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일본 나고야 중부국제공항 재취항에 따라 라운지를 오픈한다. 일본으로 향하는 하늘길 빗장을 열리자 라운지를 다시 여는 것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코로나 사태로 폐쇄됐던 나고야 중부국제공항 국제선 회원을 위한 'KAL 라운지'를 부분 리뉴얼해 11월부터 재개한다. 라운지 이용은 항공사와 제휴 신용카드사 회원으로 제한된다. 나고야 공항은 지난 2020년 4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세관, 이민 및 검역(CIQ) 시설을 폐쇄했다. 이로 인해 국제 비즈니스 항공기 착륙 횟수는 코로나19 이전에 증가하는 추세였지만 부과된 제한으로 인해 작년에는 도착이 3회로 줄어들었다. 그러다 6월에 CIQ가 재개된 이후 국제 비즈니스 항공기가 12대 증가했다. 나고야 공항에는 9000피트 활주로가 있으며 민간 항공기 승객은 항공기에서 불과 200피트 거리에 있는 비즈니스 항공 전용 터미널을 통해 처리되고 CIQ 검사실을 거쳐 차량 주차장까지 도착할 수 있다. 대한항공은 일본이 한국인의 무비자(사증 면제) 입국을 허용하면서 인천~나리타·오사카를 기존 주 7회에서 14회로 증편했다. 인천~후쿠오카는 14일부터 주 3회 일정으로 운항을 재개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 이하 아처)이 2025년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250대 생산한다는 청사진을 공개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종합물류기업 한진의 첫 중량물운송 전용 선박이 사고 후 프랑스 로리앙에 견인됐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한진은 중량물운송 전용선 '한진 파이오니어(HANJIN PIONEER)호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저녁 비스케이 만(Bay of Biscay)에서 풍력 터빈 블레이드를 실은 화물을 싣고 중국에서 수에즈와 몰타를 거쳐 독일 쿡스하벤으로 향하던 중 조향 장애를 겪었다. 이후 프랑스 비상 견인 선박 'ABEILLE BOURBON'이 개입해 한진 파이오니어를 예인했고, 선박은 23일 아침에 도착해 로리앙에 정박했다. 23일에 예인된 선박은 24일에도 같은 위치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한진은 전용선박 도입을 통해 안정된 운송능력을 확보함으로써 종합물류 선도 기업으로서 경쟁우위를 더욱 확고히 했다. 그러나 이번 조향 사고로 경쟁력이 떨어진다. 사고 선박은 지난 2010년 전남 신안중공업 조선소에서 한진의 중량물 전용선박인 '한진 파이오니어(HANJIN PIONEER)'호로 진수된 선박이다. △플랜트 △건설기자재 △기계품 등 중량물 운반선인 '한진 파이오니어' 호는 '물류산업의 개척자'라는 뜻을 지닌다. 파이오니어호 길이 146m, 폭
[더구루=길소연 기자] KSS해운이 매각한 대형 가스운반선(VLGC)이 다시 스위스 선사에 재판매됐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KSS해운이 일본 이토추상사에 매각한 6년 된 VLGC 1척이 다시 아테네 벌크 업체 스위스마린의 액화석유가스(LPG) 계열사인 스위스켐가스(SwissChemGas)에 6300만 달러(약 908억원)에 재판매됐다. 선박은 8만2500CBM 가스 타이거(Gas Tigers, 2016년 건조)로 KSS해운이 소유하고 있었다. KSS는 선대 갱신의 일환으로 이토추상사에 VLGC 1척을 판매했다. KSS해운은 이토추상사에 8만4000㎥급 VLGC 1척의 퍼체스 옵션(PO구매선택권)을 행사하기로 결정했다. 매각 가격은 836억원. 7년의 용선계약이 내년 3월 초~5월 초 종료한 시점에 매입을 실행한다. KSS는 지난해부터 현대중공업그룹에 신조선 6척을 인도받고 있다. 현재 현대중공업에서 8만6000CBM VLGC 2척을 건조 중이다. 선박이 매각된 스위스켐가스는 가스 사업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97년 스위스 가스로 설립돼 2002년 스위스켐가스로 브랜드를 바꾸고 당시 세계 LPG 교역의 12%를 차지했던 콘티넨탈 그레인 또는 콘티
[더구루=길소연 기자] 유럽연합(EU)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은 두 지역 간 항공 연결을 복구하고 확장하기 위한 새로운 항공 운송 협정을 체결했다. 두 국가 간 비행에 대한 모든 제한을 철회하며, 유럽과 아세안 지역에 기반을 둔 항공사는 원하는 수대로 서비스 운항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EU와 아세안은 지난 17일(현지시간) 발리에서 열린 제28차 아세안 교통장관회의에서 포괄적 항공운송협정(ASEAN-EU CATA)에 서명했다. 이번 협정은 EU 27개 회원국과 아세안 10개 국가로 구성된 두 대륙을 포함한다. 협정으로 두 국가 간 비행에 대한 모든 제한을 철회할 것이다. 양측의 운수협정은 아세안과 EU의 항공사가 두 지역 사이 여객과 화물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더 큰 기회를 제공하고, 두 지역 간 항공 연결 회복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EU와 아세안은 공동자료를 통해 "승객들은 동남아시아와 유럽 사이의 더 다양한 목적지, 더 많은 비행 빈도, 더 많은 여행 옵션을 기대할 수 있다"며 "이 지역 항공사는 두 지역 간에 원하는 수의 서비스를 운항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토 림 족 호이(Dato Lim Jock Hoi) 아세안 사무
[더구루=길소연 기자] 브라질 정부가 민간 우주시대가 도래하면서 우주산업에 주목하고 있다. 발사체·위성, 발사기지로 도약할 최적의 환경을 보유하고 있지만 우주기지 인프라 현대화와 위성 공동개발, 브라질 기지를 활용한 상업용 위성발사 등의 검토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23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브라질 상파울루무역관이 낸 보고서에 따르면 브라질은 이미 중국, 인도, 미국, 일본, 우크라이나 등과 우주기술 개발에 협력했으며 기술도입·보완을 위해 한국과의 교류 활성화가 필요하다. 발사체 공동 개발은 전략물자로 묶여 있어 당장 힘들더라도, 통신·농업 등 산업용 위성기술을 공동으로 연구하거나 로켓 발사장 인프라를 한국 건설·엔지니어링 회사가 참가해 증설·현대화 하는 방안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 브라질은 농업·군사·광업 등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 1960년대 부터 우주산업 개발에 관심을 보여왔다. 