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필리핀 전력사 아보이티즈파워(Aboitiz Power)가 미국과 캐나다에서 원자력 기술을 탐구한다. 필리핀 정부가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자 단계적으로 석탄화력을 폐쇄하고 원전을 짓는 에너지 믹스 정책에 발맞춰 선행 학습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엠마뉴엘 루비오(Emmanuel Rubio) 아보이티즈파워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내달 말 미국 원전 설계 업체인 뉴스케일파워와 초소형모듈원전(MMR) 전문기업 USNC(Ultra Safe Nuclear Corp)를 방문한다. 엠마뉴엘 루비오 CEO는 "미국 방문의 목표는 뉴스케일파워와 USNC의 기술을 더 많이 이해하는 것"이라며 "개발 과정을 이해하고 원전 전문업체에 무엇이 있고, 어떻게 생겼는지 직접 보고 싶다"고 말했다. 뉴스케일파워는 가압기, 증기발생기, 노심을 하나의 용기 안에 넣어 일체화한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1기당 77㎿인 SMR 'VOYGR™'를 개발해 세계 무대를 누비고 있다. 2029년 준공을 목표로 미국 아이다호주에 소형원전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USNC는 4세대 초고온 가스로 MMR을 개발했다. USNC의 MM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주식담보대출을 지원한 인도네시아 광물 가공 기업 트리니탄 메탈스 앤 미네랄즈(Trinitan Metals and Minerals)가 상장 폐지 위기에 몰렸다.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는 개인·기관 투자자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유료기사코드]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는 4일 상장 폐지 위험에 처한 9개 기업의 명단을 공개했다. 9개 기업에는 △트리니탄 메탈스 앤 미네랄즈 △포르자 랜드 인도네시아 △마스 무르니 인도네시아 △오닉스 캐피털 △누산타라 인티 코포라 △자야 버사마 인도 △시너지 메가 인터내셔널 △그랜드 카텍 △스테드펌 마린이 포함됐다.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는 9개 기업에 대해 상장 기업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할 수 없고 적절한 회복 징후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9개 기업 주식이 최소 12개월에서 최대 36개월까지 거래가 정지됐다고 설명했다.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는 9개 기업이 재정적으로나 법적으로 심각한 상황에 빠질 경우 상장 폐지까지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에 언급된 기업 중 트리니탄 메탈스 앤 미네랄즈의 경우 미래에셋 세쿠리타스가 주식담보대출 방식으로 자금을 지원했다. 나머지 지분은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앨버말이 호주 라이온타운 리소시스(Liontown Resources, 이하 라이온타운) 인수에 재도전한다. 인수 가격을 다시 높여 제안서를 전달했다. 배터리 핵심 원재료인 리튬 시장의 선두 업체로 올라서기 위해 무던히 애를 쓰고 있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앨버말은 3일(현지시간)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 라이온타운에 구속력 없는 최종 인수 제안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앨버말은 주당 3.001호주달러(약 2500원)에 라이온타운의 발행 주식 전량을 사겠다고 제안했다. 라이온타운의 가치를 66억 호주달러(약 5조6200억원)로 평가했다. 앨버말은 일정 기간 독점적으로 실사를 할 권한을 갖는다. 인수 전 리스크를 살피고 상호 합의 하에 제도실행계약(Scheme implementation agreement·SIA)을 추진한다. SIA는 소수 주주에게 대주주와 동등하게 경영권 프리미엄을 제공하고 매각에 찬성을 얻도록 하는 제도다. 라이온타운 주주와 호주 규제 당국, 앨버말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 지분을 인수할 예정이다. 라이온타운은 2006년 설립된 호주 광산 업체다. 2024년 중반 생산을 목표로 캐슬린 밸리 리튬 광산 프로젝트를 진행하
