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YMTC가 '엑스태킹(Xtacking) 3.0' 기술을 접목한 고성능·저전력 낸드플래시를 공개했다. 독자 기술을 앞세워 차기 낸드 개발에 속도를 내고 한국과 미국 업체들을 바짝 추격한다. [유료기사코드] YMTC는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산타클라라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플래시 메모리 서밋 2022'에서 TLC(Triple Level Cell) 3D 낸드 'X3-9070'을 소개했다. X3-9070은 엑스태킹 3.0 기술이 적용됐다. 엑스태킹은 메모리 셀로만 구성된 칩(Die)과 셀을 제어하는 주변부(Peri)를 별도 로직칩으로 구성, 금속 수직인터커넥트액세스(VIA) 기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술이다. 메모리 밀도를 높이고 제품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나 웨이퍼 두 개를 사용하는 만큼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YMTC는 2018년 처음 엑스태킹 기술을 공개하고 발전시켜왔다. 신규 낸드는 엑스태킹 2.0 기술이 접목된 128단 낸드 대비 성능이 50% 향상돼 2400MT/s의 입출력(I/O) 속도를 구현한다. 칩당 밀도는 2배 높아지고 전력 소비는 25% 줄어든다. YMTC는 엑스태킹 기술을 바탕으로 향후 고부
[더구루=정등용 기자] AMD의 중국 합작 반도체 법인 하이곤(Hygon)이 중국 상하이 증권거래소 내 상하이 스타 시장(Shanghai's STAR Market) 상장을 위한 밑작업에 돌입했다. 5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하이곤은 16억 달러(약 2조928억 원) 규모의 IPO(기업공개)를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올해 진행된 상하이 스타 시장 IPO 규모 중 가장 큰 수치다. 이번 작업의 일환으로 하이곤은 증자 자본금의 12.9%인 3억 주를 개당 36위안에 매각한다. 업계는 하이곤이 지난 2021년 수익의 300배가 넘는 가치로 데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현지 상장 경쟁사 4곳이 거래하는 평균 금액의 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하이곤은 IPO 조달 자금 대부분을 연구·개발에 투입할 계획이다. 하이곤은 지난 3년 간 연구·개발 분야에 5억1900만 달러(약 6797억 원)를 투자했다. 이는 회사 전체 수익 중 95%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하이곤은 이미 중국 내에서 떠오르는 스타 기업 중 하나다. 지난 2018년 하이곤은 인텔, AMD와 동등한 수준의 최첨단 프로세서를 선보이기도 했다. 특히 하이곤은 AMD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고급 칩 설계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과 아부다비투자청(ADIA)이 중국 생명 공학 회사 시로낙스(Sironax)에 투자했다. [유료기사코드] 시로낙스는 5일 가오롱 캐피탈(Gaorong Capital)과 윈펑 캐피탈(Yunfeng Capital)이 주도한 2억 달러(약 2616억 원) 규모의 시리즈B 자금 조달 라운드를 마감했다고 밝혔다. 테마섹과 아부다비투자청은 이번 시리즈B 자금 조달 라운드에 참여했다. 이 외에 △인버스(Invus) △F-프라임 캐피탈(F-Prime Capital) △에이트 로즈(Eight Roads) △ARCH 벤처 파트너스(ARCH Venture Partners) △K2 벤처 파트너스(K2 Venture Partners) 등이 함께 했다. 시로낙스는 이번 투자 유치로 총 3억 달러(약 3924억 원) 이상의 자금 조달을 할 수 있게 됐다. 시로낙스는 이번 투자금을 활용해 R&D(연구·개발) 영역의 지속적인 확장과 함께 잠재 성장 가능성이 높은 치료제 개발에 보다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연령별 퇴행성 질환에 대한 임상 실험을 지원할 수 있도록 새로운 치료제 포트폴리오를 개발하는 등 여러 방면으로 투자금을 투입할 예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CATL이 오는 4분기부터 미국 테슬라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모델Y'에 탑재할 M3P 배터리 공급을 시작한다.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모델Y의 출시를 돕고 M3P 배터리 판매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CATL은 오는 4분기부터 테슬라에 M3P 배터리를 공급한다. 테스트를 거쳐 내년 초 출시 예정인 모델Y에 쓴다. M3P 배터리는 1회 충전 시 최대 700㎞의 주행거리를 제공한다. CATL의 신소재 기술을 적용해 리튬인산철(LFP)보다 에너지밀도가 향상되고 삼원계(NCM·NCA)보다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우카이 CATL 수석과학자는 지난달 말 배터리 컨퍼런스에서 "M3P 배터리가 중저가 모델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라며 "이미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라고 밝혔었다. CATL은 M3P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리튬망간철인산염(LMFP) 양극재를 중국 선전다이아노닉(Shenzhen Dynanonic Co, 이하 다이아노닉)에서 조달하고 있다. 