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이스라엘 바이오벤처 바이옴엑스(BiomX)가 영토 확장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유럽 낭포성섬유증 학회(European Cystic Fibrosis Conference·ECFC)에 낭포성섬유증 치료제 'BX004' 임상 데이터를 발표한다. 바이옴엑스는 종근당과 한독이 지난 2018년 투자하면서 국내에 알려졌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옴엑스가 오는 9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제 46회 유럽 낭포성섬유증 학회에서 BX004 1b/2a 관련 포스트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한다. 프레젠테이션명은 '만성 녹농균성 폐감염 낭포성 섬유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 연구 임상 1b/2a상'(A phase 1b/2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multicenter study evaluating nebulized phage therapy in cystic fibrosis subjects with chronic Pseudomonas aeruginosa pulmonary infection)이다. 해당 임상은 202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아 진행됐다. 바이옴엑스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세계 2위 반도체 장비업체 네덜란드 ASML가 대만 정부로부터 현지 생산 공장 설립과 관련해 약 120억원의 보조금을 획득했다. 대만이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서 경쟁 우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만 경제부는 ASML 2㎚(나노미터·1㎚=10억분의 1m) 웨이퍼(기판) 광측정 장비 연구·개발 및 생산 프로젝트에 대한 2억8500만 대만달러(약 120억원) 규모의 보조금을 승인했다. 이는 전체 투자액 9억5000만 대만달러(약 410억원)의 30% 수준이다. ASML과 대만 정부는 △대만 내 생산 비율 35% 확대 △대만 공급업체 6곳 추가 △대만 내 연간 조달액 72억 대만달러(약 3100억원) 확대 등을 조건으로 보조금 지급에 합의했다. ASML은 앞서 작년 11월 300억 대만달러(약 1조2910억원)을 투자해 대만 신베이시 린커우 공일산업원구에 추가 거점기지를 짓는다고 발표했다. 클린룸을 갖춘 생산 공장과 연구·개발(R&D) 센터, 사무실, 물류창고 등을 구축한다. 특히 R&D센터에는 2나노 웨이퍼 광측정 장비 개발에 중점을 둔다. 대만 정부는 올
[더구루=정예린 기자] 폭스바겐이 인도네시아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건설한다는 소식이 나왔다. 글로벌 '큰 손'들이 앞다퉈 자원이 풍부한 인도네시아에 둥지를 틀며 신(新) 전기차 허브가 탄생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5일 쿰파란 등 인도네시아 현지 매체에 따르면 이크말 루크만(Ikmal Lukman) 인도네시아 투자부(BKPM) 국장은 인터뷰에서 "폭스바겐이 몇 달 내로 배터리 공장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예상 투자액은 약 47억 유로(약 6조6122억원)에 이른다. 투자 주체는 폭스바겐 배터리 자회사인 '파워코(PowerCo)'다. 이르면 연내 착공한다. 전기차 배터리를 시작으로 향후 전기차까지 신공장에서 생산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지난 4월 파워코가 인도네시아에 전기차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한다는 소식이 전해진 바 있다. 파워코는 포드, 발레, 화유코발트 등과 손잡고 공급망을 확보한다. 이번 공장 설립이 이와 관련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배터리를 비롯한 전기차 분야를 국가 역점 사업으로 두고 전체 산업 생태계를 육성, 전기차 허브로 거듭나기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다임러트럭이 자체 배터리 생산 의지를 재확인했다. 파트너사와 협력해 안정적인 공급 체제를 갖춘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독일 통신사 DPA(Deutsche Presse-Agentur)에 따르면 마틴 다움 다임러트럭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다른 자동차 업체들보다 조금 늦더라도 반드시 파트너들과 함께 자체 배터리 생산 체제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임러트럭의 배터리 핵심 공급사인 중국 CATL과의 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사의 합작사 설립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임러트럭과 CATL은 지난 2021년 배터리 공급 계약을 연장하며 차세대 배터리 공동 개발 의지를 표명하며 동맹 관계를 공고히 한 바 있다. 