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유럽 시장에서 차량 커넥트 서비스를 대폭 강화한다. 신규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을 비롯, 전기차(EV) 경로 플래너 서비스를 도입해 운전자의 차량 내 편의성을 제고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유럽 시장에서 스마트 연결 애플리케이션(앱) '기아 커넥트(Kia Connect)'에 153개의 기능을 추가했다. 2022년 이후 모델이 대상이다. 이번 업데이트는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ver-the-Air, OTA)를 통해 진행됐다. OTA는 원격으로 차량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이다. 소비자가 대리점에 방문하지 않아도 원격 업데이트를 통해 차량 내 경험을 향상할 수 있다. 주요 변화는 스트리밍 서비스 '사운드클라우드(SoundCloud)'의 도입이다. 사운드클라우드는 4000만 명 이상의 아티스트가 3억 7500만 개 이상의 트랙을 제공하는 글로벌 음악 플랫폼이다. 아마존 뮤직에 이어 기아 차량 내에서 지원되는 두 번째 스트리밍 서비스다. 'EV 경로 플래너' 기능도 대폭 향상됐다. 이 기능은 운전자가 주행할 때 차량 내비게이션이 경로 별로 전기차 충전소를 자동으로 감지, 경유지로 추가해주는 '똑똑한' 기능이다. 또한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필리핀 미래 기술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최고 서비스 표준과 전문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자를 확보, 현지 딜러십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제고는 물론 현지 산업 내 교육 환경을 혁신하겠다는 각오다. 28일 기아 필리핀판매법인(KPMC)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 24일 필리핀에서 기술자 부트 캠프를 시작했다. 이는 미래 자동차 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부트 캠프는 신병 훈련소를 뜻한다. 기아는 이를 토대로 교육 비용 절감과 기술자 유지 개선 등 현지 개선 우선 과제를 해결, 궁극적으로 현지 자동차 산업 내 교육 환경을 혁신하겠다는 각오다. 무엇보다 현지 딜러십 네트워크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4개월 과정으로 이뤄진다. 기아 브랜드 가치관부터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차, 전기차에 대한 유지 관리 등과 같은 필수 주제를 다룬다. 1기 교육생으로는 기술 직업 자동차 과정 졸업생 16명이 선정됐으며 이들 교육생은 처음 두 달 동안 강사 기반 교육을 받은 뒤 나머지 두 달은 실무 교육을 받게 된다. 브라이언 부엔디아(Brian Buendia) KPMC 최고운영책임자(COO)는 "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베이징자동차그룹(BAIC)이 기업이미지(CI)를 변경했다. 올드한 이미지를 탈피하고 글로벌 자동차그룹으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토대로 심플함을 강조한 디자인을 완성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베이징자동차그룹은 지난 23일 CI를 변경했다. 이날 이후 모든 보고서와 회보, 보도 자료 등에 새 로고를 적용한다는 것. 단 이번 로고 교체가 기존 주주 권리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설명이다. 베이징자동차그룹 신규 로고는 심플함이 특징이다. 기존 로고의 심벌을 과감하게 삭제하고 붉은 색상을 적용한 알파벳과 한자만 강조했다. 한자보다 알파벳을 상단에 배치했다는 점에서 글로벌 자동차그룹으로 거듭나겠다는 베이징자동차그룹의 의지가 엿보인다. 베이징자동차그룹이 계열사까지 새 디자인을 적용할지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CI 변경은 올드한 이미지를 탈피하고 수소와 로봇, 자율주행 등 미래 기술로 무장한 첨단기술기업으로의 변신을 예고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금호타이어가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프리미엄 제품 공급, 글로벌 유통 확대, 브랜드 인지도 강화 등을 통해 국내 시장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의 입지 강화에 힘쓰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금호타이어는 상반기 고인치 제품 판매를 40.8% 달성했다. EV 타이어 OE 납품 비중은 지난해 9% 수준에서 증가된 12% 수치를 확보했다. 현재 추세라면 연초 제시한 목표 달성은 수월할 전망이다. 앞서 금호타이어는 올해 목표 매출액으로 4조 5,600억 원을 제시하고 18인치 고인치 제품 판매 비중 42% 달성, 글로벌 OE 매출 기준 EV타이어 비중 16% 이상 확보 등 비즈니스 가이던스를 제시 한 바 있다. 