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조선해양이 건조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척을 그리스 선주가 용선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그리스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가 주도하는 캐피탈 가스는 2023년 인도 신조선 2척을 용선했다. 이를 위해 2척 중 한척의 선박을 수리했다. 17만4000CBM 신조선 '아모레 미오(Amore Mio) 1' LNG 운반선은 중동의 액화 대기업 카타르에너지 무역 부문인 카타르에너지 트레이딩(QatarEnergy Trading)이 3년 동안 하루 약 18만 달러 요율로 전세한다. 선박은 지난달 한국조선해양에서 인도했다. 캐피탈 가스는 내달 조선소에 인도 예정인 17만4000CBM급 두 번째 신조선인 악시오스(Axios)11도 용선한다. 신조선은 내달 야드에 인도된다. 캐피탈 가스는 또 추가로 5개의 개방형 LNG 운반선 신조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3개는 2024년에 인도될 예정이다. 남은 2개는 2026년에 인도될 예정이다. 한편 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에도 그리스 캐피탈가스해운에 17만4000CBM LNG 운반선 '아리스타코스(Aristarchos)'를 인도한 바 있다. 아리스타코스를 인도받아 미국 텍사스 LNG 회사 셰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에어택시 스타트업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출시를 2024년에서 2025년으로 1년 미뤘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조비는 미 연방항공청(FAA) 내부 고려 사항과 변화를 인용해 eVTOL 상업용 운송 서비스 출시 계획을 2025년으로 미룬다. 조비는 eVTOL 기업 중 최초로 FAA의 상업 비행용 허가를 획득한 바 있다. 이번 결정은 지난 3분기 실적을 보고하는 주주 분기별 서한과 어닝 콜에서 조벤 비버트 조비에비에이션 CEO가 투자자와 애널리스트에게 보내는 논평에서 언급됐다. 조비의 eVTOL 출시 지연 이유 중 하나는 지난 3월 FAA가 조비가 개발하고 있는 것과 같이 eVTOL 항공 택시를 인증하는 방법을 조정해서다. 여기에는 규제 당국이 해당 차량을 소형 비행기와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하지 않고, 연방 항공 규정 21.17(b)에 설명된 대로 헬리콥터에 더 가까운 '동력 상승' 운송으로 평가하는 것이 포함됐다. 조벤 비버트 CEO는 "규제 기관이 21.17(b)로 전환한 결과를 강조하기 전 원래 우리는 Part 2117A에 따라 FAA로 항공기를 인증할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종합물류기업 LX판토스가 폴란드 파나토니 파크 브로츠와프(Panattoni Park Wrocław XIII)에 5만㎥ 면적의 물류기지를 증설한다. LG전자·LG에너지솔루션 등 범LG가(家)에 속한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LX판토스는 파나토니 파크 브로츠와프에 5만㎥ 면적의 물류기지를 늘린다. 이로써 LX판토스는 파나토니의 13만㎡가 넘는 규모로 유럽 산업 부동산 시장의 선두 업체가 됐다. LX판토스는 물류기지 증설로 지역 내 LG 회사를 위한 활동을 지원한다. LX판토스는 지난해 12월 폴란드 파나토니 파크 브로츠와프에는 당초 계획보다 3배 이상 많은 4만3500㎡ 규모의 거점을 마련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생산시설 증설에 맞춰 폴란드 거점을 확대한 것. <본보 2021년 12월 13일 참고 LX판토스, LG엔솔 증설 맞춰 '폴란드 거점' 확대> LX판토스가 폴란드 거점을 확대하는 건 브로츠와프 주변에는 세계 최대 리튬 이온 자동차 배터리 생산업체 중 하나인 LG에너지솔루션과 전자제품 시장의 글로벌 리더 중 하나인 LG전자가 있어서다. 브로츠와프XIII는 지리적 조건이 좋아 물류회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눈의 고장' 아오모리 운항을 재개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인천~아오모리' 노선을 내년 3월부터 하계 시즌 운항 재개를 목표로 한다. 2023년 하계 정기 운항 재개를 목표로 내년 1월부터 2월까지 '인천~아오모리' 간 전세편을 운영할 계획이다. 전세기는 왕복 2~3회 정도 운항할 예정이다. 미무라 신고(三村申吾) 아오모리현 도지사는 지난 1일(현지시간)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2023년 3월 말부터 10월까지 하계 일정으로 아오모리~인천 노선 운항 재개를 목표로 지난달 20일 한국에 있는 대한항공 본사를 찾았다"며 "내년 하계 스케줄 운항 재개를 위해 전세 수요가 많다는 걸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아오모리~인천 노선은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9년에 주당 최대 5회 왕복 운항했으며 연간 3만6000명 이상의 여객이 이용했다. 