. 크라카타우 스틸은 합작사에 4조4000억 루피아(약 3736억원)를 투자, 지분 비중을 늘렸다. 이는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 정보 공개에 나온 크라카타우 스틸 지분 투자와 일치하며, 포스코는 이번 지분 매각 비용으로 칠레곤(Cilegon)에 연간 1000만t의 철강 클러스터 구축에 나선다. <본보 2021년 9월 23일 참고 [단독] 포스코, 내년 인도네시아 사업장 '4.4조' 통큰 투자> 양사의 이번 거래는 지난해 12월 31일의 현물 거래 절차 계약(MITPA)와 지난달 29일 체결한 MITPA 부록을 기반한다. 크라카타우 스틸로의 지분 매각은 지난해부터 구체화됐다. 에릭 토히르(Erick Thohir) 인도네시아 국영기업부 장관이 나서 합작사 지분 매각을 추진한 것. <본보 202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20억 달러(약 2조4000억원) 규모의 나이지리아 해양플랜트 사업을 정조준한다. 수주 확보로 사업 확대는 물론 아프리카를 해양플랜트 허브로 육성한다. 김종석 삼성중공업 나이지리아 법인(SHIN) 법인장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나이지리아 뉴스 '디스데이라이브(thisdaylive)'에서 "삼성중공업 나이지리아 합작회사 SHI-MCI는 2조원 규모의 나이지리아 봉가 사우스웨스트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프로젝트를 확보한 후 아프리카를 해양플랜트 허브 거점으로 삼는다"고 밝혔다. 김종석 법인장은 SHIN 직원에게 "나이지리아에서 많은 잠재적 프로젝트가 있어 SHIN과 합작 투자 회사 SHI-MCI의 미래가 유망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중공업의 나이지리아 헌신은 현재 진행형"이라며 "SHI-MCI 야드는 본격 가동 재개에 집중해 해양 제작뿐만 아니라 FPSO 수리·개조 등 기타 잠재적 사업을 수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SHIN은 나이지리아 경제와 사회에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김 법인장은 지난 2월 전제진 전 법인장 후임으로 나이지리아 법인장에 선임됐다. 26년 경력의 엔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가 태국에서 친환경 아연도금강관 사업을 위한 원료를 공급한다. 태국 현지 철강사에 친환경 생산공정을 거친 아연도금강관을 공급해 파이프 사업을 협력한다. 포스코 태국 법인(포스코-TCS)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태국 방콕 프라파윗빌딩 6층 대회의실에서 사하비리야 철강산업주식회사(Sahaviriya Steel Industries, SSI)와 아연도금강관 조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날 MOU 체결식에는 서영기 포스코 TCS 법인장과 나바 찬타나수라콘 SSI 사장이 참석했다. 양사의 협력은 친환경적인 생산 공정 에너지와 자원 절약은 물론 SSI의 파이프 사업에 필요한 원료의 안정성을 강화한다. 이로 인해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너지 효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포스코-TCS는 친환경 생산공정을 거친 아연도금강관을 공급한다. SSI는 파이프 사업에 있어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거나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다. 태국 대표 철강기업 사하비리야 철강산업주식회사(Sahaviriya Steel Industries, SSI)는 태국 최초의 코일 열연 강판(HRC) 제조업체이자 동남아시아 최대 완전 통합 판강 생산업체이다. 포스코-TCS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미포조선 베트남법인 현대베트남조선(HVS)이 대형 유조선을 3척을 수주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베트남조선은 그리스 메트로스타 매니지먼트(Metrostar Management)와 최대 3척의 액체화물운반선(LR2)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선박은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보다는 작은 체급인 LR2탱커로, 액체화물운반선의 크기별 분류 기준으로 순수화물 적재량 8만DWT 이상~16만DWT 미만의 액체화물운반선을 가리킨다. 메트로스타 매니지먼트가 선박 건조를 현대베트남조선에 맡긴 건 건조비가 저렴해서다. 베트남 조선소는 현대미포 보다는 수익성이 떨어지는 중형 원유운반선과 벌크선을 집중하고 있다. 1996년 베트남 국영조선공사와 합작으로 설립된 현대베트남조선은 2011년 선박 건조용 조선소로 전환했다. 현대베트남조선은 베트남에서 꾸준히 수주 실적을 쌓고 있다. 현대베트남조선은 지난해 10월 그리스 엠파이어 케미컬 탱커스와 5만DWT MR급 PC선 6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본보 2021년 10월 18일 참고 현대미포조선, PC선 탱커 6척 수주> 이보다 앞서 같은해 6월 스위스 기반 에너지기업 비톨(Vitol)과도