금호타이어는 올해 유력 매거진에서 연달아 우수한 평가를 획득하며 기술력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내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120년 역사와 함께 독일 내 최대 발행부수를 자랑하는 아데아체(ADAC) 잡지사 주관의 여름용 타이어 성능 테스트에서 엑스타 HS52가 종합 3위(Good 등급)를, 독일 자동차 전문지 ‘아우트빌트(Auto Bild)’ 주관 여름용 타이어 테스트에서 엑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톱4' 지위를 이어가고 있다. 3분기 실적도 4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지 친환경차 시장 공략을 토대로 현지 수요를 확보하며 꾸준하게 판매량을 늘려간 데 따른 성과이다. 내달 전기차 전용 공장 가동을 앞두고 있는데다 최근 현대차가 현지 특화 전기차 모델 판매까지 예고하면서 판매 확대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27일 미국 자동차 시장조사기관 '콕스오토모티브'(Cox Automotive)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의 3분기(7~9월) 미국 판매 전망치는 43만3109대로 보인다. 이는 전년(43만302대) 대비 0.7% 소폭 증가한 수치이다. 9월의 판매량의 경우 지난 1일부터 24일까지 판매 통계를 토대로 남은 기간 예상치를 합해 추산했다. 오차 범위는 100~300여 대이다. 올들어 누적 판매량은 전년(125만482대) 대비 10.6% 두 자릿수 성장한 125만914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누적 판매 기준 제조사별 판매 순위는 4위다. 1위는 제너럴모터스가 차지했다. 같은 기간 총 192만7778대를 판매했다. 토요타는 173만4106대로 2위, 포드는 154만6591대로 3위를 기록했다. 혼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가 3분기 미국 시장에서 바닥을 확인하면서 4분기 반등이 예상된다. 1· 2분기 데슬라 미국 판매 감소폭은 10% 안팎였으나 3분기 2.4% 감소하는데 그쳤다. 27일 자동차 전문 시장조사 기관 콕스 오토모티브(Cox Automotive)에 따르면 테슬라는 올해 3분기(7~9월) 동안 미국에서 총 15만2829대를 판매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년 동기(15만6621대) 대비 2.4% 감소한 수치이다. 이에 따라 테슬라의 분기 시장 점유율은 3.92%, 전체 판매량 순위는 10위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3분기 미국 시장에서 제너럴모터스(GM)는 64만8043대를 판매, 시장 점유율(16.63%) 1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어 2위는 토요타(54만7460대, 점유율 14.05%), 3위는 포드(50만9310대, 13.07%)가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그 뒤로는 △현대자동차(43만3109대, 11.11%) △혼다(37만5281대, 9.63%) △스텔란티스(30만1293대, 7.73%) △닛산(23만6927대, 6.08%) △폭스바겐(16만6718대, 4.28%) △스바루(16만5199대, 4.24%) 순으로 이어졌다. 테
[더구루=윤진웅 기자] 지난 10년간 미국에서 리콜된 자동차 5대 중 1대는 소프트웨어(SW) 결함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개발 속도가 빨라지면서 점차 그 수가 늘어나고 있다. 하드웨어 결함보다는 상대적으로 불편함이 덜한 것이 사실이지만,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맞이해 하루빨리 극복해야 하는 요소라는 지적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미국 로펌 DeMayo Law가 자동차 리콜 관련 미국 고속도로 교통 안전 관리국(NHTSA) 데이터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미국 자동차 리콜 원인의 20%가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발생했다. 지난 2014년 전체 리콜의 12% 수준에 불과하던 소프트웨어 결함 리콜은 지난해 23%까지 증가했다. 자동차 5대 중 1대꼴로 소프트웨어 결함이 나타난 셈이다. 소프트웨어 결함의 종류는 각양각색이다. 가장 흔한 전기 시스템 문제부터 백업 카메라, 에어백, 파워트레인 등이다. 최근 SDV(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 개발 등 자동차 디바이스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이 외에도 다양한 문제들이 발견되고 있다. 다만 하드웨어 결함과는 상대적으로 소비자의 불편 정도는 낮았다. 