다이아노닉은 올해 하반기 LMFP 양극재 11만t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 CATL은 테슬라를 시작으로 M3P 배터리의 고객사를 확대해 차기 배터리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比亞迪·BYD)의 지난달 전기차 판매량이 수직 상승했다. 밀려드는 주문량을 감당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자 생산 공장 증설에 나선 상태로 테슬라의 가장 강력한 '대항마'로 꼽힌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비야디는 지난달 글로벌 전기차(BEV) 시장에서 총 16만2530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5만492대) 대비 69% 두 자릿수 성장한 수치다. 순수전기차(BEV) 판매량은 3배 이상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공급망 차질을 미리 예상하고 선제 대응한 결과라는 설명이다. 판매량을 더욱 높일 수 있었지만 생산량이 따라가지 못했다. 지난달 초까지 약 70만 건의 주문을 접수했으나 현재 생산능력으로는 최소 3개월 이상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비야디는 생산 공장 증설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브랜드 인기 모델 돌핀 등에 대한 병목현상을 최소화하고 배송을 한 달 미만으로 단축시키겠다는 목표다. 계획대로라면 이달 말 월 생산량은 약 30만 대에 이를 전망이다. 상반기(1~6월) 글로벌 전기차 순위는 테슬라에 이어 2위다. 총 32만6236대를 판매, 상하이자동차(SAIC)를 3위로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포니닷AI(Pony.ai·小馬智行)이 중국 최대 민영 건설기계장비 기업인 싼이(SANY·三一)와 함께 자율주행 트럭 개발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포니닷AI은 싼이와 함께 합작사 설립을 진행하고 있다. 새로운 자율주행 트럭 브랜드를 만들어 자율주행 레벨 4단계 트럭 개발에 나선다는 것. 자율주행 레벨 4단계는 차량의 자동화된 시스템이 상황을 인지 및 판단해 운전하고, 비상 시에도 운전자 개입 없이 차량이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수준을 말한다. 일단 연내 자율주행 레벨 4단계 트럭 개발에 착수, 내년 중 사전 주문 예약을 접수한다는 계획이다. 이미 양사는 싼이가 보유하고 있는 전기 트럭을 토대로 자율주행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본격적인 양산은 2024년이 될 것으로 봤다. 연간 목표 생산량은 1만대로 잡았다. 업계 관계자는 "양사의 기술 협력 시너지와 중국 정부의 적극 지원으로 자율주행 4단계 트럭의 상용화 시계가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며 "볼보자동차와 오로라와 경쟁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앞서 볼보차는 지난해 지난해 자율주행 트럭을 개발하기 위해 오로라와 장기 파트너십을
[더구루=정예린 기자] 강서강봉이업(Ganfeng Lithium·이하 간펑리튬)이 중국 최대 규모의 전고체 배터리 생산시설을 짓는다. 전통 강자인 리튬과 함께 자체 배터리 제조 역량을 확대,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3일 간펑리튬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중국 남서부 충칭시에 연간 10GWh 규모의 전고체 배터리 공장을 착공했다. 완공되면 간펑리튬의 전고체 배터리 생산능력은 기존 2GWh급 시설에 더해 총 12GWh로 6배 늘어나게 된다. 충칭 공장은 57만㎡ 크기의 부지에 들어선다. 전고체 배터리 생산기지, 배터리팩 시스템 생산시설, 첨단 배터리 연구소, 사무 공간 등으로 구성된다. 간펑리튬은 작년 8월 84억 위안(약 1조6299억원)을 투입하는 새로운 배터리 생산거점 건설 프로젝트 2개를 공개했다. 이중 충칭시 공장 설립 예산으로 54억 위안(약 1조477억원)이 책정됐다. 프로젝트 발표 후 3개월 내 착공할 계획이었으나 일정이 지연돼 약 1년여 만에 첫 삽을 떴다. <본보 2021년 8월 8일 참고 中 최대 리튬기업 강서강봉이업, '1.5조 투자' 배터리 공장 증설> 현재 장시성에 연간 9GWh 생산능력을 갖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 전기자동차 업체 니오(Nio)가 유럽 헝가리에 배터리 공장을 설립한다. 중국 외 지역의 첫 배터리 공장으로 유럽 시장 공략의 전초기지 역할을 할 전망이다. 1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장후이 니오 부사장과 페테르 씨야르토 헝가리 외교통상부 장관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9월 헝가리에서 배터리 공장이 가동될 것이라고 밝혔다. 헝가리 정부 예산 17억 포린트(약 56억 원)가 투입된 이번 배터리 공장은 부다페스트 서쪽으로 약 20km 떨어진 비아토르바지에 1만㎡ 규모로 들어설 예정이다. 