하지만 2003년 발사체가 폭발해 핵심 연구인력이 희생되고 우주 연구 예산도 삭감되는 등 어려움을 겪어왔다. 브라질은 넓은 영토 및 자연환경을 관리하기 위해 군사·산업용 위성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나로호 발사가 성공했고 우리나라 위성 스타트업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일본 무비자 입국이 시행되자 '동양의 하와이'로 불리는 오키나와 나하 하늘길을 다시 연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오는 12월 1일부터 '인천~나하' 노선 운항을 주 4회 재개한다. 2020년 2월 운휴 이후 약 2년 10개월 만의 운항 재개다. 해당 노선은 코로나19 팬데멕 전 주 3회 왕복으로 운항하고 있다가 중단됐다. 이후 각국의 입국 제한 완화와 같은 공항의 수요 확대 등을 배경으로 주 4회 운항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스케줄은 월, 목, 금, 일요일 일정으로 인천국제공항에서 오전 8시 5분에 출발해 오전 10시 25분에 나하국제공항에 도착한다. 귀국편은 나하공항에서 오전 11시 35분에 출발해 인천공항에 오후 1시 55분 도착이다. 대한항공은 2016년 인천~오키나와 노선을 주 7회 일정으로 신규 취항했다. 일본 최남단에 위치한 오키나와는 일본 유일의 아열대 기후 지역으로 겨울에도 평균 17℃ 의 온난한 날씨로 자랑한다. 류큐 왕국의 슈리성, 시키나엔이 대표적인 문화 유산이다. 석회암 침식으로 만들어진 코끼리코 모양의 절벽인 만좌모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수족관인 츄라우미 수족관이 유명하다. 섬 주변의 작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에어택시 스타트업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일본에서 공식적으로 전기 수직이착륙 항공기(eVTOL) 운항을 신청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연방항공청(FAA)이 보잉 737 맥스(MAX) 7 제출한 서류가 불완전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미국법인인 '슈퍼널'이 영국 방산기업 BAE 시스템즈(BAE Systems)와 손을 잡았다.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비행 제어시스템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BAE 시스템즈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자료를 통해 슈퍼널과 함께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비행 제어 시스템 설계와 개발에 협력한다고 밝혔다. 슈퍼널을 지원하기 위해 BAE 시스템즈는 자율 주행이 가능한 항공기를 위한 경량의 전기식 비행 제어 체계(fly-by-wire) 시스템 아키텍처를 정의하는 데 도움을 준다. 비행 제어 체계는 비행 중 항공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한다. 에티샴 시디키(Ehtisham Siddiqui) BAE 시스템즈의 제어·항공 전자 솔루션 담당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는 "eVTOL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고급, 높은 무결성 제어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며 "BAE 시스템즈는 지속 가능한 항공을 발전시키기 위해 전기화에 대한 투자와 비행에 중요한 시스템에 대한 전문 지식을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사는 수직 이륙 플랫폼을 포함해 상업용과 군용 항공기를 위한 비행에 중요한 제어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 스타트업 플라나(Plana Aero)가 하이브리드 에어택시로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경쟁에 합류한다. 플라나는 현대차그룹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독립 법인인 슈퍼널(Supernal)의 eVTOL 프로그램을 주도한 사람이 설립한 회사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플라나는 7인승 장거리 하이브리드 eVTOL로 에어택시 경쟁에 가세한다. 플라나 eVTOL는 조종사 1명과 승객 6명을 태우고 최대 시속 350㎞의 속력으로 한 번에 500㎞의 거리를 비행할 수 있다. 속력이나 항속거리 등 스펙만 보면 업계 최고 수준이다. 오는 2024년까지 시연 항공기를 제작하고, 2028년 기체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자본금도 마련됐다. 플라나는 지난 11일 118억원 규모의 프리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금으로 연내 순수 배터리 기반 VTOL 축소 시험기 개발을 마치고 2023년 700kg급 하프 스케일 하이브리드 방식 무인기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플라나는 작년에 시작됐다. 김재형 플라나(PLANA)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동료 둘과 함께 플라나를 차렸다. 한국에선 유일한 하이브리드 eVTOL 개발 스타트업이다. 플라
[더구루=길소연 기자] 머스크의 항공 화물 서비스 자회사인 머스크 에어 카고(Maersk Air Cargo)가 한국 화물 서비스 데뷔를 앞두고 노선 개설을 준비 중이다. 미국에 화물 터미널을 개설해 미국 항공 화물 사업에 대한 공격적인 성장 계획을 지원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이스라엘 남부 브엘세바(beersheba)에 위치한 연구개발(R&D) 센터를 확장한다. 엔비디아는 해당 센터를 이스라엘 남부 지역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허브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이꽃들 기자] 글로벌 담배 기업 JTI(Japan Tobacco International)가 차세대 궐련형 전자담배 '플룸 오라(Ploom AURA)'를 루마니아에 정식 출시하며 유럽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이를 위해 37억 유로(한화 약 5조 4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가열담배 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