이는 아오모리공항에서 취항하는 국제 정기편 최다수다. 아오모리현은 스키장, 골프장, 온천으로 유명하다. 자연 지형을 활용하면서 최신 설비와 코스를 갖춘 스키장과 골프장은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얻고 있다. 현대식 리조트 온천지에서 전통적인 램프 집까지 스키와 온천을 함께하는 리조트 라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카카오 파트너' 독일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기체 제조사 볼로콥터(Volocopter)가 3월에 이어 다시 한 번 수천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벨로콥터는 신규 투자금을 앞세워 UAM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낸다. 볼로콥터는 1일(현지시간) 2차 시리즈E 투자 라운드를 통해 1억8200만 달러(약 2590억원)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사우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인 네옴을 비롯해 중국의 완성차업체인 지리의 GLy 캐피탈 매니지먼트 등이 투자했다. 네옴은 지난해 12월 벨로콥터와 조인트 벤처를 설립하기로 하는 등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벨로콥터와 네옴의 조인트벤처는 7년간 UAM의 노선 설계, 타 운송체계와 통합, 운영 등을 담당한다. GLy 캐피탈도 이번 투자로 벨로콥터와 합작투자를 진행, 중국 내 UAM 도입에 나설 계획이다. 벨로콥터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UAM 인프라, 운송체계 간 통합, UAM 대중인식 제고 등을 포함한 UAM 생태계 구축에 투입한다. 벨로콥터는 시리즈E 투자 라운드를 통한 추가 투자 유치도 모색하고 있다. 벨로콥터 관계자는 "네옴과 GLy를 투자자로 유치한 것은 우리가 UAM 상용화 인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가 투자한 오버에어가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버터플라이 'XP-1' 시제품 제작에 돌입했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둔 eVTOL 스타트업 오버에어는 2023년 말까지 비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버터플라이 틸트로터 에어택시용 XP-1 무인 풀스케일 시제기 조립을 시작했다. 시제기 조립으로 인력을 140명으로 두 배로 늘렸다. 오버에어는 수하물이나 화물을 위한 공간과 용량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6인승 도시형 승차 공유 항공기 버터플라이(Butterfly)로 시장에 진입할 계획이다. 배터리로 구동되는 eVTOL은 최대 100마일의 범위와 시속 200마일의 최대 속도를 위해 설계된다. 현재 목표는 2023년 하반기에 시험용 eVTOL 차량을 제작하는 것이다. eVTOL 버터플라이는 카렘 에어크래프트의 고효율·저소음 기술이 적용되고, 헬리콥터보다 조용하고 안전하며 매연 등 대기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으로 설계된다. 버터플라이에는 일본 소재 기업 도레이(Toray)의 탄소 소재를 적용한다. 이를 위해 도레이와 오버에어는 첨단 탄소 섬유와 복합 프리프레그 재료를 활용하는 전략적 협력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급등했던 해상운임이 하락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 우려, 엔데믹에 따른 소비 수요 전환으로 당분간 하락세가 이어진다. 30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미국 뉴욕무역관이 낸 보고서에 따르면 해상운임의 주요 벤치마크인 드류리 세계 컨테이너 운임지수(Drewry World Container Index, WCI)는 지난 9월 말 기준 3689달러로 32주 연속 떨어져 전년 동기 대비 64% 하락했다. 또 14일 기준 아시아발 미 서부향 평균 운임은 2720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던 지난해 9월 대비 86.8% 하락했다. 드류리는 지난 7월 발간한 컨테이너 예측 보고서(Container Forecaster report)에서도 "컨테이너 해운의 호황 주기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확실히 바뀌었다"면서도 "다만 운임 하락정체 상태가 지속되면 정상으로의 복귀가 느려진다"고 밝혔다. <본보 2022년 7월 10일 참고 컨테이너 선사 잔치 끝났나…운임 지속 하락> 다만 팬데믹이 한창인 시기 WCI가 1만 달러를 넘어섰던 것에 비하면 큰 폭의 하락이나 팬데믹 직전인 1420달러에 비해 여전히 160% 정도 높은 수