공장은 배터리 생산 외에도 서비스 및 연구·개발 센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장기적으로는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과 관련한 △애프터 서비스 △비즈니스 교육 △기술 연구·개발을 제공하는 기능을 할 것으로 보인다. 니오는 이미 노르웨이에서 전기자동차를 판매하고 있다. 올해 안에 독일, 네덜란드, 스웨덴, 덴마크로 판매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헝가리 공장은 이들 국가에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을 공급할 예정이다. 니오는 방전된 배터리를 몇 분 안에 완충된 배터리로 교체해주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고객은 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시간
[더구루=정예린 기자] 철강 제조 핵심 원료인 페로실리콘 수급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세계 최대 생산국이자 수출국인 중국의 정책과 산업 환경 등 변동성이 커지면서다. 31일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최근 중국 페로실리콘 시장이 공급 과잉으로 가격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다 유관 기업 공장 가동률까지 낮아지고 있어 하반기 생산량이 줄어들 전망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도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페로실리콘은 철과 규소의 합금이다. 철강 제조 작업에서 가장 값이 싸고 유효한 탈산제, 조재제로서 규소의 첨가제로도 널리 사용된다. 생산원가 중 전력이 가장 큰 비중(62.3%)을 차지한다. 중국은 세계 1위 페로실리콘 생산국으로, 작년 기준 전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에 해당되는 577.4t을 생산했다. 고객 중 약 70%가 철강 기업이다. 지난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제조공장 셧다운 등으로 생산량이 다소 하락했으나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올 5월 기준으로는 이미 200만t 이상을 기록, 공급 과잉이 예상된다. 중국의 전력 제한 정책으로 급등했던 가격은 안정화를 거쳐 올 하반기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관측된다. 가장 중요한 수요처인 현지 철강 기업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실리콘 웨이퍼 가격이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현지 공장의 화재로 품귀 현상이 심화된 영향이다. 현지 업체들은 공격적으로 증설에 나섰다. 30일 코트라 난징무역관에 따르면 중국 실리콘 웨이퍼 가격은 지난 15일 기준 kg당 305위안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자율주행차와 인공지능, 고성능 컴퓨터, 5세대(5G) 통신 등 신산업에서 반도체가 널리 쓰이며 실리콘 웨이퍼의 수요가 증가했으나 공급은 따라가지 못한 탓이다. 지난 6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치한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가동이 중단됐다. 같은 자치구 내 다른 공장까지 영향을 받았다. 더욱이 코로나19로 불확실성이 커지며 웨이퍼 업체들은 가동률을 하향 조정했고 공급량은 대폭 축소됐다. 향후 가격은 강세를 보일 전망이다. 중국 시장조사기관 에너지트렌드는 당분간 실리콘 웨이퍼 가격의 하방 압력은 크지 않다고 예상했다. 반도체 수요가 확대되고 중국의 코로나 방역 완화로 배터리 등 다운스트림 업체의 생산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중국 톈진종우한반도체(Tianjin Zhonghuan Semiconductor Co., Ltd.)는 "올해 품귀 현상을 보일 것이다"라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이 세계 최대 수소 시장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수소차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다. 글로벌 수소차 시장 넘버원인 현대차에는 대형 호재가 될 전망이다. 미래 먹거리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현지 수소 시장을 겨냥한 새로운 공략책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에서 생산·판매된 수소차는 총 455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67.3% 증가한 수치다. 전월과 비교하면 342% 세 자릿수 수직성장했다. 상반기(1~6월) 누적 판매량은 1390대로 전년 대비 190.19% 급증했다. 같은 기간 누적 생산량은 전년 대비 185.44% 상승한 1804대를 기록했다. 특히 대형 수소 트럭의 비율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 기준 대형 수소 트럭의 판매 비중은 77%로 집계됐다. 특수 차량과 승용차, 물류 차량은 각각 18%, 3%, 2%로 나타났다. 지난달 역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는 설명이다. 수소차 판매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베이징과 상하이였다. 수소차 구매 시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지역이라는 공통점을 지녔다. 이들 지역 다음으로 산시성이 세 번째로 수소