대부분 원격 업데이트 등으로 개선이 가능한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 피드몬트 기술대학(Piedmont Technical College, 이하 PTC)과 손잡고, 미래 자동차 기술 인재 양성에 나선다. 현대차는 PTC 학생들에게 혁신적인 기술 역량을 제공, 자동차 업계의 차세대 전문가 육성에 힘을 쏟을 계획이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HMA)은 PTC와 학생들의 자동차 기술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26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협력으로 현대차는 PTC 학생들에게 자사의 학습 관리 시스템을 제공, 전문 교육 모듈을 이수하고 최신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현재 PTC의 자동차 기술 프로그램에는 77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이들은 현대차가 제공하는 무료 온라인 자기주도 학습을 통해 서비스 기술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학생들은 현대차의 고급 브랜드인 제네시스와 현대차 트랙 중 하나를 선택해 각각 15시간의 교육을 이수하게 된다. PTC는 이러한 교육을 커리큘럼에 통합한 미국 내 첫 기관 중 하나로, 현대차는 앞으로 이 프로그램을 미국 전역 400개 고등학교와 대학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브랜드 전용 전기차 모델 '아이오닉5'가 태국 전기차 공장 1호 모델로 생산된다. 현지 정부 전기차 전환 프로젝트 'EV 3.0'의 연장선인 'EV 3.5' 정책에 호응하기 위한 결정이다. 27일 현대차 태국판매법인에 따르면 현대차 아이오닉5는 태국 전기차 공장 1호 생산 모델로 낙점됐다. 지난해 태국 정부가 발표한 전기차 전환 프로젝트 EV 3.5 정책 기준을 충족하는 전기차 모델이라는 이유에서다. 태국 EV 3.5 정책은 전기차 소비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고, 태국산 전기차에 세금 감면 혜택을 주는 게 골자다. EV 3.5 보조금 정책 승인을 받은 제조사는 올해부터 내년 사이 배터리 전기차를 수입할 경우 관세의 40%를 인하 받을 수 있으며, 수입 전기차 가격이 200만바트(한화 약 8138만 원) 이하일 경우 소비세가 8%에서 2%로 인하된다. 단 2026년부터는 수입 차량 1대당 2대 비율로 태국에서 전기차를 생산해야 한다. 2027년에 생산을 시작하는 경우 1대당 3대 생산 비율이 적용된다. 아이오닉5 본격적인 현지 생산은 오는 2026년 현지 공장 가동 시기에 맞춰 시작된다. 이곳 공장은 태국 수도 방콕 남동쪽 사뭇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협력사 '신성유화'가 미국 조지아에 자동차 실러 생산 공장을 짓는다. 아진산업과 서연이화 등에 이어 현대차그룹 미국 전기차 전용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18호 동반 진출 기업으로 나섰다. 당장 내달부터 HMGMA가 가동을 시작하는 만큼 서둘러 공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27일 조지아주 주정부에 따르면 신성유화는 미국 조지아주 남동쪽 툼스 카운티에 자동차 실러 생산 공장을 설립한다. 총 투자 금액은 1120만 달러(한화 약 147억 원)로 내년 완공이 목표다. 현지 일자리 창출 효과는 30개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찬우 신성유화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이번 주 실러 공장이 위치하게 될 부지를 방문하고 조지아주의 파트너들과 직접 만나 이번 공장 설립을 축하하는 시간을 가졌다"며 "조지아 자동차 산업 네트워크에 합류하게 돼 기쁘다"고 전했다. 이번 공장 설립과 관련해 조지아주 주정부도 적극 지원을 약속했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주 주지사는 "신성유화가 조지아 자동차 산업 네트워크에 합류하게 돼 기쁘다"며 "내년 가동 예정인 자동차 실러 공장은 툼스 카운티에 들어서는 최초 시설"이라고 반가움을 표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현지 자동차 시장 규모가 급격하게 쪼그라들면서 올해 누적 판매량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급감했다. 특히 중국 전기차 브랜드의 공세로 전기차 판매도 위축되는 양상이다. 27일 인도네시아자동차공업협회(GAIKINDO)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해 들어 8월까지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총 1만5563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33.5% 두 자릿수 급감한 수치이다. 시장 점유율은 3.03%에 그쳤다. 월평균 판매량으로 따지면 2000대를 밑돈다. 높은 할부 이자과 현지 전기차 인센티브 지급 지연 등 외부적인 요인들로 인도네시아 시장 규모가 14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현대차 판매도 감소하고 읶다. 지난달 인도네시아 시장 규모는 6만9849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4.6% 두 자릿수 감소한 수치이다. 올해 들어 누적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7..2% 감소한 51만2805대를 기록했다. 4분기 현지 시장 전망도 어둡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현지 자동차 생산 중 최대 30%를 전기차로 전환하겠다고 정책을 내세워 600만원대 보조금 지급과 세제 혜택, 인프라 확대에 역량을