[더구루=길소연 기자] 스위스 메디터레이니언 쉬핑(Mediterranean Shipping Company, MSC)가 이탈리아 예인업체를 인수했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MSC는 이탈리아 예인업체 리모르키아토리 메디테라네이(Rimorchiatori Mediterranei)를 인수한다. 인수는 제노바에 본사를 둔 리모르키아토리 메디테라네이와 DWS의 인프라 투자 사업이 관리하는 펀드를 통해 이뤄진다. 인수 완료 여부는 관련 경쟁 당국을 포함해 승인을 받아야 한다. 리모르키아토리 메디테라네이는 현재 이탈리아, 몰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노르웨이, 그리스, 콜롬비아에서 활동하고 있다. 디에고 아폰테(Diego Aponte) MSC 사장은 "이번 거래를 통해 모든 리모르키아토리 메디테라네이 운항에서 견인 서비스 효율성을 더욱 개선할 의지를 계속 확인했다"고 사업 확장을 기대했다. 리모키아토리 메디테라네이는 1922년부터 운영되어 온 예인선 업체로 파나막스 벌크선 3척과 근해 지원 선박 여러 척을 보유하게 된다. 지난 6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큰 항구 견인 서비스 제공업체인 케펠 스밋 토위지(Keppel Smit Towage)와 마즈 마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론 머스크가 끄는 미국 스페이스X가 스타링크 위성인터넷 서비스를 아시아 중 필리핀에서 가장 먼저 서비스하는 가운데 현지 기업과도 파트너십을 맺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필리핀 기업 파트너십을 맺고 위성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한다. 필리핀 재벌 헨리 시 쥬니어(Henry Sy Jr)가 소유한 데이터 레이크(Data Lake Inc)가 동남아시아에서 스타링크의 첫 번째 파트너가 되기 위해 계약에 서명했다. 앤서니 알메라(Anthony Almeda) 데이터 레이크 회장은 성명을 통해 "필리핀은 군도이며 더 넓은 세계와 연결하려면 광범위한 인프라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고 파트너십 체결 이유를 밝혔다. 실제 필리핀은 7600개 이상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많은 섬들이 고립되어 있고 산악 지형을 가지고 있어 기업들이 광대역통신망을 이용하기가 어렵다. 매년 약 20개의 열대성 폭풍이 일본을 강타해 종종 기반 시설을 손상시키고 섬과 지방 사이의 통신 연결을 끊는다.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는 수천 개의 위성 네트워크를 사용해 멀리 떨어진 지역에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거나 자연 재해 동안 통신이 중단될 때 사용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인 보잉이 중국 상용 항공기가 승객과 화물 수요의 강세에 힘입어 향후 20년 동안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보잉은 미·중 갈등에도 중국 항공기 시장을 싹쓸이하겠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보잉은 27일(현지시간) 공식자료를 내고 중국의 CMO(상업 시장 전망)을 발표를 통해 향후 20년 동안 상업용 항공기 규모의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보잉은 20년 수요 예측 '2022년 보잉 상업 시장 전망(CMO)'에서 이같은 추정치를 밝히며, 증가하는 여객 수송과 화물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중국 지역 항공기를 8500대로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보잉은 "팬데믹이 중국의 단기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도 불구하고 항공 여행 및 항공 화물에 대한 수요가 2041년까지 계속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며 "중국의 상용 항공기는 2041년까지 약 3900대에서 9600대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승객과 화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조5000억 달러에 달하는 8485대의 새 항공기가 필요하다"며 "중국 항공사들이 구형 항공기를 보잉 737 MAX, 787 드림라이너, 777X와 같은 연료
[더구루=길소연 기자] 항공 모빌리티 서비스 업체 민트에어(Mint Air)가 호주 도브테일 전기 항공기(Dovetail Electric Aviation, 이하 도브테일)로부터 쌍발 엔진 전기 항공기 10대를 공급받는다. 도브테일은 지난 27일(현지시간) 공식 자료를 내고 민트에어는 배터리 전기·수소 추진으로 개조된 터빈 동력 항공기 최대 10대를 구매한다고 밝혔다. 한국 시장에 무공해 전기 항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이다. 민트에어는 도브테일의 전기 항공기로 지역 노선을 서비스하고 한국에서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서비스를 제공한다. 민트에어는 안전한 운항, 수직이착륙 항공기(CTOL)의 에너지 절약 이륙 효율성, 낮은 전기 추진 비용, 더 빠른 인증 경로와 같은 민트에어의 선택 기준을 충족하기 때문에 도브테일 전기 항공기를 택했다. 민트에어는 전기 항공기로 화물 운송 시장에 진입할 계획이다. 전기 항공기는 350kw~650kw 클래스에서 비행 테스트를 거친 유일한 전기 추진 기술인 마그닉스(magniX) 전기 모터를 사용해 변환한다. 최유진 민트에어 대표이사는 "무공해 항공에 대한 도브테일의 실용적인 접근 방식은 우리의 사명과 잘