[더구루=정예린 기자] 폭스콘이 안정적인 실리콘카바이드(SiC) 기판 공급망을 확보했다. 차세대 전기차 반도체로 주목받고 있는 SiC칩 시장에 진출한 가운데 대량 양산 체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중국 SiC 웨이퍼 제조업체 '톈유어드벤스트머터리얼테놀로지(Tianyue Advanced Materials Technology, 이하 톈유)'에 따르면 이 회사는 폭스콘과 최근 13억9300만 위안(약 2700억원) 규모 장기 계약을 체결했다. 오는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 6인치 SiC 웨이퍼를 공급한다. 폭스콘은 확보한 기판을 작년 마이크로닉스 인터내셔널로부터 인수한 대만 신주과학단지 내 6인치 팹에 조달할 것으로 보인다. SiC MOSFET(산화막 반도체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 대량 생산 준비 작업의 일환이다. 현재 첫 번째 SiC칩 생산라인 배치 작업을 진행중이며 연내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달 대만 SiC 기판 제조사 '태식 머터리얼스(Taisic Materials, 중국명 성신재료)'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하는 등 공급망 확보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폭스콘은 5억 대만달러(약 220억원)를 쏟아 지분 10%를 확보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가 대규모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이번 인상은 원자재 비용 상승과 중국 시장에서의 어려움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TI는 오는 15일(현지시간)부터 6만개가 넘는 제품군의 가격을 인상하기로 했다. 6월 진행시보다 항목이 20배 가량 증가했다. 당시 TI는 3300여개 품목에 대한 가격을 인상했었다. 이번 인상은 산업용, 자동화, 자동차 전장부품과 같은 고가 제품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품목별 평균 가격 인상률은 10%에서 30%에 달한다. 특히 6만개 제품 중 40% 이상의 제품은 인상률이 30%를 넘어서는 것으로 전해졌다. TI가 가격을 인상한 배경으로는 실리콘 웨이퍼 가격 상승과 중국 시장에서의 낮은 마진 등이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TI가 구형 칩 공급을 단계적으로 축소하면서 신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도 있다. 실제로 TI는 2018년 출시된 DDC 컨버터의 가격을 22% 인상했다. 반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최신 제품의 가격을 5% 인상하는데 그쳤다. 업계는 TI가 가격을 인상한만큼 인피니언, 아나로그 디바이스(ADI) 등도 가격을 인상할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전자·통신장비 제조기업 화웨이(HUAWEI)가 자체 인공지능(AI)칩 어센드(Ascend)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툴킷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기로 했다. 화웨이는 자체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앞세워 AI인프라 시장 1강인 엔비디아(Nvidia)에 도전한다. [유료기사코드] 7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화웨이는 어센드 AI칩용 CANN(Compute Architecture for Neural Networks) 소프트웨어 툴킷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화웨이는 CANN 소프트웨어 툴킷을 앞세워 중국 내 AI기업, 파트너사, 대학·연구기관들과 어센드 생태계 구축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화웨이가 공개하는 CANN는 어센드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도구로, 엔비디아에서는 쿠다(CUDA)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어센드를 이용하는 개발자는 CANN을 이용해 다양한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화웨이는 엔비디아 출신 엔지니어를 대거 영입하며 CANN 개발에 집중해왔다. 실제로 지난 6월 엔비디아 수석 과학자인 빌 댈리(Bill Dally)는 미국 초당파 싱크탱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