다움 CEO는 수소 등 에너지 공급망과 관련해 연합전선을 구축, 외부에서 조달하는 방안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는 "우리는 결코 에너지 자급자족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독일은 항상 에너지 요구량의 상당 부분을 수입해 왔는데 녹색에너지 부문에서만 갑자기 수입을 지양하는 등 달라져야 하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반문했다. 다만 높은 중국 의존도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내며 공급
[더구루=김형수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가 중동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활용한 서비스를 론칭했다. 소비자 경험 개선을 통해 시장 내 영향력 확대에 주력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모기업 행보에 배달의민족의 챗GPT 서비스 도입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중동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딜리버리히어로의 배달 플래폼 탈라바트(talabat)는 챗GPT를 기반으로 개발된 인공지능 솔루션 탈라바트 AI를 출시했다. 현재는 아랍에미리트(UAE) 탈라바트 프로 가입자를 대상으로 탈라바트 AI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 연내에 쿠웨이트를 비롯한 다른 중동 지역 국가로 확대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탈라바트 AI는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된 해커톤(Hackathon·해킹과 마라톤의 합성어로 프로그래머와 개발자 등이 모여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개발해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이벤트)에서 개발됐다. 해당 해커톤에는 450명에 달하는 제품 및 기술 엔지니어가 참여했다. 딜리버리 히어로는 운영 전반에 걸친 지속적인 혁신을 추진하고 제공하는 서비스를 확장하고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전했다. 탈라바트 AI는 소비자가 탈라바트가 운영하는 식
[더구루=홍성일 기자]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옥스보티카(Oxbotica)가 사명으로 옥사(Oxa)로 변경하고 글로벌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고 4일 밝혔다. 옥사는 이번 사명 변경에 대해 북미와 유럽에서 사업 확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옥사는 2014년 옥스퍼드대학교 폴 뉴먼 교수와 잉마르 포스너가 설립했다. 당시 로봇 기업으로 사업을 시작한 옥사는 현재 세계 최고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업 중 하나로 성장했다. 옥사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하드웨어에 구애 받지 않는 자율성을 확보하고 있어 도로 안팎의 다양한 차량 유형에 적용할 수 있다. 고급 기술은 옥사의 고유한 수평 B2B 모델을 지원해 운영자와 통합자 및 제조 기업에게 필요한 자율 기능과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에 옥사는 지난 1월 1억40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C 투자 라운드를 성공하며 자본을 확충하기도 했다. 옥사는 어플라이드 EV, bp, NEVS, ZF 등과 손잡고 오는 2024년까지 무인 승객 셔틀과 산업 특화 차량을 출시할 계획이다. 또한 광산 시스템 전문업체 웬코 IMS와 추진 중인 자율 채굴 시스템 개발에도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자율 채굴 시스템은 안전과
[더구루=오소영 기자] 스웨덴 노스볼트가 폴란드에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생산시설을 지었다. 연말 생산에 착수해 연간 12GWh를 확보한다. [유료기사코드] 4일 노스볼트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달 말 폴란드 그단스크에 ESS용 배터리 공장 건설을 마쳤다. 2021년 말 폴란드 투자를 발표한 후 약 18개월 만이다. 생산시설과 사무동을 포함한 전체 건물 면적은 약 2만5000㎡다. 노스볼트는 연말 생산을 시작한다. 초기 5GWh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점차 12GWh로 확대할 예정이다. 공장 가동에 필요한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에서 조달한다. 