[더구루=김도담 기자] TSMC가 잠시 주춤하는 사이 삼성전자가 그 틈새를 파고들어 격차를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장기적으로는 2나노 경쟁에서도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테크 전문 미디어 애푸얼스(Appuals)는 2일(현지시간) TSMC의 3나노 공정 반도체 생산이 월 기준 8만개에서 5만개로 줄어들 것이라며, 반도체 생산공장이 없는 팹리스 기업들이 삼성전자 파운드리(위탁생산)를 주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애푸얼스는 "TSMC가 3나노 공정 라인을 거의 대부분 애플의 하이엔드 반도체 A17바이오닉과 M3 생산에 할당했다"며 "삼성전자가 TSMC보다 수율이 좋고, 웨이퍼당 3nm 생산가격도 낮아졌다고 밝히면서 고객사들이 삼성전자를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퀄컴이 '스냅드래곤8 4세대' 제품 생산을 삼성전자 파운드리에 맡길 것이라는 전망도 다수 제기되고 있다. TSMC가 애플 위탁생산에 집중하면서 계획에 맞는 안정적인 제품 생산을 위해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다시 고려하고 있는 것이다. TSMC와 협력해온 퀄컴이 삼성전자에 하이엔드급 제품 생산을 맡기게되면 연쇄이동 효과도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3나노 공정부터
[더구루=홍성일 기자] 닌텐도가 2024년 출시할 것으로 전망되는 스위치2가 상당한 하드웨어 성능을 가지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글로벌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의 'ImAHeroToo'라는 유저는 1일(현지시간) 닌텐도 스위치2가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와 유사한 수준의 강력한 하드웨어 성능을 가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해당 유저는 게임업계 유명 팁스터로 알려진 'I'm A Hero Too'와 같은 닉네임을 써 눈길을 끌고 있다. 하지만 I'm A Hero Too 측이 자신들이 유출한 내용이 아니라고 밝혀 해당 유출 정보에 대한 신뢰도에 의심의 눈길을 보내는 유저들도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I'm A Hero Too의 신뢰성과 유명세에 사칭 계정들이 있어왔다. 해당 유저가 공개한 정보에서 눈길을 끌었던 것은 파이널 판타지7 리메이크 시리즈를 닌텐도 스위치2에서 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ImAHeroToo는 "FF7R은 스위치2 개발 키트에서 플레이스테이션5 게임처럼 실행된다"고 말했다. FF7R이 2020년 출시된 리메이크인지 2024년 출시될 리버스 버전인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파이널 판타지7 리버스는 2024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만에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위한 대규모 시장이 열린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해상풍력발전 개발 5개사는 대만 정부에 '2026~2027년 해상풍력발전 개발사업' 계약체결 신청서 제출을 완료했다. 경제부가 주도하는 해상풍력 3-1단계 행정계약의 최종 서명 마감으로 세계 최대 그린에너지 투자운용사 CIP(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쳐 파트너스)의 펭미아오 풍력발전단지, SRE의 하이셩 풍력발전단지, 코리오 제너레이션과 토탈에너지스의 포모사3 해상풍력발전 단지 등 5개 풍력 발전 단지가 신청됐다. 5개사의 개발용량은 총 2335MW이다. 개발사별 개발용량은 △CIP(500MW) △ SRE(495MW) △코리오 제너레이션+토탈에너지스(600MW) △EDF 리뉴어블스(EDF Renewables)+타이야 리뉴어블 에너지(Taiya Renewable Energy)(440MW), △리리(力麗)+스카이본 리뉴어블스(Skyborn Renewables)(300MW)이다. 이들은 2026~2027년 사업은 개발 비용이 높은 편이나 개발권 포기 시 다음 사업 참가에 패널티가 주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계약체결을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만 경제부
[더구루=정등용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 대기업 ACWA 파워(ACWA Power)가 이집트 그린 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마르코 아르첼리 ACWA 파워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오는 2026년까지 이집트 그린 산업에 100억 달러(약 13조2000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2015년 이집트 시장에 진출한 ACWA 파워는 이미 이집트 재생 에너지 부문에 25억 달러(약 3조3000억원)를 투자했다. 총 5개의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발전 용량은 1.42GW(기가와트)에 이른다. ACWA 파워는 이번 신규 투자를 태양열 발전소와 풍력 발전소, 담수화 프로젝트 등에 집중적으로 집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ACWA 파워는 이집트 국부펀드(TSFE)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해 재생 에너지 개발, 일자리 창출, 지속가능한 개발 환경 조성 등에 참여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26년까지 이집트 재생 에너지 시장 점유율 5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또한 ACWA 파워는 전력 에너지원의 42%를 재생 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이집트 정부의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협력 사
