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캐나다 광산기업 퍼스트 퀀텀 미네랄(First Quantum Minerals)이 자금 조달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파나마 구리광산 코브레 파나마 폐쇄 이후 사업 운영 자금이 부족해진 영향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다국적 광산기업 리오틴토(Rio Tinto)가 호주 퀸즐랜드의 글래드스톤(Gladstone) 알루미늄 사업장 운영을 위해 풍력발전에서 생산한 전력을 확보한다. 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 조달로 알루미늄 프로젝트의 탄소배출을 줄인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카자흐스탄 리튬광구 개발에 독일 기업들의 참여가 늘고 있다. 카자흐스탄의 풍부한 자원 잠재력을 높게 평가한 결과다. 카자흐스탄 정부와 독일 기업들은 리튬 채굴과 활용 분야에서 새로운 협력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독일 주요 기업인 크나우프 그루프(Knauf Gruppe)와 귄터 파펜부르크(Günter Papenburg), 록스텍(Roxtec)은 독일 리튬 연구소와 카자흐스탄 리튬 개발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이후 만프레드 그룬케 귄터 파펜부르크 감독위원회 위원은 카나트 샬라파예프 카자흐스탄 산업건설부 장관을 만나 중앙 아시아 리튬 산업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 사항을 논의했다. 이에 따르면 양측은 리튬 채굴과 사용 분야에서 새로운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전문 실무 그룹 구성에 합의했다. 또한 이번 이니셔티브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한 로드맵 개발에도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카자흐스탄 리튬광구 개발에 독일 기업이 참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독일 에너지 기업 HMS 버그바우(HMS Bergbau)가 지난해 9월 동 카자흐스탄 지역에 리튬 추출 및 가공을 위한 공장 건설 프로젝트 계획
[더구루=진유진 기자] 페루 정부가 세계 최대 구리광산인 안타미나 확장을 허가했다. 글로벌 구리 공급 부족 사태가 중장기적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우려를 덜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안타미나 구리광산은 최근 페루 환경청(SENACE)로부터 환경영향연구수정안(MEIA)을 승인받았다. 이번 승인으로 안타미나 구리광산 확장에는 20억 달러(약 2조6700억원)를 투입되며, 운영 기간도 2028년에서 2036년까지로 연장됐다. 이번 승인은 페루 최대 광산업체 대표들이 오스카 베라 페루 에너지광업부 장관과 만나 정부 당국의 허가 속도를 높여 달라는 의견을 전달한 지 일주일 만에 이루어졌다. 이번 프로젝트는 기존 광산 운영을 비롯해 광산 환경과 지역 사회 참여, 운영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시작됐다. 수정안에는 노천광 확장과 폐기물 처리장·테일링 댐(광산 채굴 후 남은 찌꺼기를 보관) 최적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안타미나의 광산 면적은 25% 증가하고 노천 구덩이는 150m 깊어질 예정이다. 하루에 최대 17만3000t의 광석을 추출할 수 있고 매일 최대 약 74만2000t의 폐기물이 이동하게 된다. 또한 1차 광석 파쇄장을 교체해 새로운 파쇄장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이 희토류 수요가 점점 높아지자 자국 생산을 본격적으로 늘린다.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희토류 공급망의 지배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페루가 국제회의 유치로 글로벌 광업과 농업 분야 투자를 촉진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유럽연합(EU)이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대한 수입 제재를 준비 중인 가운데 내부적으로 엇갈린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유럽의 대(對)중국 태양광 제품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세계 최대 광산 기업 '글렌코어(Glencore)'가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코암니보 니켈 광산 사업을 처분한다. 전기차 수요 부진으로 니켈 가격이 하락하자 대규모 개발 비용에 대한 수익 실현을 담보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제너럴 모터스(GM)와 파나소닉이 캐나다 흑연 광산기업 누보 몽드 그라파이트(Nouveau Monde Graphite)에 투자한다. 누보 몽드 그라파이트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한 자금을 활용해 전체 프로젝트 건설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테슬라 니켈 공급업체인 프로니 리소시스(Prony Resources)가 프랑스 정부로부터 긴급자금을 지원 받는다. 프로니 리소시스는 오는 2026년까지 사업 운영을 위한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구리 생산업체인 칠레 코델코(Codelco)와 유럽 최대 구리 제련소인 독일 아우루비스(Aurubis)가 지속가능한 구리 생산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구리 산업계의 ‘공룡동맹’이 완성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델코와 아우루비스는 15일(현지시간) 지속가능한 구리 생산 발전을 목표로 광범위한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환경 보호와 건강 증진 및 혁신에 대한 공동의 노력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책임감 있는 생산 관행을 촉진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설계된 15개 이상의 하위 프로젝트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번 협력은 환경을 고려한 기술 이니셔티브부터 지속 가능한 공급망 육성을 위한 직원 교환 프로그램 구축에 이르기까지 6가지 주요 중점 분야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이를 통해 양사는 유럽의 재생 에너지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추가 금속을 확보하기 위한 상업적 노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어 전 세계 원자재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구리 생산의 새로운 벤치마크를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코델코와 아우루비스는 글로벌 구리 산업이 엄청난 도전에 직면해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혁신적 변화를 이루기 위해 공동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광산업체 BHP가 호주 니켈 사업 철수를 고려하고 있다. 전기차 수요 부진으로 니켈 가격이 급락한 영향이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에어버스(Airbus)와 캐세이퍼시픽항공(Cathay Group, 이하 캐세이 그룹)이 지속가능항공연료(SAF) 산업 육성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사는 아시아 및 전 세계 SAF 생산 확대를 위한 공동 투자에 나서며, 항공 산업의 탈탄소 전환 가속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구글과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 도입 논의를 시작했다. 추가 자금을 확보한 앤트로픽이 본격적으로 대규모 AI 인프라 확보에 나서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