[더구루=길소연 기자] 동국제강 브라질 제철소 CSP가 자동차 압연기를 설치한다. 빠르면 올해 늦어도 내년에 설치될 가능성이 크다. 브라질 매체 'Diário do Nordeste'는 29일(현지시간) CSP는 자동차 제조에 필요한 압연기 설치를 추진한다고 보도했다. 압연기 설치 시 CSP는 압연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자동차 제조 외 주로 △냉장고 △스토브 △세탁기와 같은 백색 가전을 제조하는 산업에 혜택을 준다. 압연기는 지난 2016년 6월 공장 개장일에 맞춰 평강 제조를 위해 설치하기로 했었다. 계속 미뤄지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설치가 본격화된다. 현재 미국과 유럽연합(EU)이 러시아에 경제 제재를 가하면서 세계 철강 생산량이 감소하자 압연기 설치가 시급하다. CSP는 새로운 압연기로 제품 수요 증가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CSP는 브라질 세아라 주정부에 따라 새로운 압연기를 설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를 이 지역으로 가져옴에 따라 압연 공장 건설이 가능해 진다는 것. CSP는 세에라 주정부에 압연 기계 설치 조건으로 뻬셍(Pecém)에 차량 조립 공장을 설립 보증을 요구한 상태이다. 세에라 주정부가 전기 버스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중공업이 스위스에서 7000억원 규모의 컨테이너선 건조 일감을 따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스위스 메디터레이니언 쉬핑(Mediterranean Shipping Company, MSC)과 7700TEU급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6척의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그동안 MSC는 한국과 중국 조선소에 8000TEU급 LNG 이중연료 추진식 컨테이너선 최대 24척 발주를 협의해왔다. 거래 물량에는 확정 물량 18척에 옵션 6척이 포함됐다. MSC는 총 34억 달러 이상 투자할 예정이다. 현대중공업과는 지난해 11월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추진 6척 관련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하며 수주를 확정지었다. <본보 2021년 11월 25일 참고 [단독] 현대중공업, '1.2조원' 컨테이너선 6척 건조 LOI 체결> 신조선은 LNG 이중연료 추진 레디 디자인을 적용, 강화되는 국제해사기구의 환경규제에도 대응할 수 있다. MSC가 대규모 발주에 나선 건 선복량 증대를 위해서다. MSC는 작년 8월부터 16개월 동안 125척의 중고선을 적극 인수하고, 신조 발주에 주력해왔다. 올해는 50년 만에 덴마크 해운선사 머스크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홀딩스가 1조원을 들여 아르헨티나 염호 리튬 상용화 공장을 착공한 가운데 2단계 증설을 위한 공청회를 진행한다. 시민 상대로 환경영향 보고서 협의 절차와 공청회를 진행, 개발 과정을 공유한다. 포스코홀딩스는 공청회를 시작으로 올해 2단계 추가 투자를 통해 2024년 말부터 수산화리튬 생산량을 5만t으로 늘릴 계획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아르헨티나(POSCO Argentina S.A.U.)는 다음달 22일 시에나가 레돈다 학교(Ciénaga Redonda school)에서 '살 데 오로(Sal de Oro, 스페인어로 황금 소금) 프로젝트의 환경 영향 보고서(IIA) 협의와 공청회를 진행한다. 리튬 개발 지역은 살타(Salta)주와의 경계에 있는 안토파가스타 데 라 시에라(Antofagasta de la Sierra)에 위치한다. 공청회는 사업 개발의 필수 과정으로, 이후 주정부 승인 절차를 밟는다. 구체적인 일정은 지난달 31일과 다음달 1일에는 안토파가스타의 비야 해변에서, 다음달 12일에는 시에나가 레돈다에서 대면 테크니컬 토크를 실시한다. 또 같은달 20일 기관간 시찰이 이뤄지며, 22일에는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영
[더구루=길소연 기자] 고려아연이 인수한 호주 신재생 에너지 개발 업체 에퓨런(Epuron)이 호주 풍력사업을 확장한다. 풍력발전소 규모를 늘려 신재생 에너지 개발을 확대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에퓨런은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NSW)주의 수자원당국인 '워터NSW(WaterNSW)' 재생 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 풍력 발전 단지 역량을 446메가와트(MW)에서 최대 650MW로 확장했다. 이를 위해 호주 재생에너지 개발업체 버렌동(Burrendong)은 프로젝트에 당초 계획했던 72개의 터빈이 아닌 최대 105개의 터빈을 설치하기로 했다. 수정안은 워터NSW가 에퓨론 프로젝트가 위치한 버렌동 댐 주변을 포함, 자체 토지에서 재생 에너지 생성·저장 자산에 대한 투자를 모색한다고 발표한 후 진행됐다. 에퓨런은 "프로젝트 환경영향평가(EIS)에 관한 최신 요건이 주 정부에 의해 발표될 예정"이라며 "현재 그 계획을 위한 새로운 개발 어플리케이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에퓨런이 풍력 발전사업 규모를 늘리는 건 실행 가능한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역량 확대와 고려아연의 친환경적인 '그린징크'와 그린 수소 사업으로의 포트폴리오 전환 때문이다. 고려아연은 작년 말