[더구루=김형수 기자] 케냐 설탕 시장이 꿈틀거리고 있다. 수입국 다각화, 해외 업체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한 관련 산업 개발에 속도가 붙고 있다. 한국 기업들에게도 새로운 기회가 생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일 코트라에 따르면 케냐 정부는 르완다·리비아·마다가스카르 등 동남아프리카시공동시장(COMESA) 회원국에게만 부여했던 설탕 면세혜택을 비(非)회원국에게도 적용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도 원당과 정제 설탕에 매겨지는 100%에 달하는 관세 부담없이 케냐 시장에 진출할 수 있게 됐다. 케냐 설탕 수입시장은 지난해 기준 2억3400만2000달러(약 3100억원) 규모로 모리셔스(19.3%), 태국(16.7%), 이집트(15.8%) 등의 국가가 주름잡고 있다. 한국 설탕 수입액은 1000달러(약 130만원)로 미미하다. 케냐 정부가 설탕 공급 부족에 대응하고 나선 것이다. 연간 약 100만명 인구 증대에 따른 수요 증가, 생산량 감소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케냐제조자협의회(Kenya Association of Manufacturers)에 의하면 케냐 설탕 소비량은 지난 2010년 77만2731톤에서 지난 2019년 103만8710톤으로 34.42% 늘
[더구루=김형수 기자] 인도 정부가 해조류 산업 육성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해조류 생산량 확대를 통한 산업 활성화를 노리고 있다. 인도가 우수한 자연 환경을 지니고 있어 높은 해조류 산업 발전 가능성을 지녔다는 평가가 나온다. 2일 코트라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지난 2019년 5월 해조류 산업 육성을 목적으로 농업부 산하에 축산낙농수산업부(Department of Animal Husbandry, Dairying and Fisheries)를 설립했다. 이듬해인 지난 2020년 이후 7700만달러(약 1020억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하며 본격 행동에 나섰다. 인도 동남부 타밀나두(Tamil Nadu) 지역에 해조류 생산단지 '시위드 파크(Seaweed Park)'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수심이 얕고 조수 영향이 적어 해조류 양식에 적합한 곳으로 꼽힌다. 지난해 9월 부지가 최종선정됐다. 관련 예산안도 통과됐다. 인도는 해안선이 7516km에 달하고 해조류 양식가능 면적은 19만3834k㎡로 추정돼 향후 기존 생산단지 확장, 신규 양식장 설치에도 문제가 없을 것이란 전망이다. 해조류 공급량 부족이 산업 경쟁력 저하로 이어지자 인도 정부가 앞장서서 해결에 나선 모습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가 중국산 가전용 강화유리에 반덤핑 관세 부과를 추진한다. 삼성과 LG의 경우, 인도에 가전 공장을 둔 지라 향후 어떤 대응에 나설지 이목이 쏠린다. 특히나 중국에서 인도산으로 공급망 전환을 꾀해야 하지만 현지 업체들은 기술과 생산능력 모두 양사의 조건을 맞추지 못하고 있어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인도 무역구제총국(DGTR)에 따르면 이 기관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현지 상무부에 가전용 강화유리에 대해 반덤핑 관세 부과를 권고했다. 두께 1.8~8㎜, 너비 0.4㎡ 이하인 유리를 대상으로 t당 41.8~243달러를 제안했다. 인도의 조사는 현지 특수유리 제조사 협회인 안전유리연합(Federation of Safety Glass)의 요청으로 작년 10월 시작됐다. 2021년 4월부터 2022년 3월까지를 조사 기간으로 삼고 덤핑 혐의와 인도 산업계의 피해 현황을 확인했다. 약 1년 만에 반덤핑 관세가 필요하다고 판정하고 인도 업체들의 손을 들어줬다. 인도가 관세 부과 조짐을 보이며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게 됐다. 삼성전자는 인도 남동부 첸나이 지역에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2007년 TV 생산을 시작으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노키아와 NTT가 태국 5G 통신망 확대를 위해 손잡았다. 노키아와 NTT는 태국 산업용 무선 네트워크 확대에 집중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노키아와 NTT는 태국 전역의 비즈니스 조직에 기업용 무선 네트워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체결식에는 노키아와 NTT 태국법인 관계자 뿐 아니라 태국 주재 핀란드 대사도 참여했다. 노키아와 NTT는 기업에 5G 무선 서비스를 제공해, 디지털 혁신을 촉진한다는 목표로 MOU를 체결했다. 노키아와 NTT는 5G 통신망을 보급해 태국 기업들의 자동화, 로보틱스,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기술 도입을 촉진한다는 목표다. 