노스볼트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집행하는 EU 혁신기금(Innovation Fund)을 통해 7500만 유로(약 1050억원)의 보조금을 획득했다. 작년부터 채용도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약 330명을 뽑았다. 궁극적으로 500명을 신공장에 투입할 계획이다. 노스볼트는 신공장을 통해 전기차에서 ESS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넓히고 유럽 수요를 선점한다. ESS는 잉여 에너지를 저장하고 기후 여건이 좋지 않아 생산량이 떨어질 때 전력을 내보내는 설비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보장할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EU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폴란드 건설시장이 회복 국면에 접어들면서 건설장비 산업에도 훈풍이 불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인 탈탄소 정책 기조로 전기 장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4일 코트라 폴란드 바르샤바무역관의 '회복하는 폴란드 건설산업, 건설장비가 뜬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월 폴란드의 건설경기지수는 -12.5를 기록했다. 이는 폴란드 통계청이 4000여개 건설사를 대상으로 조사해 작성한 것으로 '0'을 기준으로 플러스는 호황을, 마이너스는 불황을 의미한다. 여전히 마이너스를 벗어나지 못했지만 지난해 12월(-23.9)과 비교하면 크게 개선했다. 건설업계 경기 전망을 보면 경기 회복은 9.7%로 전월 8.5% 대비 상승했고, 경기 악화는 22.3%로 전월 25.3% 대비 하락했다. 건설 수주 물량이 개선되지 않았고 국내 건설 생산량과 자금 조달 어려움 등 같은 여건에도 경기 회복 기대감이 높아졌다. 지난해 폴란드 건설산업은 1990년대 이후 가장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그동안 합법적으로 고용된 건설 노동력의 80~90%가 우크라이나인이었는데 대부분 고국으로 돌아가면서 인력 공백이 발생했다. 또 우크라이나로부터의 건설자재 공급 중단으로 자재 공급
[더구루=홍성환 기자] 차세대 4차원(4D) 이미징 레이더 칩셋 솔루션 기업 아브로보틱스(Arbe Robotics)가 인공지능(AI) 기반 이미징 레이더 기술을 공개했다. [유료기사코드] 아브로보틱스는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BMW가 추최하는 국제 무선 산업 컨소시엄(International WIreless Industry Consortium·IWPC) 자동차 센서 아키텍처 컨퍼런스에 참여했다고 2일 밝혔다. 아브로보틱스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이미징 레이더 기술을 소개했다. 아브로보틱스가 개발한 최신 AI 알고리즘은 레이더와 카메라 데이터를 실시간 융합을 통해 고속·장거리 환경에서 물체 감지와 추적 기능을 제공한다. 벤 라트하우스 아브로보틱스 부사장은 "우리는 도로에서 안전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동차 센서 기술의 한계를 지속해서 확장하고 있다"면서 "AI 알고리즘과 이미징 레이더 기술의 시너지를 통해 자율주행 인식 기능을 발전을 보여줄 것"이라고 전했다. 아브로보틱스는 지난 2015년 설립된 차세대 4D 이미지 레이더 칩셋 솔루션 제공업체다. 이스라엘에 본사를 두고 있다. 자율주행차량 및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의 고해상도 감지를
[더구루=오소영 기자] 네덜란드가 중국 국영기업 윙텍 테크놀로지(이하 윙텍) 자회사인 넥스페리아의 인수 작업에 훼방(?)을 놓는다. 국가 안보 위협을 근거로 네덜란드 전력관리반도체 회사 '노위(Nowi)'를 품으려는 넥스페리아의 계획을 조사한다. 미국의 규제에 공조하며 중국의 반도체 산업 고립이 심화되고 있다. 1일(현지시간) 미국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네덜란드 정부는 넥스페리아의 노위 인수를 검토한다. 이번 조사는 최근 발효된 새 법안에 따라 이뤄진다. 이 법안은 민감한 기술 유출을 막고 국가 안보를 지키려는 목적으로 제정됐다. 해외 기업이 중요 기술을 보유한 네덜란드 회사에 투자 또는 인수를 추진할 때 네덜란드 정부가 이를 감독하고 필요시 막을 수 있는 권한을 갖는 내용을 담았다. 네덜란드 경제기후부는 넥스페리아의 노위 인수도 조사 대상에 해당한다고 봤다. 넥스페리아가 네덜란드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 중국 윙텍의 자회사로 있어 잠재적으로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지적이다. 미키 아드리안센스 경제기후부 장관은 "네덜란드 기업이 중국과 협력할 수 있는 분야는 많지만 일부 산업군에서 우리는 정말 취약하다"며 "포토닉스와 양자, 레이더, 센서, 반도체와