[더구루=길소연 기자] 조선업계에 선박 수요 회복세를 배경으로 '슈퍼사이클'이 도래, 수주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28일 업계와 프랑스 선박 브로커 업체 BRS(Barry Rogliano Salles) 그룹에 따르면 글로벌 탈탄소화 기조와 선주들의 선대 쇄신 계획 등을 배경으로 한 선박 수요 급증세에 따라 슈퍼사이클이 도래한다. BRS는 "새로운 슈퍼사이클 증후가 보인다"며 "2000년대처럼 중국 경제 붐을 통해서가 아닌, 해운업계 호황을 등에 업고 막대한 양의 신조선 발주가 이루어졌던 2003~2008년 현상이 재현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해 나타난 조선업계의 수주 실적 반등을 다가올 슈퍼사이클의 첫 신호탄으로 분석했다. 세계 조선소들은 지난해 총 약 1억3200만DWT 물량을 수주했는데, 이는 코로나19 사태 직격탄을 맞은 2020년의 7500만DWT대비 거의 두 배에 가까운 오름세이다. 신조선가 역시 지난 한 해 무려 30%나 급상승했다. 다만 건조 역량은 감소했다. BRS 그룹은 지난 2005~2010년 기간 약 2000척에 달했던 주요 조선소 연간 건조 역량이 최근에는 1200~1300척 수준으로 줄어들었다고 집계했다. 선박 발주량도 세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 고성능 전기 SUV 모델 ‘모델 Y 퍼포먼스’의 신형 프로토타입이 시험 주행중인 모습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포착됐다. ‘주니퍼(Juniper)’ 디자인이 적용된 첫 퍼포먼스 트림으로, 연내 출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시장의 기대감을 끌어올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미국 전기차 전문 매체 일렉트렉(Electrek)에 따르면 모델 Y 퍼포먼스로 추정되는 프로토타입 차량이 테스트 주행 중인 모습이 캘리포니아 팔로알토에 위치한 테슬라 엔지니어링 본사 인근 도로에서 목격됐다. 이번에 포착된 차량은 전면 위장막이 씌워져 있었으나 실루엣과 휠 사양, 브레이크 구성을 통해 모델 Y 퍼포먼스임을 식별할 수 있다. 퍼포먼스 트림 전용인 플래드(Plaid) 20인치 휠과 대형 레드 브레이크 캘리퍼가 적용돼 있다. 이번 테스트 차량이 공개되면서 해당 트림 출시가 임박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테슬라는 지난 1월 모델 Y의 페이스리프트 버전인 ‘주니퍼’를 공개했으나 퍼포먼스 트림은 초기 라인업에 포함되지 않아 주문이 중단된 상태였다. 이번 신형 모델 Y 퍼포먼스는 외관뿐만 아니라 파워트레인, 배터리 효율 측면에서도 업그레이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키옥시아가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겨냥해 유니버셜플래시메모리(UFS) 4.1 규격을 지원하는 내장형 낸드플래시 메모리 샘플링을 개시했다. 키옥시아는 미래 자동차 시장에 인공지능(AI)과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중요해지는 만큼 차량용 고성능 메모리의 필요성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키옥시아 아메리카는 8세대 3D 낸드 기술 'BiCS 플래시(BiCS FLASH)' 기반 차량용 UFS 4.1 임베디드 메모리 디바이스의 샘플링을 시작했다. 용량은 △128GB △256GB △512GB △1TB로 구성됐다. 키옥시아는 해당 제품에 대해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텔레매틱스 등 다양한 차량 내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키옥시아는 UFS 3.1에서 4.1로 업그레이드되면서 순차 읽기와 순차 쓰기 성능은 각각 2.1배, 2.5배가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임의 읽기와 임의 쓰기 성능은 각각 2.1배와 3.7배가 좋아졌다. UFS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같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고속 내장형 저장장치 규격이다. 최신 버전인 UFS 4.1은 고속 데이터 처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