노키아와 NTT가 공급하는 기업용 5G 무선 네트워크는 넓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와이파이 신호가 잡히지 않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고대역, 저지연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IoT, 머시러닝, 인공지능 등이 산업계 전반으로 퍼져가고 있는 가운데 태국에서도 이들 기술이 확장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노키아 관계자는 "이번 계약에는 노키아의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인프라가 포함됐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교보증권이 투자한 인도네시아 물류 스타트업 프레시 팩토리(Fresh Factory)가 아시아 유망 스타트업에 선정됐다. [유료기사코드]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프레시 팩토리는 지난 30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아시아에서 주목하는 100대 스타트업’에 이름을 올렸다. 프레시 팩토리는 지난 2020년 설립된 물류·운송 스타트업이다. 냉장·냉동·건조 제품의 보관 및 운송을 전문으로 한다. 40개 이상의 창고에서 IoT(사물인터넷) 장치를 사용해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제품 위치를 추적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교보증권은 프레시 팩토리의 주요 투자자 중 하나로 참여하고 있다. 이 밖에 △이스트 벤처스 △인도젠 캐피털 △탭 어플라이드 애그리 서비스 △프리마 아디사라나 인도네시아 △누산타라 카드 세메스타 △엔투티브 △트리다야 레마 솔루시 △유비 캐피탈 인도네시아 △프라세티아 드위다르마 △SBI 벤 캐피탈 △트라이힐 캐피탈 △와이 컴바이너가 투자자로 있다. 포브스 아시아는 매년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본사를 두고 연 매출 5000만 달러(약 661억원) 미만, 투자금 1억 달러(약 1322억원) 미만인 기업을 대상으로 100대 유망 기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 오로라 이노베이션(Aurora Innovation, 이하 오로라)이 자율주행트럭의 야간 운행을 본격화한다. 오로라의 자율주행트럭 야간 운행이 24시간 365일 쉬지않고 작동하는 장거리 물류 시스템 구축의 시작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오로라는 야간 자율주행기능에 대한 검증을 마무리하고, 자율주행트럭 야간 운행을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오로라는 지난 4월 말부터 댈러스와 휴스턴을 연결하는 I-45 고속도로에서 주간에 상업 자율주행트럭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오로라는 야간 운행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오로라 드라이버(Aurora Driver)와 연동되는 퍼스트라이트 라이다(FirstLight Lidar)의 성능을 끌어올렸다. 오로라에 따르면 퍼스트라이트 라이다는 어둠 속에서도 전방 450m 이상 떨어진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인간보다 최대 11초 빠르게 식별이 가능한 능력이다. 오로라 드라이버는 독자 개발한 자율주행 플랫폼이다. 오로라는 야간 운행 성능 확보로 자율주행 트럭 활용도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봤다. 이에 장거리 노선의 배송 시간을 크게 단축해, 수익
[더구루=김명은 기자] 종근당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이스라엘 바이오 기업 캔파이트 바이오파마(Can-Fite BioPharma·이하 캔파이트)의 췌장암 치료 후보물질 '나모데노손(Namodenoson)' 임상 2a상 등록 환자수가 절반을 넘겼다. 전체 모집 예정 환자의 50% 이상 확보는 시험 설계가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하며, 치료제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높다는 것을 뜻한다. 이는 나모데노손의 국내 독점 판권을 갖고 있는 종근당에도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4일 캔파이트에 따르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췌장암 치료 후보물질 나모데노손에 대한 임상 2a상 시험 등록률이 50%를 넘어섰다. 이번 임상시험은 최소 한 차례 이상 기존 항암 치료를 받은 이후 병이 진행된 췌장 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기관 공개시험이다. 환자들은 25mg 용량의 나모데노손을 하루 2회, 28일 주기로 복용한다. 주요 평가 항목은 안전성이며, 약물의 임상적 효능과 약물동태학 특성도 함께 분석된다. 지금까지 수집된 데이터에서는 양호한 안전성을 보였다. 나모데노손은 A3 아데노신 수용체(A3AR)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작용제로, 췌장암 전임상 모델에서 항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