[더구루=길소연 기자] 독일 에어택시 제조업체 릴리움(Lilium)이 사우디 아라비아에 100대의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공급한다. 100대의 eVTOL는 도시 연결을 포함해 항공사 함대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릴리움은 지난 26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적 항공사인 사우디(SAUDIA)에 eVTOL '릴리움 젯'(Lilium Jet) 100대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릴리움은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최초로 eVTOL을 납품한다. 사우디 항공사는 미래에 지점 간 비행에 eVTOL을 사용할 계획이지만 비즈니스 클래스 승객의 공급 장치로서 시작할 가능성이 더 높다. 프리미엄 승객들은 사우디 항공기에서 내려 릴리움 젯을 타고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헬기장에 착륙할 수 있다. eVTOL은 또 탄소 배출량이 없는 상황에서 항공사가 사업을 다각화할 수 있다. 이브라힘 S. 코시(Ibrahim S. Koshy) 사우디 최고경영자(CEO)는 "사우디는 지속 가능성에 전념하는 업계 최고의 항공사가 되겠다는 약속을 바탕으로 릴리움과 eVTOL 네트워크 프로젝트를 체결했다"며 "사우디 왕국의 항공 산업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급여 지침이 공개됐다. MS에서 근무하는 신입 엔지니어의 연봉이 8만3000달러(약 1억1500만원)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31일 경제전문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MS는 레벨 57(초급 엔지니어) 직원에게 8만3000달러부터 12만4600달러(약 1억7320만원) 범위에서 급여를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내용은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MS의 급여지침을 공개하면서 알려졌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MS의 엔지니어는 레벨 57부터 70까지 직원 등급을 분류해 관리하고 있다. 레벨57부터 59까지는 초급 엔지니어를 뜻하며, 레벨 63부터는 선임엔지니어급이다. 레벨 65에 도달하면 수석엔지니어로 분류되고 레벨 68은 파트너가 된다. 최종적으로 레벨 70에 도달하면 특출난 엔지니어(Distinguished engineers)가 돼 상당한 대우를 받는다. 선임엔지니어가 되면 기본 연봉은 14만5000달러(약 2억원)부터 시작되며, 수석엔지니어는 17만2800달러(약 2억4000만원)부터 연봉이 시작된다. 최고 등급인 레벨 70에 도달하면 기본 급료는 25만2000달러(약 3억5000만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칩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작동하는 모습이 벤치마크를 통해 처음 확인됐다. 완성된 제품은 아니지만, ARM 칩이 윈도우에서 실제 구동된 첫 사례로 인텔과 AMD가 주도하는 노트북용 칩 시장에 도전할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미국 IT 전문 매체 '톰스하드웨어'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시스템온칩(SoC) 'N1X'가 그래픽 성능 측정을 위한 벤치마크 프로그램 '퍼마크(FurMark)' 데이터베이스에서 포착됐다. 해당 테스트는 윈도우 11 환경에서 진행됐으며, N1X는 720p 기준 4286점을 기록했고 평균 프레임은 71이었다. 벤치마크 점수는 RTX 2060과 같은 구형 그래픽카드보다 낮았지만, 이번 GPU 성능 테스트가 주목받는 이유는 따로 있다.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하나로 통합된 시스템온칩(SoC) 구조로 개발되고 있는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정상 작동한 첫 사례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ARM 아키텍처는 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용으로 쓰였고, 윈도우 운영체제를 공식 지원하는 ARM 칩도 일부 퀄컴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