[더구루=한아름 기자] 루이비통이 카타르 도하 하마드 국제공항에 럭셔리 라운지를 개장했다. 프랑스 인기 쉐프 야닉 알레노(Yannick Alléno)의 요리를 접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됐다. 지난해 하마드 국제공항에 면세점에 이어 라운지 오픈으로 중동 시장 공략을 힘을 싣는 분위기다. [유료기사코드] 2일 루이비통에 따르면 하마드 국제공항에 럭셔리 라운지 '24/7'를 오픈했다. 하마드 국제공항의 비즈니스 라운지 '더가든'에 자리한다. 24/7은 스튜디오 루이비통의 트위스트 글라스와 함께 파올라 렌티(Paola Lenti)와 인도 마흐다비(Mahavi), 마틴 아이슬러(Martin Eisler) 등 유명 인테리어 디자이너들의 제품으로 꾸며졌다. 야닉 알레노의 요리를 맛 볼 수 있는 공간도 마련돼있다. 알레노는 방문객에 △훈제 생선 플래터 △유자를 곁들인 양고기 △캐비어 페이스트리 등 프랑스 음식을 선보인다. 루이비통이 도하에 럭셔리 라운지를 개장하면서 중동 면세 사업 약진에 무게감이 실린다. 하마드 국제공항은 지난해 방문객 수를 5800만명으로 추산했다. 루이비통 관계자는 "새로 개장한 24/7에서 편안함, 웰빙, 고급 요리 등을 아우르는 또 한 번의 여행을
[더구루=정등용 기자] KKR과 테마섹이 독일 여행 플랫폼 겟유어가이드(GetYourGuide)에 투자했다. 겟유어가이드는 주력 시장인 유럽을 넘어 북미 지역으로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겟유어가이드는 2일 KKR, 테마섹, 유니크레딧, 블루풀 캐피털 등으로부터 주식과 부채를 혼합한 1억9400만 달러(약 2600억 원)의 자금을 조달했다고 밝혔다. 겟유어가이드는 이로써 총 10억 달러(약 1조3100억 원) 이상의 투자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기업 가치는 14억 달러(약 1조8400억 원)에서 20억 달러(약 2조6300억 원)로 상승했다. 겟유어가이드는 가이드 투어와 미식 여행, 요리·공예 클래스 등 다양한 여행 액티비티 서비스를 지원한다. 현재 1만6000개의 업체가 입점해 있으며 7만5000개 이상의 액티비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여행 액티비티 시장은 현재 3000억 달러(약 400조 원) 규모로 성장했다. KKR과 테마섹은 여행 액티비티 시장이 향후 1조5000억 달러(약 2000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고 겟유어가이드에 투자를 결정했다. 겟유어가이드는 이번 투자 자금을 지난 한 해 동안 회사의 큰 성장 동력이었던 유럽 시
[더구루=홍성환 기자] AI 소프트웨어 기업 빅베어AI 홀딩스(BigBear.ai)와 데프콘AI(DEFCON AI)가 안정적인 군수지원과 준비태세를 지원하는 통합 솔루션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양사는 1일 군사 준비태세 및 합동 군수 역량 혁신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두 회사는 전 세계 방위산업 부문 전반에서 경쟁적 군수지원(적대국이 전쟁을 비롯한 충돌 상황에서 군수품의 이동을 방해하는 상황), 합동군 유지, 준비태세 평가 등을 지원하기 위한 통합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케빈 맥앨리넌 빅베어AI 최고경영자(CEO)는 "양사의 파트너십은 핵심 시장에서 임무 중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적 협업"이라며 "남서부 멕시코 국경의 전술적 작전부터 인도·태평양 지역의 전략적 작전에 이르기까지 방위산업체의 가장 시급한 군수 및 준비태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빅베어AI는 국방 및 국가 안보 분야에 특화된 AI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미국 증권가에서 제2의 팔린티어로 주목받고 있다. 주력 사업은 AI 기반 의사 결정 인텔리전스 솔루션이다. AI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영국에서도 임상을 진행한다. 뉴럴링크는 대상 지역을 확대해 임상 데이터 확보에 속도낸다. [유료기사코드] 뉴럴링크는 3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영국에서 임상을 시작한다"며 "UCLH(University College London Hospitals Trust), 뉴캐슬 병원과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를 통해 사람들이 생각으로 기기를 제어, 디지털 자율성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럴링크는 척수 손상 또는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ALS) 등의 원인으로 사지마비가 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럴링크는 미국과 캐나다, UAE에 이어 영국에서도 임상을 시작하며 유럽으로 범위를 확대하게 됐다. 뉴럴링크는 최근 임상 범위 확대는 물론 하루에 여러 건의 이식 수술을 진행할 수 있는 능력도 확보하는 등 임상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뉴럴링크는 지난달 21일 "P8과 P9 수술을 성공적으로