[더구루=윤진웅 기자] 뉴질랜드 정부가 현대자동차 친환경 전기·수소 트럭 2종에 보조금 지급을 결정했다. 현지 정부가 전동화 전환에 대한 의지를 적극 실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현지 친환경 시장에서 현대차 입지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26일 현대차 뉴질랜드판매법인에 따르면 현대차 마이티 일렉트릭과 엑시언트 퓨어셀은 최근 LEHVF(Low Emissions Heavy Vehicle Fund)을 통한 보조금 지원 대상 모델로 선정됐다. 신차 가격의 25%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각각 최대 3만5000 뉴질랜드 달러(2914만원)와 20만 뉴질랜드 달러(1억6653만원) 보조금이 지급된다. 마이티 일렉트릭은 중형 전기트럭 모델이다. 1회 충전으로 5995kg 하중을 견디며 200km 이상 주행거리를 보장한다. 최신 인캡 디자인과 기술 및 안전 기능도 탑재됐다. 엑시언트 퓨어셀은 세계 최초 양산형 대형 수소전기트럭 모델이다. 8~20분 만에 완충이 가능하며 1회 충전 주행 거리는 400km에 달한다. LEHVF는 에너지효율 및 보존 관리국(EECA)이 관리하는 2775만 달러(약 369억 원) 규모 정부 기금이다. 무공해 및 저공해 대형 차량 도입 가속화를 목표로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만 전고체 배터리 업체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ProLogium Technology)가 일본 규슈전력과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규슈전력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와 협력해 산업용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두 회사는 효율성과 저온 내구성을 개선한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할 계획이다. 영하 30도에서도 95%의 용량을 유지하는 제품이 될 전망이다. 이번 협력 과정에서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는 배터리 셀을 공급하며, 규슈전력은 건설 기계 등 장비용 모듈을 설계한다. 키타규슈와 사가 지역의 현지 파트너 기업들도 협력에 참여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내년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서 개발 성과를 선보일 예정이며, 오는 2027년까지 양산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 투자사인 이브이첨단소재는 “프롤로지움이 초유동화 무기 고체 전해질을 발표하며 차세대 전고체 리튬 배터리 상용화 시대를 열었다”고 강조했다. 해당 전해질 기술은 고체 물질의 높은 이온 농도와 액체의 우수한 계면 접촉 특성을 결합해, 기존 전고체 배터리의 3가지 주요 병목 현상(
[더구루=홍성일 기자] 헝가리가 폴란드 기업과 손잡고 소형 모듈 원전(Small Modular Reactor, SMR)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헝가리는 단순 검토 수준이 아닌 미국산 SMR 도입까지 완료, 에너지 믹스 구축에 속도를 낸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헝가리 원자력 개발 회사 '후나톰(Hunatom)'은 폴란드 SMR 기업 '신토스 그린 에너지(Synthos Green Energy, 이하 신토스)'와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후나톰과 LOI를 체결한 신토스는 폴란드 최고 부호인 미하우 소워보프(Michał Sołowow)가 운영하는 SMR 전문기업이다. 신토스는 폴란드 기업 중에서도 가장 적극적으로 SMR 도입을 추진해 온 기업이다. 미국 제네럴일렉트릭(GE)과 일본 히타치 합작사인 'GE 히타치 뉴클리어 에너지(GEH)'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신토스는 GEH가 개발한 발전용량 300메가와트(㎿)의 SMR 'BWRX-300'의 폴란드 내 독점권을 보유하고 있다. 계약에 따라 후나톰은 신토스를 통해 BWRX-300 도입에 앞서 필요한 기술적, 인프라적, 재정적, 법적 준비 작업을 진행한다. 후나톰이 정확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